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대우자동차 역사
(1) 대우자동차의 성장과정
(2) 대우자동차의 경쟁력
2. 대우자동차의 실패 과정
(1) 대우 구조조정 현황(워크아웃)
(2) 대우차 매각관련
(3) 대우차 최종부도와 그 파장
3.대우자동차의 이해관계자의 입장변화
(1) 노동조합의 입장 변화
(2) 경영자의 입장 변화
(3) 정부의 입장변화
4. 대우자동차의 문제점
(1) 노동조합의 문제점
(2) 경영자의 문제점
(3) 정부의 문제점
(4) 단체교섭의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사이트
Ⅱ. 본론
1. 대우자동차 역사
(1) 대우자동차의 성장과정
(2) 대우자동차의 경쟁력
2. 대우자동차의 실패 과정
(1) 대우 구조조정 현황(워크아웃)
(2) 대우차 매각관련
(3) 대우차 최종부도와 그 파장
3.대우자동차의 이해관계자의 입장변화
(1) 노동조합의 입장 변화
(2) 경영자의 입장 변화
(3) 정부의 입장변화
4. 대우자동차의 문제점
(1) 노동조합의 문제점
(2) 경영자의 문제점
(3) 정부의 문제점
(4) 단체교섭의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섭에 있어 노동자들의 목적은 단 한가지였다. 생존권의 보장. 즉 체불임금 해결과 고용안정이었다. 평생직장이라 생각하며 다녀온 회사. 땀흘린 대가가 겨우 정리해고이다 라는게 그들에게 노동쟁의를 하게 만들었다. 사용자측은 대우자동차가 부도직전에 있었기 때문에 대우자동차의 비대한 몸집을 줄이기 위한게 목적이었다. 노무비 절감을 위해 생산직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정리해고를 실시하려 하였던 것이다.
② 단체교섭의 실패
대우자동차의 노사협상은 실패로 끝났다. 정부와 채권단의 노조의 구조조정동의서 요구에 사용자측은 부도를 막기 위해 노력을 하였고, 노조는 이에 대응해 파업으로 맞섰다. 결국 대우자동차는 부도를 맞게 되었고 사용자측은 노조와의 협의없이 2001년 2월 18일 1750명의 대우의 로고가 새겨진 해고 통지서를 발송하게 되었다. 대우자동차가 회생하기 위한 선택이었던 것이다. 이에 해고된 노조원들은 노조와의 협약을 깨뜨리고 일방적으로 실시한 정리해고는 인정할 수 없다며 출근투쟁을 실시하였고, 정부는 이를 공권력을 투입하여 해산시켰다.
현시대는 지식생산성의 시대이다. 지식노동자는 자산인 시대이다.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경영자, 노조지도자들에 의하여 미국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및 회사의 생존전략으로서 Win-Win 단체교섭을 사용하였다. 또한 미국 노동성에서도 기존의 노사협상이 대립적이고 소모적이어서 노사간의 화합을 도모함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고 보고, 기존의 대립적인 교섭방식을 대체하는 수단으로서 Win-Win 단체교섭기법을 적극 장려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러하지 못했다. 이번 대우자동차의 단체교섭을 보면 알 수 있다. 대우자동차의 경영자와 노조는 2000년 8월 단일법인의 유지, 향후 5년간 인위적인 인원조정을 하지 않고 차량개발을 계속한다는 고용안정특별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정부는 해외매각을 위해 고용안정특별협약의 무력화가 필요했고 채권단은 인력을 포함한 전분야의 구조조정에 합의한다는 동의서를 요구했다. 동의서없이는 부도처리를 하겠다는 채권단의 말에 경영자측과 노조측은 힘겨루기를 시작하고 결국 부도를 맞게 된다. 부도를 맞자 대우자동차는 더욱 힘들어졌고 언론, 협력업체, 노동자의 가족등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동의서를 쓰라는 요구에 굴복하고 2000년 11월 27일 법정관리에 들어가자 동의서에 조인을 하게 된다. 노사협의서에는 경영혁신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든 결정은 경영혁신위원회에서 하기로 하였다. 경영혁신을 위해 경영자가 선택한 것은 정리해고였다. 노조는 정리해고에 반대를 하였고 결국 경영자측의 일방적인 정리해고통지서 발송으로 양측은 끝과 끝을 달리게 되었다.
Ⅲ. 결 론
참으로 오랜 시간이 흘렀다. 대우의 문제가 처음 97년 IMF이후 나타나기 시작해서 지금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대우자동차의 부평공장은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고 해고된 노동자들은 산곡성당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지난 5월 7일에는 GM이 자산인수방식으로 대우자동차판매망과 군산공장을 인수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한치앞도 판가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는 이번 대우자동차의 문제를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 것인가. 먼저 경영자의 예방경영과 비젼경영, 그리고 경영자의 도덕적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울 수 있다. 그리고 노조가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해 경직된 태도로 일관하면 얼마나 위험한지를 배울 수 있다. 우리는 수업시간에 Win-Win 단체교섭 기법이라는 것을 배웠다. Win-Win 단체교섭 기법은 말 그대로 서로가 이기는 전략이다. 즉, 노사 양측이 각자의 입장에서 한발짝 물러서서 생각하는 자세를 가짐으로써 각자의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전략이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적용되었던 이 기법은 이번 대우자동차의 단체교섭에서는 적용되지 못하였다. 대우자동차 문제에 있어서는 노사가 각자의 입장만을 고수하는 극단적인 대립양상을 보여주었을 뿐이다. 노조는 노동의 유연성을 보장하고, 경영자는 고용안정을 보장하는 이러한 Win-Win전략을 사용하였더라면 대우자동차 문제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결과적이게 대우자동차는 부도를 맞게 되었다. 5월 7일자 MBC뉴스에서 대우차 문제에 대해서 GM과 협의 후 매각을 결정할 것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GM은 대우차의 자산을 선별적으로 매수할 것이 유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와 채권단은 제시조건을 지켜보자는 입장이고, 노조는 결사 반대의 입장이다. 대우차 매각과 관련해서 노사는 기업을 살리고, 정부는 침체된 국민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각자의 입장을 이해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국민경제의 목에 가시와 같은 대우자동차 매각 문제가 순탄히 매듭지어 졌으면 하는 것이 우리의 바램이다.
Ⅳ. 참고사이트
대우자동차노동조합............................http://dwno.or.kr
대우자동차 사무노동직장발전위원회.............http://www.dmpeople.or.kr
대우자동차공동투쟁본부........................http://dwtubon.nodong.net
삼성경제연구소................................http://www.seri.org
LG경제연구소..................................http://www.lgeri.com
대우자동차....................................http://www.dm.co.kr
종합뉴스데이터베이스..........................http://www.kinds.or.kr
문화방송......................................http://www.imbc.com
한국방송공사..................................http://www.kbs.co.kr
청와대........................................http://www.cwd.go.kr
재정경제부....................................http://www.mofe.go.kr
② 단체교섭의 실패
대우자동차의 노사협상은 실패로 끝났다. 정부와 채권단의 노조의 구조조정동의서 요구에 사용자측은 부도를 막기 위해 노력을 하였고, 노조는 이에 대응해 파업으로 맞섰다. 결국 대우자동차는 부도를 맞게 되었고 사용자측은 노조와의 협의없이 2001년 2월 18일 1750명의 대우의 로고가 새겨진 해고 통지서를 발송하게 되었다. 대우자동차가 회생하기 위한 선택이었던 것이다. 이에 해고된 노조원들은 노조와의 협약을 깨뜨리고 일방적으로 실시한 정리해고는 인정할 수 없다며 출근투쟁을 실시하였고, 정부는 이를 공권력을 투입하여 해산시켰다.
현시대는 지식생산성의 시대이다. 지식노동자는 자산인 시대이다.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경영자, 노조지도자들에 의하여 미국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및 회사의 생존전략으로서 Win-Win 단체교섭을 사용하였다. 또한 미국 노동성에서도 기존의 노사협상이 대립적이고 소모적이어서 노사간의 화합을 도모함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고 보고, 기존의 대립적인 교섭방식을 대체하는 수단으로서 Win-Win 단체교섭기법을 적극 장려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러하지 못했다. 이번 대우자동차의 단체교섭을 보면 알 수 있다. 대우자동차의 경영자와 노조는 2000년 8월 단일법인의 유지, 향후 5년간 인위적인 인원조정을 하지 않고 차량개발을 계속한다는 고용안정특별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정부는 해외매각을 위해 고용안정특별협약의 무력화가 필요했고 채권단은 인력을 포함한 전분야의 구조조정에 합의한다는 동의서를 요구했다. 동의서없이는 부도처리를 하겠다는 채권단의 말에 경영자측과 노조측은 힘겨루기를 시작하고 결국 부도를 맞게 된다. 부도를 맞자 대우자동차는 더욱 힘들어졌고 언론, 협력업체, 노동자의 가족등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동의서를 쓰라는 요구에 굴복하고 2000년 11월 27일 법정관리에 들어가자 동의서에 조인을 하게 된다. 노사협의서에는 경영혁신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든 결정은 경영혁신위원회에서 하기로 하였다. 경영혁신을 위해 경영자가 선택한 것은 정리해고였다. 노조는 정리해고에 반대를 하였고 결국 경영자측의 일방적인 정리해고통지서 발송으로 양측은 끝과 끝을 달리게 되었다.
Ⅲ. 결 론
참으로 오랜 시간이 흘렀다. 대우의 문제가 처음 97년 IMF이후 나타나기 시작해서 지금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대우자동차의 부평공장은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고 해고된 노동자들은 산곡성당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지난 5월 7일에는 GM이 자산인수방식으로 대우자동차판매망과 군산공장을 인수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한치앞도 판가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는 이번 대우자동차의 문제를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 것인가. 먼저 경영자의 예방경영과 비젼경영, 그리고 경영자의 도덕적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울 수 있다. 그리고 노조가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해 경직된 태도로 일관하면 얼마나 위험한지를 배울 수 있다. 우리는 수업시간에 Win-Win 단체교섭 기법이라는 것을 배웠다. Win-Win 단체교섭 기법은 말 그대로 서로가 이기는 전략이다. 즉, 노사 양측이 각자의 입장에서 한발짝 물러서서 생각하는 자세를 가짐으로써 각자의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전략이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적용되었던 이 기법은 이번 대우자동차의 단체교섭에서는 적용되지 못하였다. 대우자동차 문제에 있어서는 노사가 각자의 입장만을 고수하는 극단적인 대립양상을 보여주었을 뿐이다. 노조는 노동의 유연성을 보장하고, 경영자는 고용안정을 보장하는 이러한 Win-Win전략을 사용하였더라면 대우자동차 문제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결과적이게 대우자동차는 부도를 맞게 되었다. 5월 7일자 MBC뉴스에서 대우차 문제에 대해서 GM과 협의 후 매각을 결정할 것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GM은 대우차의 자산을 선별적으로 매수할 것이 유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와 채권단은 제시조건을 지켜보자는 입장이고, 노조는 결사 반대의 입장이다. 대우차 매각과 관련해서 노사는 기업을 살리고, 정부는 침체된 국민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각자의 입장을 이해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국민경제의 목에 가시와 같은 대우자동차 매각 문제가 순탄히 매듭지어 졌으면 하는 것이 우리의 바램이다.
Ⅳ. 참고사이트
대우자동차노동조합............................http://dwno.or.kr
대우자동차 사무노동직장발전위원회.............http://www.dmpeople.or.kr
대우자동차공동투쟁본부........................http://dwtubon.nodong.net
삼성경제연구소................................http://www.seri.org
LG경제연구소..................................http://www.lgeri.com
대우자동차....................................http://www.dm.co.kr
종합뉴스데이터베이스..........................http://www.kinds.or.kr
문화방송......................................http://www.imbc.com
한국방송공사..................................http://www.kbs.co.kr
청와대........................................http://www.cwd.go.kr
재정경제부....................................http://www.mofe.go.kr
키워드
추천자료
합작투자의 성공과 실패 사례연구
해외직접투자의 개요와 이론적분석 및 기업의 성공실패 사례(A+자료)
공기업 민영화의 실패사례와 혁신방안
국내외 성공,실패한 기업가 4인(잭웰치, 유일한, 김우중, 맥스 디프리)
삼성자동차 실패요인 분석
기업경영실패사례-인재중심으로
기업인수 합병(M&A)전략의 이해 및 성공&실패 사례별 분석
기업의 사업다각화 전략 이해 및 성공 실패 사례분석
세계 최고의 핸드폰 기업 노키아의 경영전략(성공 & 실패 사례분석)
[한일자동차산업, 숙련형성시스템, 혁신네트워크, 노동자숙련, 기업간연계]한일자동차산업의 ...
[중소기업 사례][중소기업 TIP 사례][중소기업 자동차업체 사례][지원행정체제]중소기업 TIP(...
[중소기업][중소기업 기술 투자][중소기업 기술 연구회][중소기업 기술 관련용어]중소기업 기...
[기업경영윤리론] 윤리경영의 성공과 실패사례로본 향후 발전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