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성만 사용되었다. 일본은 성과 씨가 명확히 구별된다. 총독부에서 창씨개명의 근거로 제시한 것이 첫째 한국에는 근대적 가족 개념이 없어 씨가 존재하지 않으니 씨를 만들라고 강제하였다. 1940년 2월에 시작되어 말이되면 전 호구수의 75%가 창씨개명에 응했다. 높은 강제성이 동반되어 안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중에서도 원래 성을 가지고 있었던 뿌리를 살리려는 노력이 있었다. 예를 들어 朴을 高村 尹을 坡平으로 하거나 발음을 따거나 성을 쪼개는 등지의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창씨개명과정에서 죽거나 체포되는 사람도 많았다.
대만에서는 온건한 통치를 했으나 조선에서는 가혹했다는 통설이 비교적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반응 역시도 조선이 과격했다고 알 수 있다. 황민화 통치이후 한국은 일제의 잔제를 청산하는 과정을 거쳤으나 대만은 황민화 운동이 끼친 영향을 컸다. 일본인화 하지는 못했으나 중국인과 별개의 문제로 하는데는 성공했다. 저중국성(底中國性)으로 대만인의 중국적 성격이 낮아진 것이다. 1895∼1945년의 50년동안 중국 대륙의 경험과 대만의 경험이 현격히 달라 대륙은 항전에서 승리했다고 했으나, 대만은 승전인지 패전인지도 불명확 했다.
대만에서는 온건한 통치를 했으나 조선에서는 가혹했다는 통설이 비교적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반응 역시도 조선이 과격했다고 알 수 있다. 황민화 통치이후 한국은 일제의 잔제를 청산하는 과정을 거쳤으나 대만은 황민화 운동이 끼친 영향을 컸다. 일본인화 하지는 못했으나 중국인과 별개의 문제로 하는데는 성공했다. 저중국성(底中國性)으로 대만인의 중국적 성격이 낮아진 것이다. 1895∼1945년의 50년동안 중국 대륙의 경험과 대만의 경험이 현격히 달라 대륙은 항전에서 승리했다고 했으나, 대만은 승전인지 패전인지도 불명확 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