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관리와 상생 관련사례 - 7장. 생산운영 관리의 윤리적 과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토론1] 공급망 관리가 왜 중요한지 구체적으로 토론해보시오

[토론2] 생산과정의 네트워크에서 모기업과 협력기업 간의 관계가 함께 발전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윤리적 측면에서 평가해보시오.

[토론3] 우리나라에서 대기업과 협력기업간의 관계에 있어서 비윤리적인 사례도 찾아보시오.

[관련사례] 책에서 소개된 삼성전자의 공급망 관리와 상생 사례와 관련하여 포스코의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본문내용

향상을 위해 시행한 것들을 소개한 기사들이다. 포스코는 책의 사례에서 소개 된 삼성과 마찬가지로 협력업체에 전문가를 초청하여 교육이나 교육 책자 발간등 임직원을 교육시키고,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낮은 금리로 운영자금을 대출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등 협력업체와 동반성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2. 협력회사와의 투명·윤리적 관계-공정거래
[기사4 - 포스코 홍보실 이영섭 팀장은 “월 1회 현금결제는 어음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매주 두 차례 지급하기로 했다”면서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결제방식이 무엇인지 널리 의견을 수렴한 뒤 주 2회 지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5 - 2004년 성과공유제를 국내 최초로 도입한 이래 2011년 8월까지 중소기업 7백55개사가 참여했고, 총 5백78억원을 성과공유 보상금으로 지급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포스코의 성과공유 보상금이 대폭 늘어날 수 있었던 것은 지난해 12월 2~3차 협력사도 1차 협력사와 성과공유제에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포스코는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해 현금결제 방식도 여타 기업과 다르게 운용하고 있는데, 즉, 매월 1회가 아닌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주 2회 현금으로 납품대금을 지급하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두 번째 기사에서 볼 수 있듯 성과공유를 최초로 도입하고 단지 정책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협력사에 종전보다 많은 이익을 가져오게 함으로써 동반성장을 도모하였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6.21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