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서부지역 각 성별 경제의 특징
◎서부지역의 관문인 충칭, 시안, 청두
◎서부지역 각성별 경제의 특징
2. 천연자원의 보고-서부
3. 서부개발은 소수민족 통일방안
4. 인프라 건설-신 실크로드의 건설
5 . 10.5계획에 마련한 서부개발정책
3. 결론
1. 중국투자의 방향
2. 우리의 대응 전략
*강택민의 서부대개발에 대한 정책구상
*서부지구 빈민농가 부양개발사업추진의 개략적 고찰
2. 본론
1. 서부지역 각 성별 경제의 특징
◎서부지역의 관문인 충칭, 시안, 청두
◎서부지역 각성별 경제의 특징
2. 천연자원의 보고-서부
3. 서부개발은 소수민족 통일방안
4. 인프라 건설-신 실크로드의 건설
5 . 10.5계획에 마련한 서부개발정책
3. 결론
1. 중국투자의 방향
2. 우리의 대응 전략
*강택민의 서부대개발에 대한 정책구상
*서부지구 빈민농가 부양개발사업추진의 개략적 고찰
본문내용
활이 곤란하며, 경제와 사회발전수준이 전국에서도 가장 낙후되어 있다. 신시기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추진목표 및 주요현안사항 그리고 농촌빈곤인구의 분포현황에 따르면, 서부지구는 여전히 장기적인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중점지구이다.
서부지구와 전국 또는 동부지구를 서로 비교하여 보면 경제와 사회의 발전정도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부의 12개 省, 市, 自治區간의 상호 비교시 각 지구간에도 서로 현격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부의 366개 국가지정 빈곤縣 중 과반수가 넘는 258개의 縣이 아주 먼 변방에 위치한 산림지구 縣들이며, 전체 366개 빈곤縣 중 210개 현은 소수민족현이다. 이런 현들의 절대다수가 6대 빈곤區에 분포되어 있다. 6대 빈곤구라 함은 : 內蒙古高原東南邊緣風沙化貧困區;黃土高原溝壑水土嚴重流失貧困區;秦巴山地生態惡化貧困區;喀斯特高原丘陵環境危急貧困區;橫斷山脈高山峽谷封閉型貧困區;西部沙漠高寒山區環境惡劣貧困區 등을 말한다.
서부의 빈곤지구는 빈곤지구가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징 외에 아래와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농업이 현지 경제의 주요한 지주산업이나 농업의 생산력이 전국에서 가장 낮다. 둘째, 지역경제발전정도가 낮으며 종합경제력이 매우 약하여 자기의 힘으로는 빈곤문제 해결이 매우 어렵다. 셋째, 노동력의 교육정도와 소질이 낮으며 농가의 부담이 무거워, 농가소득수준의 제고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넷째, 농민의 1인당 평균소득이 낮고, 소득형태 또한 단순하며, 소득증가율이 완만하고 소비수준이 낮아 생존형 소비위주의 소비형태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4가지 특징들은 신시기 서부지구의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추진을 아주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나 10여년의 빈곤구제개발사업의 추진을 통하여 서부지구 빈곤현들의 지역사회발전환경 방면에 명확한 개선이 이루워졌으며, 이는 빈곤지구 농민의 생산, 생활조건 등의 개선향상과 철저한 빈곤탈피를 위한 양호한 기초가 되고 있다.
80년대중엽부터 중국정부는 전국적으로 농촌의 빈곤인구의 먹고 입는 문제(溫飽問題)의 해결과 낙후된 빈곤지구의 경제, 문화수준 개선을 역점시책으로 하는 대규모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전개하여왔다. 국가의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지구로서, 특히 1994년에 실시한 “87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계획”이후 서부빈곤지구는 아래 몇 가지 방면에서 중앙의 중점적인 지원을 받아왔다. 첫째, 중앙의 빈민농가 부양자금을 서부지구에 중점 지원한다. 둘째, 교육을 강화하고 서부빈곤지구 간부관리의 수준과 빈곤농민들의 소질을 적극 향상시킨다. 셋째, 국가기관, 사회단체는 빈민농가 부양사업을 적극적, 중점적으로 전개한다. 넷째, 동부와 서부가 협조하여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동부의 13개 경제발달 省,市와 서부의 10개 빈곤 省.自治區가 동서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서로 협조하여 조직적으로 전개하는 것은 정책상 매우 중대한 전략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다. 서부 빈곤지구에 대하여 경제발전을 촉진함과 아울러, 동부지구 경제발전을 대비하는 힘을 증강하고, 동서간의 빈곤격차를 좁혀 나가, 향후 점차 중요한 작용을 발휘하게 한다. 다섯째, 외자를 적극 유치하고 대외합작을 확대하여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추진을 가속화한다.
서부대개발은 중국정부가 지구간 발전격차의 축소와 전민족의 공동부강의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한 중대한 전략적 정책이다. 그 실질과 최종결과는 빈곤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데 있다. 따라서 서부대개발은 서부빈곤지구의 발전을 위하여 일련의 극히 중요한 역사적 기회를 창조코자 하는 것이다. 즉, 서부의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향후 추진방향은 서부대개발의 기회를 타고 추진하여야 함과 동시에 아래 사항들에 대하여 특히 주의해야 한다.
1. 빈민농가 부양의 목표는 시종 가난한 사람을 겨냥해야 한다. 서부대개발과 빈민농가부양개발은 모두 국가가 지구간의 발전격차를 해소하고 최종적으로는 전민족의 공동번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수립 시행하는 전략적 정책이기는 하나 그 목표의 추진방향은 양자간 현저한 차이가 있다. 서부대개발은 구역의 대발전에 주안점을 둔 것이며, 그 주요시책은 생태환경의 보호 및 건설, 중요기반시설의 건설, 구역의 산업구조조정, 과학교육의 대발전과 인재양성을 촉진하는 것 등이다. 그러나 빈민농가 부양개발은 빈민농가의 부양을 요구하며, 사람을 빈곤구제의 목표로 삼는 등, 아직 먹고 입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거나 그것이 불안정한 가난한 빈곤농가를 그 기본대상으로 삼는데 차이가 있다.
2. 향후 빈민농가 부양개발사업은 생태환경건설과 환경보호를 병행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빈민농가부양개발은 지속가능발전의 지도이념을 시종 견지하여야 한다. 새로운 생태환경의 조성, 경작지를 임야와 초지로 조성(退耕還林還草)할 수 있는 기회, 생산개발방식의 변화, 산업구조의 조정, 새로운 경제성장점의 모색과 건립 등 서부대개발의 신 기회를 확실히 장악하여, 군중들의 먹고 입는 문제, 빈곤탈피로 부농이 되는 문제, 그리고 생태환경보호와 건설 등을 유지적으로 밀접히 결합함으로써 모든 농민들을 “생태건설 ? 빈곤탈피 ? 삶의질 향상상태(小康)에의 진입 ? 부유의 길로 나감”의 순환으로 인도한다.
3. 인력자원의 개발을 강화하여, 빈곤으로부터 탈피하는 근본적인 기초를 다진다. 인구소질의 낮음은 빈곤지구 경제발전의 제약요인이며 빈곤을 반복케 하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서부대개발의 과학기술교육과 인재양성의 우선발전 정책조치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인력자원개발을 적극 강화하고 노동자의 소질함양에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4. 집단이주지역의 개발과 이주민 이주프로젝트를 적극 인도하고 추진한다. 서부지구의 일부 빈곤인구는 자원이 매우 빈약하고 기본적인 생존여건이 구비되지 못한, 생활환경이 극히 열악한 지방에 거주하고 있다. 따라서 집단이주지역의 개발과 집단이주대책의 추진은 빈민농가 부양사업의 유효한 접근방식중 하나이다. 서부대개발 전략의 실시와 중점기반시설의 건설프로젝트의 기회를 잘 이용하고 이를 빈곤인구의 이민정책 및 이주지역 개발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서부지구와 전국 또는 동부지구를 서로 비교하여 보면 경제와 사회의 발전정도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부의 12개 省, 市, 自治區간의 상호 비교시 각 지구간에도 서로 현격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부의 366개 국가지정 빈곤縣 중 과반수가 넘는 258개의 縣이 아주 먼 변방에 위치한 산림지구 縣들이며, 전체 366개 빈곤縣 중 210개 현은 소수민족현이다. 이런 현들의 절대다수가 6대 빈곤區에 분포되어 있다. 6대 빈곤구라 함은 : 內蒙古高原東南邊緣風沙化貧困區;黃土高原溝壑水土嚴重流失貧困區;秦巴山地生態惡化貧困區;喀斯特高原丘陵環境危急貧困區;橫斷山脈高山峽谷封閉型貧困區;西部沙漠高寒山區環境惡劣貧困區 등을 말한다.
서부의 빈곤지구는 빈곤지구가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징 외에 아래와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농업이 현지 경제의 주요한 지주산업이나 농업의 생산력이 전국에서 가장 낮다. 둘째, 지역경제발전정도가 낮으며 종합경제력이 매우 약하여 자기의 힘으로는 빈곤문제 해결이 매우 어렵다. 셋째, 노동력의 교육정도와 소질이 낮으며 농가의 부담이 무거워, 농가소득수준의 제고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넷째, 농민의 1인당 평균소득이 낮고, 소득형태 또한 단순하며, 소득증가율이 완만하고 소비수준이 낮아 생존형 소비위주의 소비형태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4가지 특징들은 신시기 서부지구의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추진을 아주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나 10여년의 빈곤구제개발사업의 추진을 통하여 서부지구 빈곤현들의 지역사회발전환경 방면에 명확한 개선이 이루워졌으며, 이는 빈곤지구 농민의 생산, 생활조건 등의 개선향상과 철저한 빈곤탈피를 위한 양호한 기초가 되고 있다.
80년대중엽부터 중국정부는 전국적으로 농촌의 빈곤인구의 먹고 입는 문제(溫飽問題)의 해결과 낙후된 빈곤지구의 경제, 문화수준 개선을 역점시책으로 하는 대규모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전개하여왔다. 국가의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지구로서, 특히 1994년에 실시한 “87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계획”이후 서부빈곤지구는 아래 몇 가지 방면에서 중앙의 중점적인 지원을 받아왔다. 첫째, 중앙의 빈민농가 부양자금을 서부지구에 중점 지원한다. 둘째, 교육을 강화하고 서부빈곤지구 간부관리의 수준과 빈곤농민들의 소질을 적극 향상시킨다. 셋째, 국가기관, 사회단체는 빈민농가 부양사업을 적극적, 중점적으로 전개한다. 넷째, 동부와 서부가 협조하여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동부의 13개 경제발달 省,市와 서부의 10개 빈곤 省.自治區가 동서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을 서로 협조하여 조직적으로 전개하는 것은 정책상 매우 중대한 전략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다. 서부 빈곤지구에 대하여 경제발전을 촉진함과 아울러, 동부지구 경제발전을 대비하는 힘을 증강하고, 동서간의 빈곤격차를 좁혀 나가, 향후 점차 중요한 작용을 발휘하게 한다. 다섯째, 외자를 적극 유치하고 대외합작을 확대하여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추진을 가속화한다.
서부대개발은 중국정부가 지구간 발전격차의 축소와 전민족의 공동부강의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한 중대한 전략적 정책이다. 그 실질과 최종결과는 빈곤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데 있다. 따라서 서부대개발은 서부빈곤지구의 발전을 위하여 일련의 극히 중요한 역사적 기회를 창조코자 하는 것이다. 즉, 서부의 빈민농가부양 개발사업의 향후 추진방향은 서부대개발의 기회를 타고 추진하여야 함과 동시에 아래 사항들에 대하여 특히 주의해야 한다.
1. 빈민농가 부양의 목표는 시종 가난한 사람을 겨냥해야 한다. 서부대개발과 빈민농가부양개발은 모두 국가가 지구간의 발전격차를 해소하고 최종적으로는 전민족의 공동번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수립 시행하는 전략적 정책이기는 하나 그 목표의 추진방향은 양자간 현저한 차이가 있다. 서부대개발은 구역의 대발전에 주안점을 둔 것이며, 그 주요시책은 생태환경의 보호 및 건설, 중요기반시설의 건설, 구역의 산업구조조정, 과학교육의 대발전과 인재양성을 촉진하는 것 등이다. 그러나 빈민농가 부양개발은 빈민농가의 부양을 요구하며, 사람을 빈곤구제의 목표로 삼는 등, 아직 먹고 입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거나 그것이 불안정한 가난한 빈곤농가를 그 기본대상으로 삼는데 차이가 있다.
2. 향후 빈민농가 부양개발사업은 생태환경건설과 환경보호를 병행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빈민농가부양개발은 지속가능발전의 지도이념을 시종 견지하여야 한다. 새로운 생태환경의 조성, 경작지를 임야와 초지로 조성(退耕還林還草)할 수 있는 기회, 생산개발방식의 변화, 산업구조의 조정, 새로운 경제성장점의 모색과 건립 등 서부대개발의 신 기회를 확실히 장악하여, 군중들의 먹고 입는 문제, 빈곤탈피로 부농이 되는 문제, 그리고 생태환경보호와 건설 등을 유지적으로 밀접히 결합함으로써 모든 농민들을 “생태건설 ? 빈곤탈피 ? 삶의질 향상상태(小康)에의 진입 ? 부유의 길로 나감”의 순환으로 인도한다.
3. 인력자원의 개발을 강화하여, 빈곤으로부터 탈피하는 근본적인 기초를 다진다. 인구소질의 낮음은 빈곤지구 경제발전의 제약요인이며 빈곤을 반복케 하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서부대개발의 과학기술교육과 인재양성의 우선발전 정책조치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인력자원개발을 적극 강화하고 노동자의 소질함양에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4. 집단이주지역의 개발과 이주민 이주프로젝트를 적극 인도하고 추진한다. 서부지구의 일부 빈곤인구는 자원이 매우 빈약하고 기본적인 생존여건이 구비되지 못한, 생활환경이 극히 열악한 지방에 거주하고 있다. 따라서 집단이주지역의 개발과 집단이주대책의 추진은 빈민농가 부양사업의 유효한 접근방식중 하나이다. 서부대개발 전략의 실시와 중점기반시설의 건설프로젝트의 기회를 잘 이용하고 이를 빈곤인구의 이민정책 및 이주지역 개발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Frederick Jackson Turner의 The Significance of the Frontier in American History
현대중공업에 대한 투자
POSCO의 베트남 투자 사례입니다
중국의 도시경제
중국의 개혁과 새로운 업종
국내중소기업 대중국 마케팅전략 연구
지역공단의 입지경쟁력 제고와 소프트인프라 구조변화 및 육성방안
낙동강하구 일대의 자연환경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
[마크트웨인][마크트웨인사상][허클베리핀의모험]마크트웨인의 생애, 마크트웨인의 사상, 마...
10일동안 미국여행
비영리조직 마케팅 탐방[1]
에코델타시티의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
[기업도시][기업][도시][공공성확보][공공의료][성장연합]기업도시의 종류, 기업도시의 중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