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요
(생명과 조화의 땅, 새만금 갯벌을 살리기 위해 간척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2. 갯벌의 가치가 고려되지 않은 세계 최대의 갯벌파괴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새만금 간척사업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3. 환경단체에서 제시하는 새만금사업 백지화 이후의 방조제 이용에 관한 대안
(생명과 조화의 땅, 새만금 갯벌을 살리기 위해 간척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2. 갯벌의 가치가 고려되지 않은 세계 최대의 갯벌파괴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새만금 간척사업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3. 환경단체에서 제시하는 새만금사업 백지화 이후의 방조제 이용에 관한 대안
본문내용
경단체에서 제시하는 새만금사업 백지화 이후의 방조제 이용에 관한 대안
방조제를 완전히 허물어 버리는 것도 좋지만 방조제를 허무는데 약 3조원의 돈이 든다고 합니다. 그래서 환경단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내어놓았다.
1. 현 상태에서 사업을 중단하고 이미 건설된 방조제는 그대로 두어(물길은 터야 하지만) 교훈으로 삼는다. 그리고 남은 방조제는 새로운 지형으로 인정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며 그 뒤처리는 후 세대에 맡긴다.
2. 기존에 축조된 방조제를 이용하여 조류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조류발전 : 조류의 흐름이 유지되어 갯벌은 살고 생물의 자유이동 보장)
3. 풍력발전을 겸한다든지 해서 재생에너지 단지를 만든다.
4. 기존의 방조제를 이용하여 관광개발을 겸한다.
새만금 갯벌이 다시 살아나 우리 어민들의 삶의 터전이 되고,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되고,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천혜의 자원이 되는 생명과 조화의 염습지로 만들어지기를 바라면서 이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그리고 지금 나눠주는 유인물을 환경부와 환경연합 단체간의 새만금에 대한 의견대립 내용들입니다. 더욱 관심있으신 분은 참고자료로써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있으십니까?
방조제를 완전히 허물어 버리는 것도 좋지만 방조제를 허무는데 약 3조원의 돈이 든다고 합니다. 그래서 환경단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내어놓았다.
1. 현 상태에서 사업을 중단하고 이미 건설된 방조제는 그대로 두어(물길은 터야 하지만) 교훈으로 삼는다. 그리고 남은 방조제는 새로운 지형으로 인정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며 그 뒤처리는 후 세대에 맡긴다.
2. 기존에 축조된 방조제를 이용하여 조류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조류발전 : 조류의 흐름이 유지되어 갯벌은 살고 생물의 자유이동 보장)
3. 풍력발전을 겸한다든지 해서 재생에너지 단지를 만든다.
4. 기존의 방조제를 이용하여 관광개발을 겸한다.
새만금 갯벌이 다시 살아나 우리 어민들의 삶의 터전이 되고,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되고,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천혜의 자원이 되는 생명과 조화의 염습지로 만들어지기를 바라면서 이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그리고 지금 나눠주는 유인물을 환경부와 환경연합 단체간의 새만금에 대한 의견대립 내용들입니다. 더욱 관심있으신 분은 참고자료로써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있으십니까?
추천자료
[사회대]-새만금 간척 사업과 관련한 나의 생각과 여행일기
환경문제와 환경시민단체운동(ngo활동을 중심으로)
정책결정의 딜레마 - 새만금간척사업을 사례로
갯벌과 간척사업(새만금 사업의 쟁점)
[환경]인간은 동물을 배려하고 환경을 보호할 의무를 지니는가
[지속가능한 발전][지속가능한 개발][환경지표][도시환경]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 지속가능...
2008년 1학기 협상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새만금갈등사례)
환경행정론 경제개발과 환경문제에 대하여
2011년 2학기 환경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환경권의법적성격)
[항만설계] 새만금 간척사업
(A+자료) 새만금 간척사업과 시민단체에 대한 나의소감과 의견 ,감상문 및 느낀점 조사분석
2012년 2학기 환경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환경권의 법적성격)
2014년 2학기 환경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환경권의 법적성격)
[환경단체의 조직 현황과 사례] 한국(우리나라)의 환경운동연합(환경연합)과 미국의 시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