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의 진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의 진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1) 과학기술의 발달
2) 정보통신의 개념
3)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2. 정보화의 진전과 정보사회
1) 정보사회의 도래
2) 정보사회의 동인
3) 뉴미디어와 인터넷
4) 정보통신기술과 사회변동

3. 정보화정책의 추세
1) 세계 정보화의 추세
2) 한국의 정보화정책

본문내용

추진중에 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APEC이 중심이 되어 아시아태평양정보통신기반(APII : Asia-Pacific Information Infrastructure)의 구축을 추진중이다. APII는 1994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APEC 정상회담에서 한국이 제안한 것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정보공동체 형성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밖에도 각종 국제기구와 지역협력체들은 나름대로 정보화와 관련된 국제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각국간 정보공유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불건전정보차단, 지적재산권, 정보보호, 사생활침해 등에 대한 범국가적 차원의 논의가 점증되고 있다.
2) 한국의 정보화정책
우리나라는 그동안 1980년대 중반부터 2차에 걸친 국가기간전산망사업을 비롯하여, 1990년대의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축사업 등 정보화를 위해 다양한 정보화시책을 추진해 온 결과 최근의 정보화 성장률은 선진국을 앞서고 있으나 , 전반적인 정보화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져 있다. 그리고 일부 대기업과 전문가를 제외한 일반 국민의 정보활용능력이 부족한데다 정보화를 뒷받침하는 정보통신망과 정보통신산업의 기반이 취약하고, 정보사회에 필수적인 사생활 및 개인정보보호 등 법제도의 정비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하는 정보통신부,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1997)』참조.
우리나라의 이러한 정보화수준을 선진외국과 비교하여 지수로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정보화지수는 정보설비지표, 정보이용지표, 정보화지원지표의 지수 및 각 항목지수를 단순 평균하여 산출했는데 이는 정보화의 3가지 서로 다른 측면과 각 조사된 항목들이 같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가정했기 때문이다.
<표 2-2> 주요국가들의 정보화지수(한국 1990년 = 100) 구 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91-’95 연평균 성장율(%)
한 국
100
123
159
249
391
742
49.3
미 국
952
1,258
1,669
2,342
3,200
5,350
41.2
영 국
645
693
899
1,317
1,756
3,263
38.3
일 본
477
641
833
1,087
1,422
1,926
32.2
싱가폴
738
850
1,053
1,272
1,703
2,400
26.6
자료 : 한국전산원, 『1997 국가정보화백서』(1997년 6월), p.767에서 재구성
이와 같이 국가전체의 정보화 추진능력이 전반적으로 취약한 상황에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없이는 21세기 정보사회에서 선진국으로의 진입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위기의식에 기반하여 ‘정보화촉진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배경하에 수립된 정보화촉진기본계획은 정보화를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제정된 ‘정보화촉진기본법’에 따라 정보통신부가 정부 각 부처로부터 부문별 계획을 제출받아 시안을 마련하고 관계부처 협의와 정보화추진자문위원회 및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난 1996년 6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보화추진위원회에서 최종안을 확정한 것이다.
정부는 오는 2010년까지 국가사회 전반에 걸쳐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화를 실현함으로써 선진국으로 도약한다는 것을 목표로 공공부문 정보화, 산업정보화, 개인생활 정보화를 추진하고, 각급 행정기관, 학교, 도서관, 연구소, 기업, 병원과 가정까지 초고속정보통신망으로 상호 연결하며 이를 전세계와 연계함으로써 국내외 멀티미디어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먼저 1단계(1996-2000년)로 정부의 선도투자를 통한 정보화촉진기반을 조성하고, 2단계(2001-2005년)에는 개인생활의 정보화와 산업정보화를 중점 추진하여 정보활용을 민간으로 확산시키며, 3단계(2006-2010년)에는 사회 전분야의 정보화와 세계 정보 유통의 거점화로 정보활용을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정보화촉진기본계획은 주로 2000년까지의 1단계 기간을 대상으로 정부주도의 정보화촉진에 필수적인 기초요소를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즉 공공부문의 정보화를 중심으로 정보화촉진 중점과제를 선정하여 집중 추진하고 우선 정부는 정부의 생산성 향상, 교육개혁 및 지적 기반 조성, 산업경쟁력 강화, 지역간 균형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등 고도정보사회 기반조성을 위하여 핵심적이며 시급한 동시에 현안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화사업 중에서 2000년까지 실현가능하고 파급효과가 큰 10대 과제를 선정하여 범국가적 차원에서 중점 추진하고 있다. 정보화촉진 10대 중점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작지만 효율적인 전자정부 구현, ② 정보사회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정보화 기반조성, ③ 지식기반 고도화를 위한 학술 연구정보 이용환경 조성, ④ 산업정보화 촉진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⑤ 정보화를 통한 사회간접자본시설의 활용도 제고, ⑥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정보화 지원, ⑦ 정보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의 고도화, ⑧ 쾌적한 생활을 위한 환경관리의 고도화, ⑨ 재난재해에 대비한 국가안전관리정보시스템 구축, ⑩ 선진외교국방정보체계 확립.
, 초고속정보통신망의 조기구축, 정보통신산업의 기반조성, 그리고 법제도 정비, 정보보호, 표준화 등의 정보화촉진을 위한 여건정비에 주력할 방침이다.
참고자료
김동욱, 「국가사회정보화 어떻게 이끌 것인가?」, 한국전산원, 『정보화 동향(격주간)』
(1997년 12월 29일)
김상배, 「과학기술과 세계질서의 변화」, 하영선 편, 『탈근대 지구정치학』(서울: 나남, 1993)
김상준, 「현대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국제정치 : 신국제정보 커뮤니케이션 질서론」,
이상우하영선 공편, 『현대국제정치학』(서울 : 나남, 1994)
김왕식, 「신국제정보질서 : 운동의 차원과 학적 논의」, 김달중박상섭황병무 공편,
『국제정치학의 새로운 영역과 쟁점』(서울 : 나남, 1995)
박철순, 「통일에 대비한 남북한 정보통신 통합전략에 관한 연구 - 북한지역 정보통신인프라구축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년 8월)
------, 「남북한 정보통신통합과 우정사업 - 통일에 대비한 인식의 전환을 위한 제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우정정보』(1997년 겨울호)

키워드

정보화,   정책,   기술,   인터넷,   통신,   뉴미디어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0.1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