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전기, 환경, 그리고 경제발전.
III. 전력 발전의 미래.
IV. 맺으며.
II. 전기, 환경, 그리고 경제발전.
III. 전력 발전의 미래.
IV. 맺으며.
본문내용
이것은 전력 발전의 방식은 아니나, 이 분야 또한 중대한 개량을 거치게 될 것이라 전망되어진다. 전기는 발전소에서 전력 수요자에게까지 기나긴 송전선에 실려서 보내어진다. 지금까지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계통의 송전선을 쓰고 있는데, 전기저항 때문에 총 발전량의 6∼10%의 손실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10%라면 우리나라의 경우 2,700만kW의 전력을 보냈을 경우의 손실이 270만kW로 원자력발전소 2∼3개의 발전량과 맞먹는다. 즉, 미래에는 송전선의 재료로 전기저항이 0인 초전도케이블을 이용하게 되어 그만큼의 전력량 증대 효과를 얻게 될 것이다.
IV. 맺으며.
이러한 방향으로 앞으로의 전력 발전은 변화하여 갈 것이다. 언제나 그러하듯이 인류는 다시 한번 그들 앞에 놓인 난관을 극복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것에 너무 집착하여 낙관만 하고 있어서는 곤란하다. 이러한 전력 발전의 변화는 환경오염이 한계에 달하기 전이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면 비공학자인 우리들은 어떻게 하여야만 하는가? 그것에 관하여 논자는 우리 스스로 전기를 절약하여, 공학자들에게 연구할 시간적인 제한을 조금이나마 늘려 주는 것을 제안할 수가 있을 것이다.
IV. 맺으며.
이러한 방향으로 앞으로의 전력 발전은 변화하여 갈 것이다. 언제나 그러하듯이 인류는 다시 한번 그들 앞에 놓인 난관을 극복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것에 너무 집착하여 낙관만 하고 있어서는 곤란하다. 이러한 전력 발전의 변화는 환경오염이 한계에 달하기 전이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면 비공학자인 우리들은 어떻게 하여야만 하는가? 그것에 관하여 논자는 우리 스스로 전기를 절약하여, 공학자들에게 연구할 시간적인 제한을 조금이나마 늘려 주는 것을 제안할 수가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