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간척의 환경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 요
(생명과 조화의 땅, 새만금 갯벌을 살리기 위해 간척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2. 갯벌의 가치가 고려되지 않은 세계 최대의 갯벌파괴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새만금 간척사업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3. 환경단체에서 제시하는 새만금사업 백지화 이후의 방조제 이용에 관한 대안

본문내용

경단체에서 제시하는 새만금사업 백지화 이후의 방조제 이용에 관한 대안
방조제를 완전히 허물어 버리는 것도 좋지만 방조제를 허무는데 약 3조원의 돈이 든다고 합니다. 그래서 환경단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내어놓았다.
1. 현 상태에서 사업을 중단하고 이미 건설된 방조제는 그대로 두어(물길은 터야 하지만) 교훈으로 삼는다. 그리고 남은 방조제는 새로운 지형으로 인정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며 그 뒤처리는 후 세대에 맡긴다.
2. 기존에 축조된 방조제를 이용하여 조류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조류발전 : 조류의 흐름이 유지되어 갯벌은 살고 생물의 자유이동 보장)
3. 풍력발전을 겸한다든지 해서 재생에너지 단지를 만든다.
4. 기존의 방조제를 이용하여 관광개발을 겸한다.
새만금 갯벌이 다시 살아나 우리 어민들의 삶의 터전이 되고,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되고,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천혜의 자원이 되는 생명과 조화의 염습지로 만들어지기를 바라면서 이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그리고 지금 나눠주는 유인물을 환경부와 환경연합 단체간의 새만금에 대한 의견대립 내용들입니다. 더욱 관심있으신 분은 참고자료로써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있으십니까?

키워드

새만금,   환경,   습지,   생태계,   갯벌,   조화의땅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07.24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