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브레히트의 생애
2. 브레히트 작품의 특징
3. 소외기법
4. 서사극기법
5. 게스투스극으로서의 서사극
6. 브레히트의 작품
7. 요약
2. 브레히트 작품의 특징
3. 소외기법
4. 서사극기법
5. 게스투스극으로서의 서사극
6. 브레히트의 작품
7. 요약
본문내용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현대 서사극 작가들 가운데 그의 작품과 함께 괄목할만한 이론을 세운 독보적인 존재이다. 그의 이론서들은 극히 개인적으로 이해된 마르크스주의를 토대로 하여 현대 드라마의 극작법 뿐만 아니라 공연이론을 포괄하고 있다. 그리고 공산주의 혁명의 세계상과 세계개혁안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비아리스토텔레스적 극작에 의한 연극을 요청했던 것이다. 그 첫째 이유는 현시되는 모든 개별적인 장면은 그 사회정치적 연관 안에서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 아리스토텔레스적 드라마에서처럼 이는 특정한 단면이 아니라 한 복합체로서의 세계상이 그려져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화자의 해석에 힘입어 교훈의 방향을 잡아주는 교육적 연극이 요청되었다는 점이다. 셋째로 사람들은 ‘과학적’, ‘초개인적’, ‘객관적’ 연극을 요구했는데 그것을 가장 확실하게 보증해 주는 것이 서사적 극작이었다. 브레히트는 그의 이론서 ‘ 연극을 위한 소책자’에서 자연과학적으로 규정된 그의 마르크스적 세계상의 토대를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 세계상이 왜 필연적으로 사회체제의 개편계획을 내포하고 있으며 아울러 그의 연극에는 어떤 기능이 주어지는가를 해명한다. 또 다른 이론서인 ‘거리무대, 서사무대의 기본유형’에서 브레히트는 ‘새로운 소재들’을 한층 쉽게 극복할 수 있는 극형태는 바로 서사극 형태임을 밝힌다. 즉 ‘ 서사극은 인과율적 연관에 들어서 있는 사회적 상황들을 서술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인간관계가 모든 사회적 상황의 앙상블로 파악될 수 없는 오늘날 서사 형태는 포괄적인 한 세계상을 제재로 하는 극작 과정을 잡을 수 있는 유일한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