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체인관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급체인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SCM의 정의

2.SCM의 등장배경

3.SCM의 구성요건

4.SCM의 주요기반

5.SCM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andard Numbering)
- 같은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듯이 같은 코드와 같은 양식을 사용하는 것
- 거래 업체간에 상품코드의 변환이나 재입력 같은 번거로움을 제거
- 상품코드 간의 차이로 인한 오류 방지
- EAN(European Article Number)이 널리 쓰입니다.
5. 바코드 시스템(Bar Code System)
- 각 필요 과정에서 코드를 전자적으로 인식
- 자료 입력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 오류를 예방
- EPOS, 휴대용 단말기, 무선 단말기 등에서도 인식되고 처리되어 그 사용이 점차 확대
* EPOS(Electronic Point of Sale)
- 매장의 판매 자료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기기
- 상품의 단품관리가 가능하고 판매상황에 따라 매장환경에 유연하게 대응
- 중앙컴퓨터로 전송되어 별도의 입력 작업 없이 빠르고 정확한 매장의 판매관리
코드를 이용하여 손쉬운 상품관리/판매에 들어가는 비용 절감
SCM의 발전방향
따라서 이 같은 현재의 기능 중심의 업무체계를 다음 단계인 프로세스 중심으로 재구축함으로써 각 기능 사이에 약간의 업무중복 부분이 발생하더라도 공간이 없어 지게 되고 프로세스가 축소됩니다. 또 단계가 단순화되기 때문에 누수가 예방되고 업무처리가 빨라져 효율이 대폭적으로 개선됩니다. 마지막 단계는 이러한 프로세스 중심의 체계를 더욱 단순화하고 프로세스들을 큰 단위의 프로세스로 통합,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는 체계가 갖추어질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SCM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0.20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