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천시에 대하여
2. 부천시의 인구추이
3. 부천시의 산업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수
4. 부천시 산업의 현재와 미래
2. 부천시의 인구추이
3. 부천시의 산업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수
4. 부천시 산업의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5년 85,197명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하던 것이 99년에는 74,502명으로 39%를 차지, 12.5%가 감소했다. 그 다음으로는 도소매 소비자 용품 수리업, 숙박 및 음식점 업, 기타 공공·사회개인서비스업의 순서로 종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수렵업 및 임업의 종사자의 증가율이 가장 크나 워낙 종사자가 작아 그 의미가 분명하지가 않다. 그래서 부동산·임대·사업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결론은 내릴 수 있고 광업과 건설업의 종사자수가 상당수 감소 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부천시 산업의 현재와 미래
현재 부천시에서는 21세기 지식산업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시의 중소기업이 경쟁력 있는 지식중심의 기업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행.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식기반의 산업을 육성하려고 하고 있다. 부천 테크노 파크를 고부가가치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고 R&D중심의 3개 연구기관을 집중 유치(정밀모터, 계측기, 센서)하였으며 산업 자원부에서 기술 개발 등에 필요한 장비 설치비 150억 지원 받았다. 또한 부천 비젼 2010이란 프로젝트를 구상중인데 이는 첨단산업과 함께 하는 문화도시 부천이라는 슬로건을 걸고서 산업 경제 부문에서는 지식기반산업중심의 경제도시를 만들기 위해 산업구조의 개편. 고도화 ,특화산업의 전략적 육성, 중소 벤처 기업경쟁력 상화, 물류유통의 효율화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 참고문헌
http://www.bucheonsi.com/ 부천시청
http://kg21.net/ 경기넷
http://www.nso.go.kr/ 통계청
◎ 부천시 산업의 현재와 미래
현재 부천시에서는 21세기 지식산업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시의 중소기업이 경쟁력 있는 지식중심의 기업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행.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식기반의 산업을 육성하려고 하고 있다. 부천 테크노 파크를 고부가가치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고 R&D중심의 3개 연구기관을 집중 유치(정밀모터, 계측기, 센서)하였으며 산업 자원부에서 기술 개발 등에 필요한 장비 설치비 150억 지원 받았다. 또한 부천 비젼 2010이란 프로젝트를 구상중인데 이는 첨단산업과 함께 하는 문화도시 부천이라는 슬로건을 걸고서 산업 경제 부문에서는 지식기반산업중심의 경제도시를 만들기 위해 산업구조의 개편. 고도화 ,특화산업의 전략적 육성, 중소 벤처 기업경쟁력 상화, 물류유통의 효율화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 참고문헌
http://www.bucheonsi.com/ 부천시청
http://kg21.net/ 경기넷
http://www.nso.go.kr/ 통계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