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Ⅱ.현대 연극의 거장 브레히트(Brecht, Bertolt 1898 - 1956)
1.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생애
2.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작품 이해를 위한 배경지식
가. 서사극(Episches Theater, 敍事劇, epic theater)이란?
나. 소외효과
Ⅲ. 『사천의 착한사람』에 대해서
Ⅳ. 등장인물 분석
1. 셴테
2. 슈이타
3. 슈푸
4. 신들과 물장수 왕
Ⅴ. 맺으며
Ⅱ.현대 연극의 거장 브레히트(Brecht, Bertolt 1898 - 1956)
1.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생애
2.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작품 이해를 위한 배경지식
가. 서사극(Episches Theater, 敍事劇, epic theater)이란?
나. 소외효과
Ⅲ. 『사천의 착한사람』에 대해서
Ⅳ. 등장인물 분석
1. 셴테
2. 슈이타
3. 슈푸
4. 신들과 물장수 왕
Ⅴ. 맺으며
본문내용
서히 사회에 적응하는 인물로 변해간다. 슈이타의 모습으로 사회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성공의 가두를 것는 사람으로 변해간다. 그 결정적인 계기는 바로 임신이었다. 그녀는 이제 새로 태어날 아이와 자신을 세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거칠어지고. 이기적이게 된다. 그 모습이 슈이타이다. 살기 위한 변태(變態)라고나 할까. 아니 진화···
2. 슈이타
셴테가 만들어낸 가상의 악한 인물이다. 극상에서는 셴텐의 사촌으로 소개된다.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변신한 모습이다. 슈이타는 셴테가 감당하기 힘든 세상의 거친 면들에 맞선다. 약육강식의 정글법칙이 적용되는 삭막한 현실사회에서 셴텐은 약자였다면, 슈이타는 강자이다. 슈이타는 사회에서 성공한 유능한 사람을 상징한다. 작가는 센텐의 대비적인 악한 인물로 제시하지만 현실 사회에서는 센텐보다는 이상적인 사람이고 생각한다. 남의 것을 빼앗는 약탈자는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사물을 바로잡을 줄 아는 현명한 사람이다. 오늘날 사회의 이상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3. 슈푸
한 때 창녀이기까지한 셴테를 편견 없이 바라보았으며, 따뜻한 그녀의 성품을 사랑하고 지켜주고자 노력한 사람이다. 셴텐에게는 백마탄 왕자님이라고나 할까. 이 연극를 로맨틱하게 해주는 인물로서 대가없이 사랑을 위해 헌신한 사람이다. 사실 그의 물질적 도움 없이 셴테이든 슈이타이든 삶의 터전을 일구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그는 극중에서 신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셴테를 도운 인물이다.
4. 신들과 물장수 왕
물장수 왕은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셴텐을 신들과 매개해주는 인물이다. 신들이 판단하기에 善人은 되지 못하나 현실에서의 선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는 세 신들의 선에 대한 기준이 너무 엄격하다고 지적함으로써 온전치 못한 세상에서의 새로운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기도한 매개적 인물이다.
이 연극의 신들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간과 별다를 게 없는 신인 것 같다.
유물 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일까. 작가 브레히트는 성경책에 나오는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인간적인 신을 제시했다. 그들은 너무나 무능력하고 선인을 버릴 만큼 무책임하다. 그들이 전지전능하다면 그들의 힘을 이용하여 세상을 변화시켰을 것을.. 그들은 하지 않았다. 그저 인간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인간에게 맡기고 떠나갔을 뿐이다.
Ⅴ. 맺으며
지금까지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사천의 착한사람』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다. 보다 심층깊은 이해를 위해 작가 브레히트(Brecht, Bertolt)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그의 연극이론은 서사극과 소외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왜냐하면 그래야 지만 『사천의 착한 사람』을 보다더 잘 이해하는데 배경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하여튼 그 후 『사천의 착한 사람』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고, 등장인물에 대한 분석에 들어갔다.
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사천의 착한 사람』에 대해 보다 많이 알게되었고, 현대 연극 아니 연극에 대한 이해에 폭이 늘어나게 된 것 같다.
2. 슈이타
셴테가 만들어낸 가상의 악한 인물이다. 극상에서는 셴텐의 사촌으로 소개된다.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변신한 모습이다. 슈이타는 셴테가 감당하기 힘든 세상의 거친 면들에 맞선다. 약육강식의 정글법칙이 적용되는 삭막한 현실사회에서 셴텐은 약자였다면, 슈이타는 강자이다. 슈이타는 사회에서 성공한 유능한 사람을 상징한다. 작가는 센텐의 대비적인 악한 인물로 제시하지만 현실 사회에서는 센텐보다는 이상적인 사람이고 생각한다. 남의 것을 빼앗는 약탈자는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사물을 바로잡을 줄 아는 현명한 사람이다. 오늘날 사회의 이상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3. 슈푸
한 때 창녀이기까지한 셴테를 편견 없이 바라보았으며, 따뜻한 그녀의 성품을 사랑하고 지켜주고자 노력한 사람이다. 셴텐에게는 백마탄 왕자님이라고나 할까. 이 연극를 로맨틱하게 해주는 인물로서 대가없이 사랑을 위해 헌신한 사람이다. 사실 그의 물질적 도움 없이 셴테이든 슈이타이든 삶의 터전을 일구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그는 극중에서 신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셴테를 도운 인물이다.
4. 신들과 물장수 왕
물장수 왕은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셴텐을 신들과 매개해주는 인물이다. 신들이 판단하기에 善人은 되지 못하나 현실에서의 선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는 세 신들의 선에 대한 기준이 너무 엄격하다고 지적함으로써 온전치 못한 세상에서의 새로운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기도한 매개적 인물이다.
이 연극의 신들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간과 별다를 게 없는 신인 것 같다.
유물 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일까. 작가 브레히트는 성경책에 나오는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인간적인 신을 제시했다. 그들은 너무나 무능력하고 선인을 버릴 만큼 무책임하다. 그들이 전지전능하다면 그들의 힘을 이용하여 세상을 변화시켰을 것을.. 그들은 하지 않았다. 그저 인간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인간에게 맡기고 떠나갔을 뿐이다.
Ⅴ. 맺으며
지금까지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사천의 착한사람』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다. 보다 심층깊은 이해를 위해 작가 브레히트(Brecht, Bertolt)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그의 연극이론은 서사극과 소외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왜냐하면 그래야 지만 『사천의 착한 사람』을 보다더 잘 이해하는데 배경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하여튼 그 후 『사천의 착한 사람』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고, 등장인물에 대한 분석에 들어갔다.
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 브레히트(Brecht, Bertolt)의 『사천의 착한 사람』에 대해 보다 많이 알게되었고, 현대 연극 아니 연극에 대한 이해에 폭이 늘어나게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