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내가 이 주제를 선택한 이유
Ⅱ. 4세기 반 동안의 식민지 독립을 향한 동티모르인의 꿈과 투쟁
1. 동티모르
2.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병합
2.1. 동티모르의 독립 선언
2.2.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략
2.3. 강대국들의 동티모르에 대한 생각
2.4.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합병의 이유
3.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인 학살
3.1. 인도네시아 이주 정책
3.2. 동티모르와 이주민들의 갈등
3.3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씨 말리기
3.4. 동티모르의 다시 살아난 저항 운동
3.5 인도네시아 군인의 산타쿠르즈 학살 사건
4. 미국의 침묵
5. 동티모르의 독립을 위한 선거
6. 동티모르 유혈사태
7. 한국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도움
8. 신생 독립국 동티모르의 재건
Ⅲ. 동티모르 역사를 조사하면서 느낀 나의 생각
【 참고자료 】
Ⅱ. 4세기 반 동안의 식민지 독립을 향한 동티모르인의 꿈과 투쟁
1. 동티모르
2.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병합
2.1. 동티모르의 독립 선언
2.2.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략
2.3. 강대국들의 동티모르에 대한 생각
2.4.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합병의 이유
3.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인 학살
3.1. 인도네시아 이주 정책
3.2. 동티모르와 이주민들의 갈등
3.3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씨 말리기
3.4. 동티모르의 다시 살아난 저항 운동
3.5 인도네시아 군인의 산타쿠르즈 학살 사건
4. 미국의 침묵
5. 동티모르의 독립을 위한 선거
6. 동티모르 유혈사태
7. 한국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도움
8. 신생 독립국 동티모르의 재건
Ⅲ. 동티모르 역사를 조사하면서 느낀 나의 생각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유지하기 위해 어린이들까지 일을 해야 하고,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다.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 설에서 제 1단계인 생리적 욕구마저 충족시키지 못한 이들에게 교육이 모가 필요하냐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모든 이들이 누릴 수 있는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 교육을 받아야지만 기술을 배울 수 있고, 우수한 인력을 창출 시킬 수 있다. 우수 인력이 창출 될 때마다 동티모르의 GDP는 올라갈 것이다.
동티모르가 한국처럼 급성장하기 쉽지 않겠지만 그들은 자신들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개선하는 일이 과제일 것이다. 독립을 위해서 10만 명 이상의 희생자를 낳았지만 희생자들이 자국민들을 위해 한 일은 결코 헛된 일이 아니다. 모든 나라들이 동티모르에 도움을 주고 한국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도움을 주었다. 선진국들이 동티모르 정치에 대해서 도움을 주는 것은 좋지만 관여하는 것은 좋지 못한 일이다. 선진국들의 역사를 살펴보면 모두 단기간에 이루어진 것이 없다. 사회문제, 근로시간 문제, 인권비 문제 등 이러한 것들은 몇 십년간의 걸쳐 지금의 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 문제를 개발도상국에게 몇 년 안에 실행하라는 얘기는 선진국 역사와는 역관계라 할 수 있다.
동티모르의 석유, 가스 자원을 선진국들이 탐내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일본은 가스를 전면 수입해야 하고, 다른 나라들도 천연 가스가 나오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다. 한국은 천연자원이 없지만 3면이 바다이고, 주변 국가의 무역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예전부터 주변 나라들이 식민지로 만들려 했었다. 하지만 한국은 잘 버텨냈고, 현재 GDP 13위까지 도약하게 되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에 생산 자원을 수입하여 인적자원으로 제품을 만들고 있지만 그 기술은 세계 선진국 수준과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동티모르는 천연자원이라는 우수한 자원을 바탕으로 독립할 때의 그 믿음과 열정, 노력으로 선진국이 될 수 있도록 국가의 많은 개발이 필요하다.
선진국들은 지금 동티모르에 적집자사와 같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동티모르는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직접 개발을 할 수가 없다. 선진국은 인권비가 싼 동티모르에 많은 회사를 설립해서 동티모르 국민들의 노동력을 창출하고, 생활환경을 개선, 경제 개발 등 동티모르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한국 구미시의 새마을 존이 동티모르에 건립되어 근면. 자조. 협동 이 3가지를 실천하게 되었다.
동티모르는 긴 식민지 시대로 인해 개발되지 않은 곳이 많다. 이는 곳 자연 훼손이 되지 않았다는 것과 같다. 지금 선진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는 환경 문제로 인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빙하가 녹기 시작하고, 나중에는 히말라야 산맥을 환경파괴로 인해 볼 수 없을 날이 온다. 생산을 하면 할수록 그로인해 생긴 공기, 물, 땅의 오염은 늘어난다. 선진국은 1980년대 산업혁명으로 인해 많은 자연 파괴를 하였고, 벌목도 서슴지 않았다. 첨단 기술을 가지고 경쟁력을 키우는 나라도 있지만 선진국 중 호주나 뉴질랜드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이를 관광산업으로 발전 시켰다. 뉴질랜드는 국민 총 인구의 반이 관광객이며 오로지 자연보호만을 외치는 나라이다. 관광산업으로 인해 물품수출보다 많은 이익을 낸 나라이다.
저개발 국가이기 때문에 기술을 단시간에 증진시킬 수가 없다. 하지만 자연이 훼손되지 않았고, 동티모르의 자연을 관광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앞으로 환경을 잘 개선하여 아름다운 나라로 불리는 그 날에는 동티모르가 선진국이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 참고 자료 】
- 참고 사이트 -
네이버 www.naver.com
야후 www.yahoo.co.kr
엠파스 www.empas.com
조선닷컴 뉴스 www.chosun.com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
네이버 뉴스
- 참고 문헌 -
동티모르를 넘어서. 이상엽. 이미지프레스. 2003.02.25
이슬람(개정판)9.11 테러와 이슬람 세계 이해하기. 이희수. 청아출판사. 2002.12.05
빨간 신호등. 홍세화. 한겨레신문사. 2003.07.28
페미니즘의 도전(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교양인. 2005.11.07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1). 노암 촘스키. 시대의창. 2004.04.12
에드벤처 캐피털리스트. 짐 로저스. 굿모닝북스. 2004.11.05
21세기 한민족(1998~2004) 김대중. 돌베개. 2004.12.22
이상엽의 실코로드탐사. 이상엽. 생각의 나무. 2003.03.28
동티모르가 한국처럼 급성장하기 쉽지 않겠지만 그들은 자신들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개선하는 일이 과제일 것이다. 독립을 위해서 10만 명 이상의 희생자를 낳았지만 희생자들이 자국민들을 위해 한 일은 결코 헛된 일이 아니다. 모든 나라들이 동티모르에 도움을 주고 한국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도움을 주었다. 선진국들이 동티모르 정치에 대해서 도움을 주는 것은 좋지만 관여하는 것은 좋지 못한 일이다. 선진국들의 역사를 살펴보면 모두 단기간에 이루어진 것이 없다. 사회문제, 근로시간 문제, 인권비 문제 등 이러한 것들은 몇 십년간의 걸쳐 지금의 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 문제를 개발도상국에게 몇 년 안에 실행하라는 얘기는 선진국 역사와는 역관계라 할 수 있다.
동티모르의 석유, 가스 자원을 선진국들이 탐내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일본은 가스를 전면 수입해야 하고, 다른 나라들도 천연 가스가 나오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다. 한국은 천연자원이 없지만 3면이 바다이고, 주변 국가의 무역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예전부터 주변 나라들이 식민지로 만들려 했었다. 하지만 한국은 잘 버텨냈고, 현재 GDP 13위까지 도약하게 되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에 생산 자원을 수입하여 인적자원으로 제품을 만들고 있지만 그 기술은 세계 선진국 수준과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동티모르는 천연자원이라는 우수한 자원을 바탕으로 독립할 때의 그 믿음과 열정, 노력으로 선진국이 될 수 있도록 국가의 많은 개발이 필요하다.
선진국들은 지금 동티모르에 적집자사와 같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동티모르는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직접 개발을 할 수가 없다. 선진국은 인권비가 싼 동티모르에 많은 회사를 설립해서 동티모르 국민들의 노동력을 창출하고, 생활환경을 개선, 경제 개발 등 동티모르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한국 구미시의 새마을 존이 동티모르에 건립되어 근면. 자조. 협동 이 3가지를 실천하게 되었다.
동티모르는 긴 식민지 시대로 인해 개발되지 않은 곳이 많다. 이는 곳 자연 훼손이 되지 않았다는 것과 같다. 지금 선진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는 환경 문제로 인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빙하가 녹기 시작하고, 나중에는 히말라야 산맥을 환경파괴로 인해 볼 수 없을 날이 온다. 생산을 하면 할수록 그로인해 생긴 공기, 물, 땅의 오염은 늘어난다. 선진국은 1980년대 산업혁명으로 인해 많은 자연 파괴를 하였고, 벌목도 서슴지 않았다. 첨단 기술을 가지고 경쟁력을 키우는 나라도 있지만 선진국 중 호주나 뉴질랜드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이를 관광산업으로 발전 시켰다. 뉴질랜드는 국민 총 인구의 반이 관광객이며 오로지 자연보호만을 외치는 나라이다. 관광산업으로 인해 물품수출보다 많은 이익을 낸 나라이다.
저개발 국가이기 때문에 기술을 단시간에 증진시킬 수가 없다. 하지만 자연이 훼손되지 않았고, 동티모르의 자연을 관광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앞으로 환경을 잘 개선하여 아름다운 나라로 불리는 그 날에는 동티모르가 선진국이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 참고 자료 】
- 참고 사이트 -
네이버 www.naver.com
야후 www.yahoo.co.kr
엠파스 www.empas.com
조선닷컴 뉴스 www.chosun.com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
네이버 뉴스
- 참고 문헌 -
동티모르를 넘어서. 이상엽. 이미지프레스. 2003.02.25
이슬람(개정판)9.11 테러와 이슬람 세계 이해하기. 이희수. 청아출판사. 2002.12.05
빨간 신호등. 홍세화. 한겨레신문사. 2003.07.28
페미니즘의 도전(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교양인. 2005.11.07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1). 노암 촘스키. 시대의창. 2004.04.12
에드벤처 캐피털리스트. 짐 로저스. 굿모닝북스. 2004.11.05
21세기 한민족(1998~2004) 김대중. 돌베개. 2004.12.22
이상엽의 실코로드탐사. 이상엽. 생각의 나무. 2003.03.2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