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바람난가족>에는 없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바람난가족>에는 없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의 부재(不在)

-원인의 부재(不在)

-해결책의 부재(不在)

-변영주 감독의 <밀애>와의 비교

-맺는말

본문내용

각에는 다른 이를 설득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자신의 생각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인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화가 안데르센의 동화처럼 따뜻하고 교훈적일 필요는 없지만 인간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에서 휴머니티의 관점은 언제나 잊어서는 안 될 덕목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아쉬웠던 점은 외도가 요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시류에 편승하여(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 영화가 과대 포장되고 명필름의 마케팅 기술과 문소리, 황정민씨의 전작들에 대한 고정관념에 의해 <바람난 가족>이 예술영화 혹은 작가영화로 부각되는 모습이었다. 그리고 호정 역을 맡은 문소리 씨의 도발전인 포즈의 포스터에서부터 시작했을 법한, 영화를 에로영화쯤으로 취급하는 저속한 호기심을 가진 상당수의 관객들의 모습 또한 아쉬운 점이었다.
영화는 만드는 이가 한번, 보는 이가 또 한번, 이렇게 두 번 창조되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좀 더 넓고 독창적인 나만이 눈을 가지고 싶고 만드는 이와 영화라는 매개를 통해 소통하고 싶다. 임상수감독식으로 하자면 다음번에 보게 될 히치콕의 영화에서는 호정이 지운과의 섹스에서 그랬던 것처럼 눈물나는 오르가즘을 한번 느껴보고 싶다는 말이다.

키워드

영화,   바람난가족,   밀애,   가족,   여성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0.19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