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있는 근대화 경로의 한 전형을 보여주었다.
Marx에 의해 상정된 자본주의체제 지양체로서의 사회주의는 레닌에 의해 러시아에서 현실로 실현되었다. 물론, 그것은 Marx가 생각했던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일어난 사회주의는 아니었지만 상당 부분 Marx의 사상에 의해 체계화된 체제였다. 인류는 20세기 초에 거대담론으로서의 사회주의를 현실체계에 도입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1917년의 실제적 결과는 1789년의 결과보다 훨씬 거 컸고 훨씬 더 지속적이었다. 10월혁명은 근현대사에서 단연 가장 방대하게 조직된 혁명운동을 낳았다. 에릭 홉스봄이 지적한 데로 10월혁명은 '세계혁명'으로서 러시아의 울타리를 뛰어넘어 자본주의의 대항체로서 모델을 제시하였고, 실제로 단기 20세기의 역사를 규정지은 초미의 사건이었다.
비록 러시아 혁명이 이룩해놓은 사회체제가 실패로 끝났다 하더라도, "싸움은 계속되어야만 한다"는 명제를 러시아 혁명은 그 자체의 생성논리에서 여실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혁명은 단지 화석화된 존재가 아니라 인류의 끊임없는 투쟁의 지침서라 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나라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초기 순수 자본주의와는 많이 다른 모습으로 진화해왔다. 순수 자본주의만으로는 너무나 많은 모순과 소외받는 사람들이 많아서이다. 현재 선진국이라고 하는 북유럽 국가들은 이러한 폐단을 일찍 파악하고 그 해답을 사회주의에서 찾았다. 물론 공산주의 국가가 되자는 것은 아니었고 최대한의 부의 재분배를 통해서 사회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이다. 또한 자본주의의 무한팽창이라는 현실의 굴레에서 러시아 혁명 당시 보여주었던 혁명 투사들과 민중들의 힘은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하나의 지침서로 작용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두 명의 여중생 사망사고로 매우 분노해 있다. 물론 러시아 혁명때처럼 할 수는 없겠지만 14일 광화문집회에서처럼 민중의 힘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사회의 많은 부조리와 모순, 자본주의에서의 소외 받은 민중과 버림받은 많은 사람들, 이들 모두가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고 행복해야할 권리가 있는 것이다. 레닌은 러시아 혁명에서 이러한 것들을 위해 싸웠을 것이다. 지금 우리는 가장 소외된 계층과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범한 사람들이야 말로 이 사회의 주인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것이다 역사, 특히 혁명사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Marx에 의해 상정된 자본주의체제 지양체로서의 사회주의는 레닌에 의해 러시아에서 현실로 실현되었다. 물론, 그것은 Marx가 생각했던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일어난 사회주의는 아니었지만 상당 부분 Marx의 사상에 의해 체계화된 체제였다. 인류는 20세기 초에 거대담론으로서의 사회주의를 현실체계에 도입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1917년의 실제적 결과는 1789년의 결과보다 훨씬 거 컸고 훨씬 더 지속적이었다. 10월혁명은 근현대사에서 단연 가장 방대하게 조직된 혁명운동을 낳았다. 에릭 홉스봄이 지적한 데로 10월혁명은 '세계혁명'으로서 러시아의 울타리를 뛰어넘어 자본주의의 대항체로서 모델을 제시하였고, 실제로 단기 20세기의 역사를 규정지은 초미의 사건이었다.
비록 러시아 혁명이 이룩해놓은 사회체제가 실패로 끝났다 하더라도, "싸움은 계속되어야만 한다"는 명제를 러시아 혁명은 그 자체의 생성논리에서 여실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혁명은 단지 화석화된 존재가 아니라 인류의 끊임없는 투쟁의 지침서라 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나라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초기 순수 자본주의와는 많이 다른 모습으로 진화해왔다. 순수 자본주의만으로는 너무나 많은 모순과 소외받는 사람들이 많아서이다. 현재 선진국이라고 하는 북유럽 국가들은 이러한 폐단을 일찍 파악하고 그 해답을 사회주의에서 찾았다. 물론 공산주의 국가가 되자는 것은 아니었고 최대한의 부의 재분배를 통해서 사회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이다. 또한 자본주의의 무한팽창이라는 현실의 굴레에서 러시아 혁명 당시 보여주었던 혁명 투사들과 민중들의 힘은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하나의 지침서로 작용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두 명의 여중생 사망사고로 매우 분노해 있다. 물론 러시아 혁명때처럼 할 수는 없겠지만 14일 광화문집회에서처럼 민중의 힘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사회의 많은 부조리와 모순, 자본주의에서의 소외 받은 민중과 버림받은 많은 사람들, 이들 모두가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고 행복해야할 권리가 있는 것이다. 레닌은 러시아 혁명에서 이러한 것들을 위해 싸웠을 것이다. 지금 우리는 가장 소외된 계층과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범한 사람들이야 말로 이 사회의 주인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것이다 역사, 특히 혁명사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지리혁명과 상업혁명
프랑스혁명과 미국 혁명의 비교조사
디지털혁명의 빠름을 넘어선 느림 -거리의 소멸ⓝ디지털혁명을 읽고
혁명!! - 우리나라가 가진 문제점과 그에 따른 혁명의 필요성
태평천국의 혁명적 성격-동학혁명과의 비교-
종교혁명으로서의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의 혁명과 박정희의 혁명 비교
혁명과 여성 - 프랑스 혁명기의 여성사적인 의의와 영향
프랑스68혁명(5월혁명)이 만든 문화
과학혁명의구조를 읽고: 과학혁명의구조와 패러다임이론
1차산업혁명부터 4차산업혁명까지의 변화
산업혁명을 정의하고 미래의 유망직업에 대해 제시 - 산업혁명
다국적기업론>>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밝히고,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어떠한...
공통교양=다국적기업론=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밝히고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