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생성단계] 전염병 생성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염병생성단계] 전염병 생성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CONTENTS -

전염병 생성과정

I. 병원체

II. 병원소
1. 인간병원소
2. 동물병원소
3. 토양

III.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IV. 전파
1. 직접전파
2. 간접전파

V. 병원체의 신숙주내 침입

VI. 숙주의 감수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내로 침투를 막는 1차적 방어를 말한다. 이를테면, 건강한 곤충표면은 각질충이 구성되어 있어 병원체의 침입이 허용되지 않고, 호흡계에 있어서는 기관 및 기관지의 내강에는 선모상피세포라 부르는 선모를 가진 세포가 배열되어 선모운동에 의해 기도에 침입한 세균을 배제하는 작용을 한다. 소화기관에서도 위액의 위산도가 높아 병원균은 건전한 위액 중에서는 통상 생존하지 못한다.
이러한 비특이적 저항력 외에 중요한 것은 각 병원체에 대응한 특이적인 저항력 및 면역현상이다. 면역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선천적 면역(inherent immunity) : 인종, 종속, 성, 연령, 개인차(비특이적 면역)
- 후천적 면역(acquired immunity) : 획득면역(특이적 면역)
인간은 어떤 전염병에 이환되어 치유되면 그 병에는 다시 걸리기 어렵다는 현상이 있다는 것은 옛부터 알려져 왔다. 이러한 것을 일반적으로 면역이라 하지만 이것은 동물에 있어서 자기와 다른 이종단백이 다른 숙주내에 침입했을 때 이것을 항원(antigen)으로서, 이것에 대한 항체(antibody)를 만드는 성질이 있다. 이 항체는 재침입한 항원에 대해서 항원항체반응(antigen antibody reaction)을 일으켜 이것과 결합하고, 항원을 불활화하는 성질이 있다. 세균이나 Virus의 병원체는 모두 인간에 이종이 되는 항원성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침입할 때는 체내에 항체가 생산되어 사람은 질환이 치유된 다음 장기간에 걸쳐 이 항체 생산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그 후 병원체의 침입에 대해서는 이 특이항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예방접종은 이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병원체를 그대로 인간에게 접종한다는 것은 위험하므로 이것을 약독화해서 독성(병원성)을 거의 없을 정도로 감약화한 것을 주사한다. 이 주사에 의해 주입된(결핵-BCG균, Polio-Sabin 백신 등에 의한 생백신) 것에 의해 항체가 만들어지게 된다.
병원체를 자불하기도 하고, 포르말린처리 등을 해서 살균한 경우에도 그 균체에 면역 항체를 만들게 하는 항원으로서의 작용이 남아 있으면 그와 같은 불활성처리된 항원으로 이용된다. 이것이 불활성 백신 또는 사균 백신이라 불려지고 있다. 면역 현상은 숙주의 감수성을 크게 감소시켜 발병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유용한 대책이 되고 있다.
선천면역은 태아가 모체내에서 모친의 항체를 받아서 보유하고 있기 때문 생후 반년 정도 지속되지만 그 후는 크게 기대할 수 없다.
후천면역은 획득면역이라고도 하며 전염병 이환 후나 예방접종 등에 의해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면역을 말한다. 후천면역은 능동면역(병원체 또는 독소에 대해서 생체의 세포가 스스로 작용해서 생기는 면역)과 수동면역(이미 면역을 보유하고 있는 개체가 가지고 있는 항체를 혈청 기타의 수단으로 다른 기체에서 주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능동면역은 다시 자연능동면역(이환 후 생기게 한 것)으로 구분되며, 또 수동면역은 자연수동면역(모체로부터 받은 면역)과 인공수동면역(antitoxin, r-globulin, 혈청)으로 나눈다.
장 단점 : 능동면역은 일반적으로 면역성이 강하고 장기간 지속되나 반면에 수동면역은 효과는 빠르나 체내에서 빨리 파괴되어 면역 지속기간이 짧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8.17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