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적 특징
2. 주요개념
(1) Skinner의 학습이론
3.개입과정
4.개입방법
(1)혐오기술(aversive techniques)
(2)조형(shaping)
(3)역할연기(role playing)
(4)자기지시(self-instruction)
(5)행동계약 (behavior contracts)
(6)자기지도(self-directed change)
5.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6.평가
2. 주요개념
(1) Skinner의 학습이론
3.개입과정
4.개입방법
(1)혐오기술(aversive techniques)
(2)조형(shaping)
(3)역할연기(role playing)
(4)자기지시(self-instruction)
(5)행동계약 (behavior contracts)
(6)자기지도(self-directed change)
5.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6.평가
본문내용
담을 받게 되었다. 상담자는 Edward와 함께 불안유발 상황과, 그 상황 직전의 일, 불안의 결과, 원하는 행동, 그 원하는 행동의 결과들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완기법, 정서적 심상법, 체계적 둔감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였다. 먼저 이완훈련이 이루어 졌고 테잎을 통해 연습을 하게 하였다. 그 후 불안 위계를 작성하게 하였다. 불안 위계에 따라 체계적 둔감법을 사용하였다. 불안 상황을 약한 것에서부터 강한 것에까지 점차적으로 상상하게 하였다.
Edward의 사례에 대한 논의: 상담자는 내담자가 어떻게 느끼고 무엇을 얻고 싶어하는지를 정확히 찾아내었다. 그래서 그가 원하는 것을 먼저 상상하게 하고 그렇게 되도록 돕는 방식으로 진행시켰다. 이 사례에서 인지적 행동기법이 성공적일 수 있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Edward가 높게 동기화되어 있었으며, 상징적 사고 능력이 있었고, 문제도 인지적 기법에 적절하였다. 이상적이며 협조적인 내담자는 복잡한 장애를 가진 사람보다 건설적인 결과를 얻기 쉽다.
6.평가
(1) 장점
①변화시키고자 하는 구체적인 행동에 초점을 두므로, 사회복지사가 상담과정의 일부로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내담자에게 잘 이해시킬 수 있다. 이는 내담자에게 자신의 행동이 어느 정도 변화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의 결과를 평가하는 정확한 준거를 제공해 준다.
②내담자와 상담자의 합의에 따라 개개인에게 맞는 구체적인 상담기술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③상담을 과학으로 발전 시켰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겉으로 드러나는 구체적인 행동을 소거시키거나 새로운 행동을 획득하도록 상담 목표를 정한다. 그래서 이 접근에서는 상담의 목표가 달성 되었는지의 여부를 분명히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떤 행동이 소거되고 획득되었는지도 객관적으로 분명히 알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2) 단점
①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내력(historical causes)을 경시한다
-행동주의에서는 문제 행동의 내력을 알려고 하는 것보다도 그 문제 행동이 현재 어떤 강화를 받고 있는지를 알아 이 강화 자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환경을 변화시키거나 문제 행동과 대치될 수 있는 새로운 행동을 학습시키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②행동주의적 접근이 구체적인 문제 행동을 수정하는 데는 효과적일지 모르나 자아 실현적인 측면에서는 아주 부적합하다.
③행동주의는 문제의 근원보다는 일시적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행동주의적 접근에 의해 문제가 일시적으로 사라진다고 해도 , 이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 할 수 없기 때문에 곧 다른 형태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혜란·홍ㅻ미·공계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나남, 2002
이인정·최해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나남, 1995
http://my.dreamwiz.com/jyseung/edu13.htm
http://irisee.hihome.com/co7.htm
http://counsel.hannam.ac.kr/lim/behavior.htm
Edward의 사례에 대한 논의: 상담자는 내담자가 어떻게 느끼고 무엇을 얻고 싶어하는지를 정확히 찾아내었다. 그래서 그가 원하는 것을 먼저 상상하게 하고 그렇게 되도록 돕는 방식으로 진행시켰다. 이 사례에서 인지적 행동기법이 성공적일 수 있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Edward가 높게 동기화되어 있었으며, 상징적 사고 능력이 있었고, 문제도 인지적 기법에 적절하였다. 이상적이며 협조적인 내담자는 복잡한 장애를 가진 사람보다 건설적인 결과를 얻기 쉽다.
6.평가
(1) 장점
①변화시키고자 하는 구체적인 행동에 초점을 두므로, 사회복지사가 상담과정의 일부로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내담자에게 잘 이해시킬 수 있다. 이는 내담자에게 자신의 행동이 어느 정도 변화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의 결과를 평가하는 정확한 준거를 제공해 준다.
②내담자와 상담자의 합의에 따라 개개인에게 맞는 구체적인 상담기술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③상담을 과학으로 발전 시켰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겉으로 드러나는 구체적인 행동을 소거시키거나 새로운 행동을 획득하도록 상담 목표를 정한다. 그래서 이 접근에서는 상담의 목표가 달성 되었는지의 여부를 분명히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떤 행동이 소거되고 획득되었는지도 객관적으로 분명히 알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2) 단점
①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내력(historical causes)을 경시한다
-행동주의에서는 문제 행동의 내력을 알려고 하는 것보다도 그 문제 행동이 현재 어떤 강화를 받고 있는지를 알아 이 강화 자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환경을 변화시키거나 문제 행동과 대치될 수 있는 새로운 행동을 학습시키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②행동주의적 접근이 구체적인 문제 행동을 수정하는 데는 효과적일지 모르나 자아 실현적인 측면에서는 아주 부적합하다.
③행동주의는 문제의 근원보다는 일시적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행동주의적 접근에 의해 문제가 일시적으로 사라진다고 해도 , 이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 할 수 없기 때문에 곧 다른 형태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혜란·홍ㅻ미·공계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나남, 2002
이인정·최해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나남, 1995
http://my.dreamwiz.com/jyseung/edu13.htm
http://irisee.hihome.com/co7.htm
http://counsel.hannam.ac.kr/lim/behavior.htm
추천자료
행동수정- 강화, 토큰 강화, 소거, 타임아웃
발달과정 분석과 발달장애(이상행동) 분류 및 이상행동유형의 치료와 교육방법 - 아동행동연...
[아동문제][청소년문제][문제행동아동][문제아 지도]아동문제와 청소년문제의 기준, 발생시기...
수줍음 많은 아이 행동수정 사례 연구 (아동행동, 아동관찰,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연구)
밥을 잘 먹지않는 아이 행동수정사례연구(행동수정, 아동행동, 아동관찰, 행동수정사례, 아동...
수줍음많은아이, 부끄러움많이타는아이 행동수정사례연구 (아동행동, 아동관찰, 행동수정사례...
[이상심리학] 아동기 · 청소년기 장애의 치료 - 행동수정(행동형성, 행동연쇄, 소거, 고립, ...
★ 심리학개론 - 자신의 행동 중에 고치고 싶은 행동을 하나(또는 그 이상) 선정하여, 행동수...
어린이집 또래관계문제, 어울리지 않는 아동문제(아동관찰, 아동행동수정)
[유아발달] 유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행동수정기법 종류 및 ...
도벽과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시설입소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로써 어떻게 ...
심리사회모델의 6가지 직접적 개입기술과 행동수정모델의 6가지 개입기술의 예를 2가지 이상...
행동수정모델을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장단점을 논하시오.
사회복지실천기술론)장래희망이 연예인이 되는 것으로, 오로지 가수와 배우가 꿈인 중학교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