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문
2. 언어와 민족성간의 상관성
3. 언어와 자아정체성
4.『由熙』의 언어적 특성
5. 제국주의의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다
6. 맺음말
2. 언어와 민족성간의 상관성
3. 언어와 자아정체성
4.『由熙』의 언어적 특성
5. 제국주의의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다
6. 맺음말
본문내용
[일본현대문학특강] 유희의 언어적 특성에 대하여 [언어 민족성, 언어 민족성 상관성, 언어 자아정체성, 유희 언어적 특성, 일본 언어적 유희, 유희 언어적 특징 조사, 일본어 언어적 유희]
재일 한국인 문학은 일본 내의 소수집단 문학으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재일 한국인 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재일 한국인 문학에는, 태어나고 자란 일본과 조국인 한국 사이에서, 그리고 모어인 일본어와 모국어인 한국어 사이에서 갈등하는 재일 한국인들의 자아 정체성 혼란의 문제가 그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일관되게 드러나 있다. 『由熙』에서는 주인공 유희가 조국에 와서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그녀가 직면하는 실존의 문제가 심도 있게 다뤄지고 있다.
『由熙』는 작가의 분신이라 해도 좋을 만큼 작가의 체험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작가 이양지는 재일 2 세대로 조국의 언어인 한국어를 모어로 습득하지 못하고 모국어인 한국어와 모어인 일본어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이러한 작가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는 것이 『由熙』이다. 주인공 유희는 조국을 직접 체험하고 알아보기 위해 한국에 온다. 그녀는 ‘모국어’와 ‘모어’ 사이의 괴리감을 메우고 한국인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싶어 한국 행을 결심하지만, 현실은 예상에서 크게 빗나간다. 유희는 한국에 와서 오히려 자기 안의 ‘일본적인 것’에 눈을 뜬다. 막상 조국에 왔어도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유희는 사고 방식이나 행동 양식 등에서 결국 일본인과 다를 바가 없었던 것이다. 한국에 오면 자기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으리라 믿은 그녀는 자신의 기대가 무너지고 오히려 자기가 일본적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되자 심한 혼란에 빠지고 자기 혐오적에 빠지게 되기도 한다. 유희의 이러한 혼란은 소설 속의 그녀의 언동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유희의 혼란이 소설『由熙』의 언어적 특성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해 봄으로서 작품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고자 한다.
2. 언어와 민족성 간의 상관성
태어나고 자란 나라로서의 일본과 조국으로서의 한국, 모어로서의 일본어와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사이에서 혼란스러워 하는 유희를 좀더 이해하기 위해 언어와 민족성의 관계에 대해 먼저 생각해 보려 한다. 태어나면서부터 어머니에게서 배운 언어, 이른바 mother tongu에 따라 사람은 생각하고 말하기 때문에 어떤 모어(母語)를 가지고 있는지가 그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재일 한국인 문학은 일본 내의 소수집단 문학으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재일 한국인 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재일 한국인 문학에는, 태어나고 자란 일본과 조국인 한국 사이에서, 그리고 모어인 일본어와 모국어인 한국어 사이에서 갈등하는 재일 한국인들의 자아 정체성 혼란의 문제가 그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일관되게 드러나 있다. 『由熙』에서는 주인공 유희가 조국에 와서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그녀가 직면하는 실존의 문제가 심도 있게 다뤄지고 있다.
『由熙』는 작가의 분신이라 해도 좋을 만큼 작가의 체험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작가 이양지는 재일 2 세대로 조국의 언어인 한국어를 모어로 습득하지 못하고 모국어인 한국어와 모어인 일본어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이러한 작가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는 것이 『由熙』이다. 주인공 유희는 조국을 직접 체험하고 알아보기 위해 한국에 온다. 그녀는 ‘모국어’와 ‘모어’ 사이의 괴리감을 메우고 한국인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싶어 한국 행을 결심하지만, 현실은 예상에서 크게 빗나간다. 유희는 한국에 와서 오히려 자기 안의 ‘일본적인 것’에 눈을 뜬다. 막상 조국에 왔어도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유희는 사고 방식이나 행동 양식 등에서 결국 일본인과 다를 바가 없었던 것이다. 한국에 오면 자기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으리라 믿은 그녀는 자신의 기대가 무너지고 오히려 자기가 일본적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되자 심한 혼란에 빠지고 자기 혐오적에 빠지게 되기도 한다. 유희의 이러한 혼란은 소설 속의 그녀의 언동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유희의 혼란이 소설『由熙』의 언어적 특성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해 봄으로서 작품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고자 한다.
2. 언어와 민족성 간의 상관성
태어나고 자란 나라로서의 일본과 조국으로서의 한국, 모어로서의 일본어와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사이에서 혼란스러워 하는 유희를 좀더 이해하기 위해 언어와 민족성의 관계에 대해 먼저 생각해 보려 한다. 태어나면서부터 어머니에게서 배운 언어, 이른바 mother tongu에 따라 사람은 생각하고 말하기 때문에 어떤 모어(母語)를 가지고 있는지가 그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의 문학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전반적인 특성☆
[장애인복지, 사회복지]장애인의 개념,복지,제도,특성,법적분류,과제,투쟁등 정리
[현대문화현상]포스트모더니즘과 그 문화에 대해서 조사
[가사의담화양식]가사의 시적 담화 양식 및 본질과 담론 특성 분석
국어 지도안 (중학교1-1 국어 1. 문학의 즐거움(2)아버지의 유물)
[친일문학][친일행각][친일파 분류][친일파 청산][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환수]친일문학, 친...
구비문학 연구
대중매체(문자텍스트인 문학작품과 영상매체)와 페미니즘
[독서운동][독서운동 특성][독서운동 현황][외국 독서운동 사례][독서운동 활성화 방안]독서...
텍스트의 분석 이론, 상호텍스트성, 미적 텍스트성, 워터마킹 텍스트, 칼럼 분석과 텍스트, ...
[이야기][이야기의 개념][이야기의 어원][이야기의 제의적 특성][이야기의 이론적 내용]이야...
[언어발달검사] 언어학습능력 진단검사(ITPA), 피바디 그림어휘검사(피바디 그림어휘력검사),...
[한국 현대 시론] 시의 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