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의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공자의 기본이론
1)예와 의
2)인
3)정명사상과 정치사상
4)충서와 성덕공부

2.공자의 정신 방면
1)공자의 문화문제에 대한 태도
2)공자의 자아문제에 대한 태도

3.공자의 이론 학설에 대한 태도

본문내용

德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가 성덕을 결정한다고 여기지 않았다. 공자는 이미 意志 자체가 순화되는 것이 인지보다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공자는 의지를 주로 삼고, 앎을 중시하지 않았다. 또 공자 자신은 지식을 가지고 있고도 뽐내지 않고 자신은 무지하다고 하였다. 사람을 가르칠 때 지식을 전수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자가 생각하고 깨닫도록 인도한다는 것이다. 공자는 기본적으로 의지 방향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전체적인 인지활동에 대해서 중시하지 않았다. 知 자체에 대하여 말한다면 공자는 인간의 지혜는 사물의 법칙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지혜의 주요작용은 인간 자신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생각하였다. 知의 의미는 단지 남을 아는 것이며 남을 아는 목적 또한 인간을 이끌어 올바른 데로 나아가게 하는 데 있다. 공자는 認知我를 德性我의 부속으로 보았다.
정의아는 生命力과 生命惑 두 가지 면을 가지고 있는데, 전자는 용감, 굳셈 등의 품질로 나타나고, 후자는 예술활동에 표현된다. 공자는 이 두 방면을 모두 덕성아에 의거해서 그 모범적 규범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공자가 韻과 武를 평한 것은 결코 음악자체에 대해 말한 것이 아니라 음악을 만든 사람의 덕성에 의하여 평가하고 분별한 것이다. 이른바 ‘정나라 유행가는 음란하다’는 것은 분명히 도덕적 의미의 판단이며, 공자는 본래 이것으로 음악의 존폐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표준에 합치되지 못하는 이런 음악을 금지하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하였으니, 공자는 예술이란 도덕적인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명력의 품질을 표현한 것의 중심은 勇의 관념이다. 공자는 덕성의 자각은 하나의 생명력을 낳을 수 있다고 보았다. 勇은 반드시 義를 규범으로 삼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죄악을 낳게 된다. 이것은 생명력은 덕성의 제재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공자는 순수한 철학적 의미의 자아문제에 대하여 비록 완전히 명확한 이론을 갖고 있지 못했으나, 그 의향은 덕성아를 중시한 것이 명백하며 형구, 인지, 정의는 모두 덕성아의 아래에 매어 있으니, 공자의 덕을 중시하는 學은 아무런 문제도 없게 되는 것이다.
●공자의 이론 학설에 대한 태도
≪논어≫중에는 學을 언급한 것이 매우 많다. 공자가 지니고 있는 학의 관념은 공자가 안연을 칭찬하는 말보다 좋은 것이 없다. 공자가 생각한 學은 進德하는 노력을 가리키는 것이다. 공자가 學을 논한 것은 의지의 순화승진에 있거나 가치자각의 발전 위에 있었으므로 공자는 구체적인 지식을 중시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지식활동의 법칙에 대해서도 역시 주의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공자의 立敎태도는 지식을 전수하거나 지식의 법칙을 탐구하는 자와는 다르다. 공자는 進德을 학의 본의로 취하므로 그가 남을 가르치는 것 역시 어떤 객관적인 논증을 걸립함을 중시하지 않고, 직접 교육받은 자를 도와서 그의 의지상태를 바꿈으로써 진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주로 삼았던 것이다. 이것이 공자와 문인의 문답 중 객관적인 논증이 거의 없는 까닭이다.
공자의 대부분의 대화는 모두 듣는 이에게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공자의 목적은 ‘들으면 곧 이것을 실행한다’라는 이런 문제에 대한 객관적인 해답을 주는데 결코 있지 않았고 이런 대답을 통하여 질문자가 본래 가지고 있는 결점을 고쳐주려는데 있었다. 이것은 바로 공자가 진덕을 學의 목표로 삼았을 때 지식 그 자체에 대해서 중시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공자가 물음에 답할 때 객관적 이론을 제시하지 않은 까닭은 공자의 본래 의도가 단지 눈앞에 있는 受敎者를 교화시키려는데 있었을 뿐 객관적 논증을 찾으려는데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공자,   자아문제,   정명사상,   ,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0.15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