미술작품에서의 변형된 인체표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체 표현의 생략 ( 개인적인 가치관 )

2. 인체 표현의 과장, 왜곡 ( 화면의 법칙 )

3. 매너리즘시대의 인체 표현

4. 사실적인 인체표현
① 해부학적 지식을 담고 있는 그림들
② 사실적인 인체표현 (카논의 법칙)

본문내용

. 처음에 폴리클레이토스(Polykleitos)라는 사람이 올림픽 우승자를 모델로 하여 7등신의 비례를 만들었는데, 이것을 이상적인 인체에 비례 "카논"이라 부른다. 그 다음에 리시포스(Lysippos) 라는 조각가가 팔등신의 카논을 만들었고, 그 팔등신의 카논을 다시 고대 로마 건축가가 비트루비우스(Vitruvius)가 수학적인 공식으로 요약했다. 발뒤꿈치에서 발가락 끝까지의 치수가 신장의 1/7이고, 얼굴 길이는 신장의 1/10, 손끝에서 팔꿈치까지는 신장의 4/1이라야 이상적인 공식이 된다. 그 공식이 이탈리아 르네상스에서 되살아나서, 뒤러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이다. 그래서 팔등신 공식은 뒤러의 모든 작품의 근간이 되었는데 그 성과의 하나로 태어난 것이 바로 이 작품이다. 뒤러는 비트루비우스의 비례 기준을 자기 식으로 고쳐서 이거야말로 완벽한 인체상이라는 자신을 갖고 제작했다. 골격이라든가 근육, 포즈까지 더 이상 완벽할 수 없다고 말했다. 컴퍼스와 자를 대 가며 산출해 낸 비례로 스케치한 그림이 여러 장 남아 있기도 하다.
오늘날까지 미인의 선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8등신 미인의 신화가 바로 리시포스가 만든 8등신의 캐논에서 시작된 것이다.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06.12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