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헌법기초
Ⅱ. 헌법사상
1. 헌법의 기본정신
2. 국민의 기본권
3. 위헌법률심판
Ⅲ. 국제법사상
Ⅳ. 법철학
Ⅴ. 법학교육론
Ⅱ. 헌법사상
1. 헌법의 기본정신
2. 국민의 기본권
3. 위헌법률심판
Ⅲ. 국제법사상
Ⅳ. 법철학
Ⅴ. 법학교육론
본문내용
권위자이기는 하지만 公法學 지식은 너무나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고 셋째, 국가권력기구 조직의 기본원리에 대한 그의 견해 때문이었다.
Ⅲ. 國際法思想
유진오의 국제법에 대한 관심과 지식은 그가 직접 한일회담 수석대표로 대한민국을 대표하고 각종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데에 활용되었고, 대한국제법학회 초대회장으로서 국제법학 연구의 기초를 놓아주기도 하였다.
Ⅳ. 法哲學
유진오는 스스로도 일찍부터 헌법학보다도 법철학에 관심을 많이 가졌다고 말하였듯이 법철학에 관한 논문들도 적잖게 발표하였다. 그중 ‘普專學會論集’에 실은 ‘중세에 있어서의 정의관념’은 대표적인 논문이라고 할 것이다. 그는 후에도 정의와 평등, 법과 힘의 문제 등 법철학적 테마에 관한 글을 발표하였다. 또한 이민족治下에서 한국의 전통적 법사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노력하였다. 그래서 박극채 교수와 함께 유형원의 근본사상, 국가제도개혁론과 경제사상을 나누어 맡아 연구하기도 하였다.
Ⅴ. 法學敎育論
유진오의 한국 법학에 대한 기대는 사뭇 높았다. 그는 1978년 한 기자에게 「그런데 문제는 法學界야. 우리나라에 법학회들은 있다고 해도 내세울 것이 없어. 아직도 우리나라 法學界가 외국에 비해 독자적인 존재를 주장할 수 있는 학문적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는 거야. 특히 법이론 전개가 그래. 법이론이 막히면 외국학자들의 이론을 인용하는 꼴은 그게 뭐야. 자기 사고로 움직여야지. 자기가 생각하고 난 다음에 보강책으로 외국 것을 인용해야 되는 것 아니겠어」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그의 기대는 후생들에게 은근하면서도 무서운 경고가 아닐 수 없다고 할 것이다.
Ⅲ. 國際法思想
유진오의 국제법에 대한 관심과 지식은 그가 직접 한일회담 수석대표로 대한민국을 대표하고 각종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데에 활용되었고, 대한국제법학회 초대회장으로서 국제법학 연구의 기초를 놓아주기도 하였다.
Ⅳ. 法哲學
유진오는 스스로도 일찍부터 헌법학보다도 법철학에 관심을 많이 가졌다고 말하였듯이 법철학에 관한 논문들도 적잖게 발표하였다. 그중 ‘普專學會論集’에 실은 ‘중세에 있어서의 정의관념’은 대표적인 논문이라고 할 것이다. 그는 후에도 정의와 평등, 법과 힘의 문제 등 법철학적 테마에 관한 글을 발표하였다. 또한 이민족治下에서 한국의 전통적 법사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노력하였다. 그래서 박극채 교수와 함께 유형원의 근본사상, 국가제도개혁론과 경제사상을 나누어 맡아 연구하기도 하였다.
Ⅴ. 法學敎育論
유진오의 한국 법학에 대한 기대는 사뭇 높았다. 그는 1978년 한 기자에게 「그런데 문제는 法學界야. 우리나라에 법학회들은 있다고 해도 내세울 것이 없어. 아직도 우리나라 法學界가 외국에 비해 독자적인 존재를 주장할 수 있는 학문적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는 거야. 특히 법이론 전개가 그래. 법이론이 막히면 외국학자들의 이론을 인용하는 꼴은 그게 뭐야. 자기 사고로 움직여야지. 자기가 생각하고 난 다음에 보강책으로 외국 것을 인용해야 되는 것 아니겠어」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그의 기대는 후생들에게 은근하면서도 무서운 경고가 아닐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