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연구사
2.이본고찰
1)필사본의 서지 및 특색
2)활자본의 서지 및 특색
3.작품의 구조적 특성 및 주제적 특징
1)작품의 구성
2)작품의 구조적 특성 및 주제적 특징
3)양풍운전과의 비교(유사점과 차이점)
2.이본고찰
1)필사본의 서지 및 특색
2)활자본의 서지 및 특색
3.작품의 구조적 특성 및 주제적 특징
1)작품의 구성
2)작품의 구조적 특성 및 주제적 특징
3)양풍운전과의 비교(유사점과 차이점)
본문내용
도사의 지시로 황 성에 올라와 어룡과 임선을 찾례로 만난다.
19) 어룡이 월백동으로 가서 월을 만나고, 본집에 가서 재룡과 시비 차영을 데리고 황성으 로 올라와 가족이 모두 다시 만난다. 윤시랑과 어의관이 결의 형제를 맺고, 천자의 배 려로 별궁에 거쳐하여 함께 산다.
20) 어룡이 19세에 병부상서 장경의 딸 정임과 결혼한다.
21) 재룡이 18세에 예부상서 왕경의 딸과 결혼한다. 장부인은 3남 1녀를, 왕부인은 2남 1 녀를 두고 우애가 지극하다.
22) 어의관이 병으로 죽는다. 자손이 점점 번성하여 만세 무궁하다.
) 정좌경, 어룡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7~39쪽.
2. 작품의 구조적 특징 및 주제적 특징
◎「어룡전」은 계모가 전처 자식을 박해하는 이야기에, 축출된 자식이 활약하는 군담이 연결되고, 여기에 다시 주인공의 결연담이 결말부에 첨가되는 순차적인 합성의 복합구성 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복합구성이 나오게 된 시대적 배경은 전문적 작자의 부족으로 유형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작품의 흥미가 감소되자, 유형 구조의 변형으로 작품의 흥미를 제고시키려는 데 그 원인이 있다. 이는 새로 편입된 서사 단락과 삽화들이 그 소설 유형의 서사 단락 중에서도 가장 극적이고 흥미있는 대목이라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실제로 복합구성의 양식을 보인 「어룡전」「정을신전」「양풍전」등은 폭넓게 읽혔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구성은 작자들의 문제 의식을 둔화시켜 주제를 관념화시키고, 부적절한 감정의 노출로 주제를 흐린다. 이는 작품의 전체적 짜임새나 논리는 고려하지 않고 흥미 제고만을 목적으로 삽화들을 첨입시켜 작품세계의 현실성과 합리성이 약화된 결과이다.
) 정좌경, 앞의책, 53~54쪽.
◎ 어룡전은 계모의 영입에서 빚어지는 가족갈등을 계모형 가정소설의 상투적 도식에 따라 다루고 있으며, 갈등의 배경과 본질에 대한 진지한 탐색 없이 모든 문제를 권징적 도덕률에 따라 해결하고 있다. 계모의 악과 전처자식의 선이 한층 절대화되면서, 선악의 극단적 대조와 감정의 무절제한 노출로 독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멜러드라마적 성격이 크게 강화되어 있다. 주인공의 무용담(武勇談)과 가족들의 이합(離合) 과정이 지나치게 확장됨으로써, 계모와 전처자식의 갈등이라는 본래적 문제는 뒤로 밀려나고, 작품의 주제도 상당히 흐려져 있다. 이러한 멜러드라마적 성격의 강화와 군담의 대폭적 확장은 작자가 문제의식을 상실한 채 독자들의 대중적 기호에 영합해 간 결과인데, 이는 조선후기 소설이 기존 작품들의 유형화된 틀을 기계적으로 답습하면서 통속화되어 가는 한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북대 박사논문, 1991
3. 양풍운전 과의 비교 (유사점과 차이점)
어룡전은 계모로 인하여 전처 소생의 남매가 쫓겨나고, 이들 남매가 갖은 고초를 겪은 끝에 다시 가정의 화합을 이룬다는 내용의 가정소설이다.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이 작품은 〈양풍운전 梁風雲傳〉과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되는데, 다음 몇 가지 점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첫째, 〈양풍운전〉에서는 주인공의 아버지가 계모 송씨의 계략에 빠져 직접 남매를 쫓아내고 박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어룡전〉에서는 아버지가 쫓겨난 자녀를 찾아 나서는 행동력을 보인다.
둘째, 가화(家禍)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전자의 경우에는 남매가 선계를 다녀오는 등 전기적 수법을 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에 의하여 해결하게 하는 보다 현실적인 방법을 쓰고 있다.
셋째, 계모의 죄를 벌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풍운전〉의 송씨는 사사(賜死)된다. 이에 반해 〈어룡전〉의 강씨는 앙화를 입어 죽지만 그의 소생 재룡이 이복형 용의 후의를 입어 거두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가정소설 속에서 이 작품이 지닌 특성과 그 위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 정좌경, 어룡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북대 박사논문,1991.
· 우쾌제, "계모형 소설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조희웅, 고전 소설 이본 목록 (서울 : 집문당, 1999)
· 이능우, 고소설 연구(서울 : 선명문화사, 1973)
· 최용순, 魚龍傳硏究 (새국어교육 32, 韓國國語敎育學會, 1980.12.)
· 임성래, 魚龍傳의 構成考 (연세어문학 14·15 합병호, 1982)
19) 어룡이 월백동으로 가서 월을 만나고, 본집에 가서 재룡과 시비 차영을 데리고 황성으 로 올라와 가족이 모두 다시 만난다. 윤시랑과 어의관이 결의 형제를 맺고, 천자의 배 려로 별궁에 거쳐하여 함께 산다.
20) 어룡이 19세에 병부상서 장경의 딸 정임과 결혼한다.
21) 재룡이 18세에 예부상서 왕경의 딸과 결혼한다. 장부인은 3남 1녀를, 왕부인은 2남 1 녀를 두고 우애가 지극하다.
22) 어의관이 병으로 죽는다. 자손이 점점 번성하여 만세 무궁하다.
) 정좌경, 어룡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7~39쪽.
2. 작품의 구조적 특징 및 주제적 특징
◎「어룡전」은 계모가 전처 자식을 박해하는 이야기에, 축출된 자식이 활약하는 군담이 연결되고, 여기에 다시 주인공의 결연담이 결말부에 첨가되는 순차적인 합성의 복합구성 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복합구성이 나오게 된 시대적 배경은 전문적 작자의 부족으로 유형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작품의 흥미가 감소되자, 유형 구조의 변형으로 작품의 흥미를 제고시키려는 데 그 원인이 있다. 이는 새로 편입된 서사 단락과 삽화들이 그 소설 유형의 서사 단락 중에서도 가장 극적이고 흥미있는 대목이라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실제로 복합구성의 양식을 보인 「어룡전」「정을신전」「양풍전」등은 폭넓게 읽혔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구성은 작자들의 문제 의식을 둔화시켜 주제를 관념화시키고, 부적절한 감정의 노출로 주제를 흐린다. 이는 작품의 전체적 짜임새나 논리는 고려하지 않고 흥미 제고만을 목적으로 삽화들을 첨입시켜 작품세계의 현실성과 합리성이 약화된 결과이다.
) 정좌경, 앞의책, 53~54쪽.
◎ 어룡전은 계모의 영입에서 빚어지는 가족갈등을 계모형 가정소설의 상투적 도식에 따라 다루고 있으며, 갈등의 배경과 본질에 대한 진지한 탐색 없이 모든 문제를 권징적 도덕률에 따라 해결하고 있다. 계모의 악과 전처자식의 선이 한층 절대화되면서, 선악의 극단적 대조와 감정의 무절제한 노출로 독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멜러드라마적 성격이 크게 강화되어 있다. 주인공의 무용담(武勇談)과 가족들의 이합(離合) 과정이 지나치게 확장됨으로써, 계모와 전처자식의 갈등이라는 본래적 문제는 뒤로 밀려나고, 작품의 주제도 상당히 흐려져 있다. 이러한 멜러드라마적 성격의 강화와 군담의 대폭적 확장은 작자가 문제의식을 상실한 채 독자들의 대중적 기호에 영합해 간 결과인데, 이는 조선후기 소설이 기존 작품들의 유형화된 틀을 기계적으로 답습하면서 통속화되어 가는 한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북대 박사논문, 1991
3. 양풍운전 과의 비교 (유사점과 차이점)
어룡전은 계모로 인하여 전처 소생의 남매가 쫓겨나고, 이들 남매가 갖은 고초를 겪은 끝에 다시 가정의 화합을 이룬다는 내용의 가정소설이다.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이 작품은 〈양풍운전 梁風雲傳〉과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되는데, 다음 몇 가지 점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첫째, 〈양풍운전〉에서는 주인공의 아버지가 계모 송씨의 계략에 빠져 직접 남매를 쫓아내고 박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어룡전〉에서는 아버지가 쫓겨난 자녀를 찾아 나서는 행동력을 보인다.
둘째, 가화(家禍)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전자의 경우에는 남매가 선계를 다녀오는 등 전기적 수법을 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에 의하여 해결하게 하는 보다 현실적인 방법을 쓰고 있다.
셋째, 계모의 죄를 벌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풍운전〉의 송씨는 사사(賜死)된다. 이에 반해 〈어룡전〉의 강씨는 앙화를 입어 죽지만 그의 소생 재룡이 이복형 용의 후의를 입어 거두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가정소설 속에서 이 작품이 지닌 특성과 그 위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 정좌경, 어룡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북대 박사논문,1991.
· 우쾌제, "계모형 소설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조희웅, 고전 소설 이본 목록 (서울 : 집문당, 1999)
· 이능우, 고소설 연구(서울 : 선명문화사, 1973)
· 최용순, 魚龍傳硏究 (새국어교육 32, 韓國國語敎育學會, 1980.12.)
· 임성래, 魚龍傳의 構成考 (연세어문학 14·15 합병호, 1982)
추천자료
[김유정 소설 소낙비][소설][도덕성][작품배경][작품분석]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줄거리, 김유...
[나도향 소설 물레방아][나도향][물레방아][줄거리][작품분석][작품감상]나도향 소설 물레방...
[김유정 소설 만무방][해학성]김유정 소설 만무방의 작가, 김유정 소설 만무방의 의미, 김유...
[김유정 소설 봄봄][봄봄][작품해석]김유정 소설 봄봄의 줄거리, 김유정 소설 봄봄의 작가, ...
[김동인 소설 배따라기][김동인][배따라기][소설][소설 배따라기][작품감상]김동인 소설 배따...
[박완서 소설 나목][박완서 소설][나목][박완서][작품분석]박완서 소설 나목의 내용요약, 박...
[당대 전기소설][당나라 전기소설][전기소설][소설][당나라][당대]당대(당나라) 전기소설의 ...
[은희경 소설 마이너리그][작가][등장인물][작품감상][마이너리그]은희경 소설 마이너리그의 ...
[염상섭 소설 삼대][기독교][작품분석]염상섭 소설 삼대의 작가, 염상섭 소설 삼대의 등장인...
[이기영 소설 고향][줄거리][등장인물][작가][작품구조][작품감상]이기영 소설 고향의 줄거리...
[이문열 소설][사람의 아들][종교관][신관]이문열 소설 사람의 아들 이데올로기, 이문열 소설...
[이태준 소설 꽃나무는 심어 놓고]이태준 소설 꽃나무는 심어 놓고의 작가, 이태준 소설 꽃나...
[한국현대소설론] 1930년대 리얼리즘 소설과 모더니즘 소설 - 1930년대 소설가와 그의 작품들
[한국현대소설론] 1920년대 계몽소설과 순수소설 - 시대개관, 1920년대 소설(김동인, 현진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