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의 전염병 관리체계
2. 우리나라의 주요 전염병 발생현황
3. 전염병 관리 및 예방
4. 보건소에서의 전염병 관리현황
2. 우리나라의 주요 전염병 발생현황
3. 전염병 관리 및 예방
4. 보건소에서의 전염병 관리현황
본문내용
- 지역별 공통적인 특성이 있고 타당성이 높은 내용
- 향후 방역사업을 강화하고 정착시키는데 지침역할을 할 수 있는 내용
b) 평가방법
- 보 건 소사업실적에 대한 자체평가 실시(년2회)
- 시 도관내 시군구 보건소의 추진사업을 년 1회이상 평가 실시
- 국립보건원매년말 실적을 기준하여 시군구별 및 시도별 현지출장을 통하여 수시 평가 실시
c) 행정사항
- 년 1회 국립보건원 주관 전국방역종합(평가)대회 개최
유공자 포상 등 실시
- 전국 방역평가대회시 각 시도는 주요 사례발표 등 실시
- 전국 방역종합(평가)대회 개최장소 선정 및 행사지원 등 사항은 개최지 관할 시도에서 협조
4. 보건소에서의 전염병 관리현황
서울 은평 보건소
1) 방역사업
- 방역취약 지역에 대한 살균 살충 소독
① 소독방법:분무소독, 전격포충기 설치 운영
② 기간:분무소독 연중실시, 전격포충기 설피 운영 (5월~10월)
③ 대상:취약지역, 후생시설, Tm레기 적환장, 하천 등
- 뇌염모기 조기발견 및 구제를 위한 모기채집용 유무 등
설치운영(5월~10월)
2) 결핵 관리
- 요치료자 관리
① 대상
도말 결과 양성인자.
도말 결과 음성이나 X- ray 소견상 활동성 폐결핵으로 판정된 자.
② 치료
약제명
1일 투여량
E (에탐부톨)
몸무게 50㎏ : 3개월째 120㎎(3알)800㎎(2알)
몸무게 50㎏ : 800㎎(2알)
H (아이나)
몸무게 50㎏ : 400㎎(4알)
몸무게 50㎏ : 300㎎(3알)
R (리팜핀)
몸무게 50㎏ : 600㎎(4알)
몸무게 50㎏ : 450㎎(3알)
Z (피라지나마이드)
1.5g(3알) 2개월만 복용
- 요관찰자 관리
① 직촬결과 1~3개월 후 추구자를 요관찰자로 잡는다.
② 한차례정도는 배양을 보내도록 한다.
③ 교육: 지금은 약을 필요 없는 이유 설명. 증상이 나타나면 내소해서 검사토록 권유.
3) 성병관리
① 접수
② 의사상담
③ 검사(의사가 의뢰함)
- 혈액검사(비임균성요도염/임질/매독)
-S.T.D는 여성의 경우(원하면)
④ 성병결과
- 직접 내소해서 상담
- 접수 → 의사 상담
AIDS검사결과 2주정도 걸린다.(다른 검사결과는 3일절도 걸림)
⑤ 처방전 보관
⑥ 성병약수불대장기록
⑦ 시간나는대로 약을 봉지에 담는다.
⑧ 검진실에서 S.T.D받는 여자들(유흥)중 결과이상자
- 성병프로그램에서 접수
- 치료를 요하게 되면 건강진단수첩은 검진실로주고 치료 후 발급임을 전달
인천 남구 보건소
1) 급성전염병 관리사업
방역소독사업
- 대 상 : 쓰레기적환장, 하천, 재래시장, 사회복지시설, 공한지, 저소득층 밀집지역등
- 방 법 : 분무소독(살균,살충소독)을 원칙으로 하되 하절기에는 연막소독 병행 실시
질병정보모니터망 운영
- 운영기간 : 연중 계속
- 모니터활동사항 : 환자조기발견, 전염병질환의 유행상태 파악, 질병정보전달
- 모니터수 : 106개소(2001년 현재, 병·의원, 약국, 집단급식소, 산업장등)
역학조사반 운영
- 운영기간 : 연중 운영
- 구성인원 : 6명(의사1, 간호사1, 행정요원1, 검사요원1, 운전원1, 소독수1)
- 활동사항 : 역학조사, 방역소독, 환자후송조치, 가검물 채취 및 검사
예방접종 실시
참고 문헌
2003년 결핵 관리 지침, 국립 보건원
전염병 예방 관리 지침서, 은평보건소
김정해 외(1994), 역학 및 전염병 관리, 청구 출판사
김정순(1993), 역학 원론, 신광 출판사
참고 사이트
www.redcross.ac.kr
www.eunpyeong.seoul.kr
www.namgu.inchon.kr
my.netian.com
152.99.75.131/downliad
- 향후 방역사업을 강화하고 정착시키는데 지침역할을 할 수 있는 내용
b) 평가방법
- 보 건 소사업실적에 대한 자체평가 실시(년2회)
- 시 도관내 시군구 보건소의 추진사업을 년 1회이상 평가 실시
- 국립보건원매년말 실적을 기준하여 시군구별 및 시도별 현지출장을 통하여 수시 평가 실시
c) 행정사항
- 년 1회 국립보건원 주관 전국방역종합(평가)대회 개최
유공자 포상 등 실시
- 전국 방역평가대회시 각 시도는 주요 사례발표 등 실시
- 전국 방역종합(평가)대회 개최장소 선정 및 행사지원 등 사항은 개최지 관할 시도에서 협조
4. 보건소에서의 전염병 관리현황
서울 은평 보건소
1) 방역사업
- 방역취약 지역에 대한 살균 살충 소독
① 소독방법:분무소독, 전격포충기 설치 운영
② 기간:분무소독 연중실시, 전격포충기 설피 운영 (5월~10월)
③ 대상:취약지역, 후생시설, Tm레기 적환장, 하천 등
- 뇌염모기 조기발견 및 구제를 위한 모기채집용 유무 등
설치운영(5월~10월)
2) 결핵 관리
- 요치료자 관리
① 대상
도말 결과 양성인자.
도말 결과 음성이나 X- ray 소견상 활동성 폐결핵으로 판정된 자.
② 치료
약제명
1일 투여량
E (에탐부톨)
몸무게 50㎏ : 3개월째 120㎎(3알)800㎎(2알)
몸무게 50㎏ : 800㎎(2알)
H (아이나)
몸무게 50㎏ : 400㎎(4알)
몸무게 50㎏ : 300㎎(3알)
R (리팜핀)
몸무게 50㎏ : 600㎎(4알)
몸무게 50㎏ : 450㎎(3알)
Z (피라지나마이드)
1.5g(3알) 2개월만 복용
- 요관찰자 관리
① 직촬결과 1~3개월 후 추구자를 요관찰자로 잡는다.
② 한차례정도는 배양을 보내도록 한다.
③ 교육: 지금은 약을 필요 없는 이유 설명. 증상이 나타나면 내소해서 검사토록 권유.
3) 성병관리
① 접수
② 의사상담
③ 검사(의사가 의뢰함)
- 혈액검사(비임균성요도염/임질/매독)
-S.T.D는 여성의 경우(원하면)
④ 성병결과
- 직접 내소해서 상담
- 접수 → 의사 상담
AIDS검사결과 2주정도 걸린다.(다른 검사결과는 3일절도 걸림)
⑤ 처방전 보관
⑥ 성병약수불대장기록
⑦ 시간나는대로 약을 봉지에 담는다.
⑧ 검진실에서 S.T.D받는 여자들(유흥)중 결과이상자
- 성병프로그램에서 접수
- 치료를 요하게 되면 건강진단수첩은 검진실로주고 치료 후 발급임을 전달
인천 남구 보건소
1) 급성전염병 관리사업
방역소독사업
- 대 상 : 쓰레기적환장, 하천, 재래시장, 사회복지시설, 공한지, 저소득층 밀집지역등
- 방 법 : 분무소독(살균,살충소독)을 원칙으로 하되 하절기에는 연막소독 병행 실시
질병정보모니터망 운영
- 운영기간 : 연중 계속
- 모니터활동사항 : 환자조기발견, 전염병질환의 유행상태 파악, 질병정보전달
- 모니터수 : 106개소(2001년 현재, 병·의원, 약국, 집단급식소, 산업장등)
역학조사반 운영
- 운영기간 : 연중 운영
- 구성인원 : 6명(의사1, 간호사1, 행정요원1, 검사요원1, 운전원1, 소독수1)
- 활동사항 : 역학조사, 방역소독, 환자후송조치, 가검물 채취 및 검사
예방접종 실시
참고 문헌
2003년 결핵 관리 지침, 국립 보건원
전염병 예방 관리 지침서, 은평보건소
김정해 외(1994), 역학 및 전염병 관리, 청구 출판사
김정순(1993), 역학 원론, 신광 출판사
참고 사이트
www.redcross.ac.kr
www.eunpyeong.seoul.kr
www.namgu.inchon.kr
my.netian.com
152.99.75.131/downliad
추천자료
일반 전염병
전염병 역학단계
여러가지 전염병
[보건학]전염병에 대해
전염병과 급성 질환의 확인과 조치
식품과 전염병
전염병과 예방접종
전염병의 역사
전염병예방에 대하여 - 전염병예방의 의의 및 목적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풍진,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수두,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홍역, 유...
[O-157][O-157 정의][O-157 역사][O-157 성질][O-157 특성][O-157 증상][인성전염병]O-157의 ...
소화기계 전염병,종류와 증상
전염병의 유행양식, 전염병 생성과정, 경구전염병과 예방대책, 인축공통전염병과 예방대책, ...
[전염병생성단계] 전염병 생성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