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사회사업 활동의 개요
1)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2) 기대효과
3) 사회사업사의 개입문제 목록
4) 의료사회사업 활동의 법적 근거
5) 의료사회사업의 전문직 요건
2. 의료사회사업활동의 치료적 목적 및 필요성
1)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2) 기대효과
3) 사회사업사의 개입문제 목록
4) 의료사회사업 활동의 법적 근거
5) 의료사회사업의 전문직 요건
2. 의료사회사업활동의 치료적 목적 및 필요성
본문내용
인 심신기능의 손상정도는 23.26% 였으며, 이 중 일상생활기능 25.13%, 신체기능 28.14%, 심리사회적 기능 16.79%의 손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활동의 손상정도가 37.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만성중증질환자들이 신체적 증상 외에 심각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으며, 따라서 만성중증질환에 대한 생의학적 접근 혹은 의학적 치료만으로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윤현숙, 1995). N.Bracht는 사회사업활동이 의료기관에 존재해야하는 기본적인 전제로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이 질병의 원인이 되면 동시에 치료과정과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심리사회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질병에 대한 생의학적 접근만으로는 불완전한 치료이며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여러 의료전문직간의 팀 접근을 강조하였다(Bracht, 1987).
♠ 임상사회사업의 업무 흐름도
사례발견-----사례접수-----사정/진단-----문제해결 과정-----종 결-----기록 보관
환자/보호자 문제 파악 임상각과와 협의 문제의 해결
의 요청 정보수집 사회사업의 전문 환자의 퇴원
의료진의 요청 사회사업 진단 방법론 활용 타기관 의뢰
사회복지사 원조계획 수립
의 발견
타기관의 의뢰
타기관 의뢰
참고 자료
1. 의료사회사업 활동보고서 1957~1997,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사회사업과
2. 의료사회사업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제도적 방안 모색, 1999년도 제 18차 대한의료사회 사업가협회 Workshop
♠ 임상사회사업의 업무 흐름도
사례발견-----사례접수-----사정/진단-----문제해결 과정-----종 결-----기록 보관
환자/보호자 문제 파악 임상각과와 협의 문제의 해결
의 요청 정보수집 사회사업의 전문 환자의 퇴원
의료진의 요청 사회사업 진단 방법론 활용 타기관 의뢰
사회복지사 원조계획 수립
의 발견
타기관의 의뢰
타기관 의뢰
참고 자료
1. 의료사회사업 활동보고서 1957~1997,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사회사업과
2. 의료사회사업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제도적 방안 모색, 1999년도 제 18차 대한의료사회 사업가협회 Work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