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다양 은어에 대하여
2) 대학생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은어 Best 7
3. 결론
2. 본론
1) 다양 은어에 대하여
2) 대학생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은어 Best 7
3. 결론
본문내용
나의 생각 중에서 나도 쓰는 말이 있었는데 지금부터라도 조금씩 고쳐 나가야겠다.
- 우리가 쓰는 말속에는 욕설이 들어 있지 않는 말은 거의 없다. 말도 안되는 말을 지어서 못 알아 듣는 말을 하곤 한다. 우리말을 소중히 알고 표준어를 쓰도록 하여 말 한마디를 소중히 여기며 고운말만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욕설이나 말도 안되는 말을 평소에 편안하게 아무 생각없이 말하는 자세에 문제가 있다. 말을 하면서 욕없이는 말이 안되는 요즘 시대에 올바른 생각을 갖고 있다면 이런 말이 나오지 않았을거라 생각된다. 예의없는 이런 세대에 문제 때문에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가 싶다. 말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인격을 갖추게 말하면 이런 천한 말이 나오지 않을거다.
결론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는 옛 말처럼 그들의 입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언어들은 거꾸로 판별해 보면 그들의 인격과 성품과 생활 그리고 정서를 엿볼 수 있다. 대학생의 정서나 꿈, 인품에는 상처와 울분, 좌절과 아픔이 그곳에 스며 있음은 그들의 은어사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인터넷의 한 페이지에 대학생의 언어생활에 관한 이야기와 함께 그들의 언어생활 실태를 분석하고 언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말하며, 언어순화를 위한 방법도 제시되어 있는 것을 보았다. "아"다르고 "어"다르다는 말처럼 올바른 언어사용은 중요하다. 그렇지만, 순화를 강요하고 기존의 틀 안으로 끌어들여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자기들만의 탈출구를 찾는 우리의 대학생들에게 적어도 또다른 탈출구를 만들어 주고나서 그들만의 언어사용에 대해 관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대학생의 은어 사용을 실태를 알아 보기 위해 만난 대학생에게 물었다. 귀에 거슬리는 은어를 친구가 자신에게 할 때 기분이 어떠냐는 질문에 '조금 기분이 나쁘다'는 그 친구에게 앞으로는 내가 들어서 기분 상하지 않는 말을 상대방에게도 사용 할 것을 당부하고, 욕설이나 기분 나쁜 은어를 사용 할 때 조금씩 그 횟수를 줄이자는 제안과 작은 수첩을 선물하며, 그 줄인 말들(기분을 나쁘게 하는)을 그곳에 마구잡이로 적어 풀자고 했더니, 빙긋이 웃음을 보였다.
대학생의 은어 사용을 무조건 비난하거나 질책하기 보다 먼저, 그들의 말에 내포된 속뜻을 이해하고, 은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신의 의사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습관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옛 속담을 떠올리며 이 글을 마칠까 한다.
- 우리가 쓰는 말속에는 욕설이 들어 있지 않는 말은 거의 없다. 말도 안되는 말을 지어서 못 알아 듣는 말을 하곤 한다. 우리말을 소중히 알고 표준어를 쓰도록 하여 말 한마디를 소중히 여기며 고운말만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욕설이나 말도 안되는 말을 평소에 편안하게 아무 생각없이 말하는 자세에 문제가 있다. 말을 하면서 욕없이는 말이 안되는 요즘 시대에 올바른 생각을 갖고 있다면 이런 말이 나오지 않았을거라 생각된다. 예의없는 이런 세대에 문제 때문에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가 싶다. 말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인격을 갖추게 말하면 이런 천한 말이 나오지 않을거다.
결론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는 옛 말처럼 그들의 입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언어들은 거꾸로 판별해 보면 그들의 인격과 성품과 생활 그리고 정서를 엿볼 수 있다. 대학생의 정서나 꿈, 인품에는 상처와 울분, 좌절과 아픔이 그곳에 스며 있음은 그들의 은어사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인터넷의 한 페이지에 대학생의 언어생활에 관한 이야기와 함께 그들의 언어생활 실태를 분석하고 언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말하며, 언어순화를 위한 방법도 제시되어 있는 것을 보았다. "아"다르고 "어"다르다는 말처럼 올바른 언어사용은 중요하다. 그렇지만, 순화를 강요하고 기존의 틀 안으로 끌어들여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자기들만의 탈출구를 찾는 우리의 대학생들에게 적어도 또다른 탈출구를 만들어 주고나서 그들만의 언어사용에 대해 관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대학생의 은어 사용을 실태를 알아 보기 위해 만난 대학생에게 물었다. 귀에 거슬리는 은어를 친구가 자신에게 할 때 기분이 어떠냐는 질문에 '조금 기분이 나쁘다'는 그 친구에게 앞으로는 내가 들어서 기분 상하지 않는 말을 상대방에게도 사용 할 것을 당부하고, 욕설이나 기분 나쁜 은어를 사용 할 때 조금씩 그 횟수를 줄이자는 제안과 작은 수첩을 선물하며, 그 줄인 말들(기분을 나쁘게 하는)을 그곳에 마구잡이로 적어 풀자고 했더니, 빙긋이 웃음을 보였다.
대학생의 은어 사용을 무조건 비난하거나 질책하기 보다 먼저, 그들의 말에 내포된 속뜻을 이해하고, 은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신의 의사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습관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옛 속담을 떠올리며 이 글을 마칠까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어사용 국가들의 언어정책 고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순기능을 위한 방안
문자 언어의 효과적인 사용(채팅)
[사회언어학]영어사용에 나타난 성차별 및 성차이에 관한 고찰
외국어를 사용한 한국어 언어유희
컴퓨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대처방안 모색
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문제에 대한 연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증상과 이유 그리고 문제점,...
[언어교육][언어]언어교육(언어학습, 언어지도)의 의의, 언어교육(언어학습, 언어지도)의 영...
[유아언어교육] 말하기 지도에서의 사용할 수 있는 질문유형을 설명하고 각 유형의 사례를 3...
신문기사에서 나타난 언어의 오용실태 분석
[스마트폰smartphone 중독 해결책] 스마트폰 중독 개념, 스마트폰 중독 실태, 스마트폰 사용 ...
[스마트폰smartphone 중독 해결책] 스마트폰 중독 개념, 스마트폰 중독 실태, 스마트폰 사용 ...
사회언어학,한국의 아기말,아기말의 개념,아기말 어휘와 개략적 의미,아기말의 구조적 특징,...
[한국어교육]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욕설의 언어 문화적 특성과 욕설 사용에 대한 인식(실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