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화 시대의 농업의 발전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식정보화 시대의 농업의 발전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우리나라 정보격차 현황
2. 농업정보화의 필요성과 효과
3. 농업정보화 추진목표와 발전방향

3>결론
레포트를 마치며...

<< 참고자료 >>

본문내용

해야 한다.
다섯째, 농산물 유통기능을 효율화해야 한다. 포장규격을 단위화물적재시스템에 맞게 정비하고, 소비자 지향적, 디지털 거래에 적합한 표준규격으로 정비하기 위한 농산물 포장규격 및 포장화율을 대폭 제고시켜 나가야한다. 파레트, 지게차 등 물류장비의 지원확대로 유통구조를 질적으로 개선시켜 나가고, 농산물 브랜드화 정착으로 견본, 통명거래를 촉진시켜 나가야 한다.
여섯째, 식품산업 육성 및 수출촉진을 위한 유통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농산물 가공공장의 운영효율이 떨어지고 있는 점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적지 않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술 및 경영컨설팅 지원과 함께, 경영주 교육강화로 경영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가공제품의 품질향상과 시설현대화 지원으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가공제품의 세계화 및 수출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출농산물 전시회 개최, 선물세트 개발, 해외특판전 실시와 함께, 된장, 고추장, 인삼 등의 Codex 국제규격화를 과감히 확대 추진해야 한다. 아울러 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라고도 한다. 대한무역진흥공사법에 따라 정부가 전액 출자한 비영리 무역진흥기관으로, 1962년 6월 대한무역진흥공사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10월 1일 현재의 명칭인 KOTRA로 변경되었다. 해외시장의 조사와 개척, 수출입거래의 알선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투자기관이다.
,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관련기관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효율적 정보수집 및 홍보활동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일곱째, 고품질의 안전농산물 공급체계 구축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획득해야 한다. 디지털 유통의 맹점은 실물을 볼 수 없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소비자들의 아직도 농산물 구입에서 인터넷을 통한 구입을 꺼리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농산물의 규격화와 표준화는 기본이고, 실물을 보지 않고도 화면상에 나와있는 농산물을 믿고 살 수 있는 신뢰감을 주는 것이 디지털 유통 발전을 위한 필수사항이다. 품질인증품에 대한 판매활성화 및 홍보를 강화하고, 농산물 안전선 조사 강화, 산지예냉, 저온저장, 냉장수송 등 신선농산물의 저온유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원산지 표시에 대한 지속적인 단속을 통해 부정유통을 원천 근절하고, 유전자변형농산물표시제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지원체계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결론
과거 우리 농업·농촌은 공업위주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과 산업화 과정에서 상대적인 소외를 경험하였고, 이에 따라 농업과 농업인 문제는 정치·사회적으로 불안요인이 되어 왔으며, WTO 개방체제와 IMF 시련을 계기로 우리 농업도 산업으로서 경쟁력을 가지고, 농업인도 어엿한 경영인으로 탈바꿈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에 농림부는 국민의 정부출범과 더불어 신지식·친환경 농업을 우리농업의 방향으로 설정하고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거시적으로 보더라도 21세기 인류의 나아갈 방향은 환경과 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을 유지하는 지속가능한 사회(Sustainable Society)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특히 지역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지식·정보화 사회의 주 생산요소인 정보의 도시집중을 완화하고 농촌지역에 정보통신 인프라를 확충하여 삶의 질을 개선해 나간다면, 인구의 도시집중과 이에 따른 주택·교통·환경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될 것으로 본다.
이제 우리 농업은 첨단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경쟁력과 부가가치를 높이고, 전자상거래 등으로 농산물의 수급과 유통체계를 개선하여 새로운 농업과 농촌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위해 농업인 스스로도 지식정보화사회에 적응을 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활용능력을 배양해 나가는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농업인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합해진다면 토지·자본·노동이 주요 생산요소가 되는 산업사회·아날로그 사회에서는 농업이 비교열위에 있었지만, 21세기 디지털경제시대에서는 기술·지식·정보를 잘 활용하면 농업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는 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레포트를 마치며...
이번 레포트를 계기로 많은 자료를 접할수 있었습니다. 특히 저는 농업의 현실에 대한 주제로 다른 수업에서 강의를 들었지만, 최근 같은 지식정보화시대의 농업에 대해서는 알수 있는 기회가 부족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과목을 수강하면서 요즘 같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농업부문에서의 현황과 발전방향을 공부할수 있게 되어 좋았습니다. 특히 전자상거래를 통한 농업부문의 거래는 저에게는 참 생소하였지만, 강의를 듣고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알게 되어 좋은 기회가 된 것 같습니다.
<< 참고자료 >>
http://www.krei.re.kr
http://www.knifa.or.kr
http://www.rda.go.kr
http://www.kotra.or.kr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1200000272643041&s=91,157&e
=231,244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70400000065081&s=0,4478&e
=119,4595
http://cbfarm.net/labs/livestock/total_pds/upload/gonggi/gonggi3938.hwp
농업경영정보화와 농업성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김종섭, 한국산업경제학회, 2001
지역농업정보화의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소순열외 2인, 전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원, 1998
지역정보화활성화 / 농업 농촌의 정보화를 위한 농학계 대학의 역할, 이정규, 한국정보시스템확회, 1999
디지털경제사회의 농업·농촌 정보화 정책 추진 방향, 노경상, 농림부
디지털 시대의 농산물 신유통체계 구축방안, 이호철, 경북대
농업정보화의 필요, 현황, 전망, 그리고 외국사례, 왕인근, 한국농업교육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11, 1992
농산물 유통개선을 위한 정보망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위오기외, 공주대학교, 1994. 3
우리 나라 농사의 농업정보의 이용현황, 최찬호, 농협 조사월보, 1993. 2
우리 나라 농업정보체계의 현황과 발전 방향, --------, 농협조사월보, 1993. 1
  • 가격1,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0.2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