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국가의 성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 국가의 성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는글

2. 남북한 국가의성립
2-1.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성립
2-2. 대한민국의 성립

3. 닫는글

본문내용

정부를 만들어야만 했을까? 역사에는 가정이 없다고 한다. 지금 와서 "아! 그때 민족이 단결했더라면", "하나의 조선을 이룩했더라면", "국제정세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더라면" 하는 식의 안타까운 푸념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것인가이다. 역사는 어제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이야기이며 동시에 우리가 만들어 가야할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두서없이 진행된 글이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조국이 분단되고 두 개의 정부가 수립되는 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젊은 우리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가에 대해 한번 더 느끼고 생각해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문헌》
김송달, 한국근현대 100년사, 거름, 1998
송광섭, 미군점령 4년사, 한울총서, 1993
장윤수, 북한사회론, 샘물, 1999
강만길 외,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박현희 외, 거꾸로 읽는 한국사, 푸른나무, 2002
하일식,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사, 일빛, 2000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www.naver.net ; 두산대백과사전
# 참 고
■ 대한민국 성립배경 주요일지
44년 9월
여운형 지하단체 '건국동맹' 결성
45년 8월 15일
광복 / 여운형-엔도 정무총감 회담,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발족
8월
전국 145개 인민위원회 결성
9월 2일
맥아더 38도 미소양국분할 점령책 발표
9월 6일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 - '조선인민공화국' 수립선언
9월 7일
극동 사령부 남한에 군정선포
10월 7일
건준 → 인민공화국(인공)으로 발전적 해체 선언
10월 10일
미군정 장관 아널드 '미군정이 38선 이남의 유일한 정부' 선언
46년 3월 2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5월 25일
김규식 여운형 접촉 : 좌우합작 논의
6월 3일
이승만 정읍발언 : 남한의 단독정부수립 주장
7월 25일
좌우합작위원회 발족 (김규식, 안재홍, 여운형 등)
47년 2월 5일
남조선 과도정부 수립
5월 21일
제2차 미소공위 개최 → 7월 10일 사실상 결렬
7월 19일
여운형 피살
48년 1월 7일
UN 한국 임시위원단 입국
3월 8일
김구 남북협상제의
4월 3일
제주 4.3 항쟁
4월 19일
김구, 김규식 북행
5월 10일
남한 단독 선거 실시
7월 1일
국호 '대한민국' 결정
7월 17일
헌법공포, 정부조직법 발표
7월 20일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형 취임
8월 15일
건국선포, 미군정폐지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18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