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신생아 간호력

Ⅰ. 산모와 관련된 정보
Ⅱ. 출산과 관련된 정보
Ⅲ. 신생아 정보

2) 건강양상

-영양
-배설
-호흡
-체중변화

3) 약물

4) 진단검사

-CBC
-Urinalysis
-미생물학 검사
-혈청학 검사
-특수면역 검사
-ABGA
-생화학검사
-방사선검사

5) 간호진단

3. 결론

본문내용

Chest PA
Bilateral infilitration in the lung
No pleural effusion
R/O pneumonia
6/9
Chest PA
No interval change
6/12
Chest PA
No interval change
-방사선검사
.
5) 간호진단
#1.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tachpnea
-chest retraction
-O₂apply
<간호목표>
-신생아는 적절한 호흡양상을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v/s check
-호흡수와 호흡형태를 관찰한다.
-적절한 제한된 수분을 공급한다. 제한된 수분공급으로 폐부종을 예방
-중성온도 유지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너무 낮은 온도, 환경은 대사요구량을 증가시켜 호흡을 힘들게 함.
-산, 염기 균형을 사정한다.
-필요시 suction 한다.
-Chest PT시행한다. 분비물 배출 증가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저산소증과 과탄산증 예방
-호흡곤란으로 인한 청색증을 관찰한다.
<간호수행>
-2시간 마다 v/s check함.
-1분동안 호흡수 측정
-retraction 관찰
-호흡음 사정
-처방된 수액 공급
-혈액가스 분석 시행
-G-tube로 nasal suction
-Chest PT를 2-3시간마다 시행
-Hood box O₂공급(인큐베이터로 공급)
-SaO₂모니터링 시행함.
<평가>
-호흡횟수의 감소와 chest retraction 감소가 보임.
-산소없이도 호흡조절이 가능해짐.
#2. 미성숙한 체온 조절, 피하지방 조직부족과 관련된 비정상적 체온변화
<간호목표>
-신생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미숙아에게 통제된 환경을 제공한다.
-v/s check
-체온손실을 막는다.
<간호중재>
-인큐베이터에 넣고 간호한다.
출생 1-2일까지는 Radiant warmer로 체온조절을 돕는다.
-체온을 매 2시간 마다 체크한다.
필요시 인큐베이터 온도를 조절한다.
-될 수 있는 한 스트레스를 줄인다.
-간호시 손을 따뜻하게 한다.
-청진기를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검사나 처치할 경우 Radiant warmer에서 시행한다.
-처치시 인큐베이터의 hand hole을 통해서 시행한다.
<평가>
-체온범위가 정상범위에 (36.5 ∼37.2 ) 있었음.
#3. 미숙아의 생리적 미성숙과 관련된 체액부족
-체중감소
-Photo Tx로 인한 수분손실
-NPO
<간호목표>
-적절한 수분 균형의 증거를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수분 균형상태를 사정한다.(피부탄력도 사정)
-처방된 비경구적 수액요법 정확히 실시한다.
-탈수, 과수화를 확인하기 위해 소변량, 검사실 검사치를 확인한다.
<간호수행>
-NPO상태시, 제대혈관을 확보하여 수액을 공급함.
-피부탄력정도를 관찰함. 탈수시 피부탈력성이 떨어짐.
-일정 간격으로 같은 체중계를 사용하여 매일 체중을 측정함.
-섭취량, 배설량을 체크함.
-일반 혈액검사, 혈중 전해질 검사 확인함. 탈수시 Hct, 혈중 Na농도 올라감.
<평가>
-Hct, 혈중 Na 증가가 없다.
#4.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0wks, 1478g
<간호목표>
-감염의 증거가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v/s check
-처방된 항생제 투여
-침습적 절차나 이에 필요한 기구는 철저하게 무균술을 지킴
-철저히 손씻기
-인큐베이터 청결히 유지
-I&O를 체크한다.
-활동정도를 관찰한다.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호흡형태의 변화나 체온유지정도를 정상범위와 비교사정함.
-양수조기파막으로 인해 항생제 사용(UNS, TOB)함.
-처치시 소독된 물품 사용함.
-환아를 만질 때 항상 손씻기함.
-일주일에 한번씩 보육기 교체함.
-매일 청결하고 소독된 린넨으로 교체함.
-CRP 검사를 시행함. C-반응성단백질은 염증과 관련되어 있음.
<평가>
-v/s상 특별한 변화 없음. 활발한 움직임.
-CRP검사 결과 < 3.0
#5. 미성숙한 피부구조,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IV나 G-tube insert시, 반창고 붙이고 때어낼 때
-Photo 치료시 안대로 인한 자극
<간호목표>
-피부는 깨끗하고 자극이나 손상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체위변경을 자주 시킨다.
-드레싱이나 테이프를 제거할 때에는 세심한 간호를 시행한다.
-피부는 가능한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간호수행>
-아기머리 방향을 자주 변경시킴. 귀가 눌리지 않고,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해줌
-기저귀가 너무 습기 차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기저귀를 점검하여 교환함.
<평가>
-피부가 깨끗하고, 손상이 없었음.
3. 결론
지금까지의 실습중에 가장 행복한 실습이 아니었나 싶다. 처음 세상에 나온 아기들을 처치하는 것을 보는 것만으로도 신기하고 기분이 좋아지곤 했다. 병원은 찡그린 사람들만 있을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주는 곳이 바로 신생아실이었다. 면회시간이 되면 환하게 유리창문 너머로 아기들을 보러오는 아빠, 엄마의 표정은 정말 행복해 보였다. 신생아들은 정말 너무 귀여웠다. 실습기간 내내 아기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좋았다.
건강한 아기들은 2일 정도 있다가 곧 퇴원하곤 했지만 미숙아들은 그렇지 못했다. 그 조그마한 손에 바늘을 찔러 채혈을 해야했고, 폐의 기능이 좋지 못해 산소를 투여 받거나, 인공호흡기에 의존하여 겨우겨우 숨을 쉬고, 갖가지 모니터를 달고 인큐베이터에서 힘겨워하고 있었다. 너무 안쓰러웠다. 내가 케이스 대상이 된 아기도 미숙아였다. 31주만에 태어난 미숙아는 매우 작고 야윈 외모를 가지고 있었고, 얼굴과 등에도 솜털이 많았으며, 피하지방이 적어 체온조절이 미숙하여 인큐베이터안에서 보호받고 있었고, 귀 연골의 발달이 미약하여 귀가 접혀 있는 모습도 볼 수 있었고, 음낭발달이 미약하고 빠는 반사도 미약했으며, 유연한 흉곽을 보였고 호흡이 매우 힘들어 보였다. 볼 때 마다 안쓰러운 마음이 들곤 했다. 종합병원이라서 정상 아기들은 별로 많지 않았고 대부분이 황달이나 미숙아 패혈증 등으로 인한 고위험 신생아들이었다. 태어나자마자 병원 신세를 지고 있는 아기들이 불쌍하긴 했지만, 신생아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매우 행복한 실습이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7.09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