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의식구조(권위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한국인의 의식구조

- 한국인의 권위주의

1) 귄위주의에 대한 정의와 사회적 배경

2) 귄위주의 유형과 해결방안

사례 : 대통령과 평검사들과의 대화 외 일반사례

본문내용

고 싸워서 권리를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갖춰져 있지 못한 것 같았다. 다른 말로하면 아직 일방적인 지시나 명령을 받아야 하는 쪽에 훨씬 더 가깝게 있다는 것이다.
워낙 토론문화가 없이 권위주의만 난무하고 그 권위주의가 우리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에 있어서 권위주의 체제를 지탱하게 해주는 중요한 사상적 뒷받침 중의 하나는 가부장적 사고이다. 군주는 하늘이 내리고 군주와 아버지를 일치시키는 유교적인 사고방식은 50년의 근대화를 거친 현재에도 일상생활, 특히 정치에 깊이 뿌리박혀 있어 대통령을 국부로 지칭하며, 정치인이 국민의 심부름꾼이 아닌 군림하는 형태로 굳어지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넷째, 남성지배의 전통으로 여자는 삼종지덕(參從知德)을 천명으로 여기며 칠거지악에 어긋나는 것은 부도덕한 것으로 여겨 남성을 여성위에 군림하게 했다.
남성에 의한 사회적 지배는 여성의 사회참여를 제한함으로서 그들의 지위를 확고히 함과 동시에 여성에 대한 지배를 당연시하는 사회 문화를 만든 것이다.
여성의 사회참여가 제한됨으로서 경제적으로 남성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생활이 되고 사회 ·경제적 약자인 여성은 남성에게 지배당하고 남성 또한 여성의 위에 군림하는 사회 문화가 형성된 것이다.
가부장적인 사고는 정치를 남성의 고유영역으로 만들어 여성을 정치의 장에서 배척하여 여성의 정치참여율이 세계 각국 중 하위권에 머무르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입법부에서의 여성의 참여는 299명의 의원 중 11명으로 3.7%의 비율을 보이고 있어 세계 170여개 국가 중 여성의 정치참여에 있어서는 정치적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여성 정치참여는 여성이 수적으로 얼마나 참여하느냐의 문제 외에 평등한 참여라는 측면에서 민주주의 실현정도를 재는 척도라 할 수 있다. 또 가부장적 가치관은 또 정치에 대한 공정한 비판과 이 비판을 통한 시민의식 고취, 정치의 발전 등을 막고 있다.
정치계나 고위 공직자 사회, 법조계, 학계, 그리고 여러 전문직 집단에서의 여성 비율은 구미 선진국에 비해 매우 적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도로에 나가서도 여성 운전자는 남성 운전자의 위협과 무시에 쩔쩔 매는 경우가 많고, 사람들은 아직도 말끝마다 '여자가 무슨…' 또는 '여자가 그러면 되겠어?'라는 식의 표현을 서슴지 않고 사용하고 있다. 이상으로 미루어 볼 때 우리 사회는 남성 권위주의에 물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6.14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