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훈의 상록수(常綠樹) 총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훈의 상록수(常綠樹) 총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지은이

2.줄거리
1) 쌍두취행진곡(雙頭鷲行進曲)
2) 일적천금(一滴千金)
3) 기상나팔(起床喇叭)
4) 가슴 속의 비밀
5) 해당화 필 때
6) 제 3의 고향
7) 불개미와 같이
8) 그리운 명절
9) 반가운 손님
10) 새로운 출발
11) 이별
12) 이역의 하늘
13) 천사의 임종
14) 최후의 일인

3.주제

4.구성

5.시점

6.등장인물과 인물의 묘사방법

7.배경

8.문학적 평가

본문내용

당진으로 낙향을 하게 되었다. 그의 집안은 본래 대대로 서울에서 살아온 사람들이었다. 그러 나 심훈이 낙향하기 전에 뜻하는 바들이 있어 서울을 버리고 시골로 내려가 살자고 결정한 터였다. 심훈의 낙향은 그들을 뒤따르 는 형식으로 취해진 것이다.
그런데 심훈이 낙향하여 그의 집안 사람들과 합류한 당진군 송악면 부곡리에는 이미 그 전에 농촌운동 조직으로 '공동경우회'가 조직되어 있었다. 그 주동 인물은 심훈의 큰 조카인 심재영이었다. 심훈은 낙향과 동시에 이들과 자연스럽게 합류했다. 그리하 여 야학을 운영하고 소비조합을 만드는가 하면 주거환경, 위생시설 등도 개량해 나가는 한편 그의 본업인 작품의 구상, 집필도 병행해 나갔다.
또한 '공동경우회'의 중심회원 가운데는 아주 열성적인 여자 회원이 있었다. 그가 바로 심훈의 조카인 심재영과 동지의 관계에 있는 최용신이었다. 이 여류 농촌운동가는 당시로 본다면 희귀하게도 도회지에 나가 근대적 교육을 받은 신여성이었다. 따라서 원하기만 한다면 얼마든지 좋은 자리로 시집을 가서 유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터였다. 그럼에도 그녀는 그걸 마다 하고 가난과 무지, 질병이 들끓는 농촌에 뛰어들어 농민들의 계몽, 지도에 젊음을 불태우고 있었다. 이런 사실은 충분히 작품이 될 정도로 감격스러운 소재들이었다. 심훈의 <상록수>는 바로 이런 사실들에서 제재를 택해 그것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켜 낸 작품이다.
② 심훈의 상록수는 조명희의 '낙동강', 이광수의 '흙', 이기영의 '고향'에서 보이는 지식인의 관념적 주도 내지는 지도 의식은 가셔 버리고 농촌의 현실을 직시하고 지식인의 입장에서 농민의 처지로 스스로 탈바꿈하여 농사일을 실천하고 문맹퇴치에 전력 하는 의지적인 주인공을 묘사하여 당대의 많은 독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주인공 박동혁은 스스로가 빈농가 출신이고 고농에 재학하는 학생이었지만, 고향 한곡리에 가 소작인들을 모아 농우회를 만들고 공동답을 새로운 경작법으로 지으면서 농민의 결속된 의식을 이끌어낸다. 이 젊은 주인공은, 지식인으로서 농민에게 가르치고 명령하는 자리에서 벗어나 농민과 같이 농사를 지으면서 그들과 고락을 같이하며 농촌 문제를 개선해 간다. 이 점에서 이광수의 '흙'에 설정된 지식인인 허숭과 다르며, 이기영의 '고향'에 설정된 농촌운동가 김희준과도 그 성격이 판이하다.
심훈의 인물 형상화에서 실천의 주인공의 비로소 보이고, 그 실천이 지식이나 관념보다도 현실을 객관적이고 이해하고 농민 자 신의 삶과 합치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드러난다. 또 주인공들은 어떠한 장애에도 굴복하지 않고 목표를 향하여 실천해 간다.
하나의 예로써 채영신의 병 간호 때문에 한곡리를 비웠을 때 강기천이 계략으로 전농회 회장이 되고 농우회관을 차지했을 때, 동혁은 현실을 인정하고 자신의 진로를 모색하여 끝내는 소작 농민들의 빚을 탕감하는 저력과 실천력까지 보이는 주인공으로 묘 사되고 있다. 즉 패배적 자세를 보이지 않고 바뀐 형세를 창조적으로 이용한다.
여자 주인공 채영신의 기독교적 희생정신을 통하여서도 역시 농민의 처지에서 개혁을 실천하는 인물로 묘사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30년대 농촌 계몽 운동과 농민 문학의 통합된 결실은 심훈의 '상록수'에 이르러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고, 뜻 깊은 작품으로 나타남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소설사의 맥락에서 보아 진정한 농민문학의 기념비적 작품을 심훈이 남긴 것으 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에서 바라볼 때, 김유정, 채만식, 이무영, 김정한 등을 통하여 방영웅, 이문구에 이르는 농민문 학의 빛나는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1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0.1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9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