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코칭의 개념
2. 과제제시란 무엇인가?
3. 일반교육에서의 과제제시 연구
4. 운동학습심리에서의 과제제시 연구
5. 체육교육에서의 과제제시 연구
6. 체육교육에서 효율적인 교수
7. 지도현장에서 바람직한 과제제시
Ⅱ. 결 론
참고문헌
1. 코칭의 개념
2. 과제제시란 무엇인가?
3. 일반교육에서의 과제제시 연구
4. 운동학습심리에서의 과제제시 연구
5. 체육교육에서의 과제제시 연구
6. 체육교육에서 효율적인 교수
7. 지도현장에서 바람직한 과제제시
Ⅱ.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하더라도 선수들은 여과 없이 그대로 배운다는 사실이 증명되어 올바른 과제를 명료하게 전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다시 한번 일깨워 주고 있다.
참고문헌
강신복(1985). 2000년을 향한 체육진흥 장기 기본계획.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연구소.
곽은창(1998). 경기력 향상을 위한 학술대회.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경희대학교 문화생활연구원 사회체육연구부.
박상훈(1992). 육상코치의 지도 행동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방 열(1999). 농구지도자의 지도관과 코칭행동에 대한 체계적 관찰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손천택(1995). 경기지도자 양성실태와 새로운 육성 방안.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지, 제 8집. pp.1-23.
유상석(1994). 교수전문성 제고를 통한 사회체육 지도자의 경쟁력 강화. 제5회 한국사회체육학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pp. 43-83.
임길선(1993). 교육실습생의 체육 교수행동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최덕묵(1997). 교사의 다양한 과제제시 조건이 학생들의 포환던지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교육학회지, 제4권 2호. pp.1-16.
최덕묵(1998). 다양한 과제제시 타이밍이 포환던지기 기능학습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7권 3호 pp.153-164.
팽숙자(1995). 중고등학교 배구선수가 본 코치의 인품과 지도내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Bandura, A.(1986). Social foudations of thought and social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Berliner, D.C.(1987). But do they understand? In V. Richardson -Koehler(Ed.), Educator's handbook : A research per- spective.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Borphy, J., & Good, T.L.(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 Wittrock (3rd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pp.328-375). New York : Macmillan.
Brown. S.(1994). The effects of limited and repeated demon- strations of the development of fielding and throwing i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Bush, A., Kennedy, J., & Cruickshank, D.(1977).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eacher clarit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2), 53-58.
Carroll, W.R., & Bandura, A.(1987). Translating cognition into action: the role of visual guidance in observational learning. Journal of Motor Behavior, 19, 385-398.
Carroll, W.R., & Bandura, A.(1990). Representational guidance of action production in observational learning: A causal analysis. Journal of Motor Behavior, 22, 85-97.
Cruickshank, D.R.(1985). Applying research on teacher clarit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2), 44-48.
Feltz, D.L.(1982). The effects of age and number of demonstrations on modeling of form and performanc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3(4), 291-296.
Feltz, D.L., & Landers, D.M.(1978). Informational motivational components of a model's demonstra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48(3), 525-533.
Feltz. D.L., Landers, D.M., & Raeder, U.(1979). Enhancing self-efficacy in high avoidance motor tasks : A comparison of modeling technique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1), 112-122.
Fenstermacher, G., & Soltis, J.(1992). Approaches to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allagher, J.D.(1984). Making sense of motor development: Interfacing research with lesson planning. In J.R. Thomas(Ed.), Motor developmen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pp.123-138). Minneapolis, MN: Burgess.
Good, T., & Grouws, D.(1978). The Missouri mathematics effec- tiveness project: An experimental study in fourth grade classroom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355-362.
참고문헌
강신복(1985). 2000년을 향한 체육진흥 장기 기본계획.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연구소.
곽은창(1998). 경기력 향상을 위한 학술대회.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경희대학교 문화생활연구원 사회체육연구부.
박상훈(1992). 육상코치의 지도 행동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방 열(1999). 농구지도자의 지도관과 코칭행동에 대한 체계적 관찰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손천택(1995). 경기지도자 양성실태와 새로운 육성 방안.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지, 제 8집. pp.1-23.
유상석(1994). 교수전문성 제고를 통한 사회체육 지도자의 경쟁력 강화. 제5회 한국사회체육학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pp. 43-83.
임길선(1993). 교육실습생의 체육 교수행동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최덕묵(1997). 교사의 다양한 과제제시 조건이 학생들의 포환던지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교육학회지, 제4권 2호. pp.1-16.
최덕묵(1998). 다양한 과제제시 타이밍이 포환던지기 기능학습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7권 3호 pp.153-164.
팽숙자(1995). 중고등학교 배구선수가 본 코치의 인품과 지도내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Bandura, A.(1986). Social foudations of thought and social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Berliner, D.C.(1987). But do they understand? In V. Richardson -Koehler(Ed.), Educator's handbook : A research per- spective.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Borphy, J., & Good, T.L.(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 Wittrock (3rd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pp.328-375). New York : Macmillan.
Brown. S.(1994). The effects of limited and repeated demon- strations of the development of fielding and throwing i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Bush, A., Kennedy, J., & Cruickshank, D.(1977).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eacher clarit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2), 53-58.
Carroll, W.R., & Bandura, A.(1987). Translating cognition into action: the role of visual guidance in observational learning. Journal of Motor Behavior, 19, 385-398.
Carroll, W.R., & Bandura, A.(1990). Representational guidance of action production in observational learning: A causal analysis. Journal of Motor Behavior, 22, 85-97.
Cruickshank, D.R.(1985). Applying research on teacher clarit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2), 44-48.
Feltz, D.L.(1982). The effects of age and number of demonstrations on modeling of form and performanc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3(4), 291-296.
Feltz, D.L., & Landers, D.M.(1978). Informational motivational components of a model's demonstra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48(3), 525-533.
Feltz. D.L., Landers, D.M., & Raeder, U.(1979). Enhancing self-efficacy in high avoidance motor tasks : A comparison of modeling technique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1), 112-122.
Fenstermacher, G., & Soltis, J.(1992). Approaches to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allagher, J.D.(1984). Making sense of motor development: Interfacing research with lesson planning. In J.R. Thomas(Ed.), Motor developmen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pp.123-138). Minneapolis, MN: Burgess.
Good, T., & Grouws, D.(1978). The Missouri mathematics effec- tiveness project: An experimental study in fourth grade classroom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355-362.
추천자료
사회체육지도자의 양성과정차
생활체육지도자의 효율적 관리 및 생활체육 발전방안
생활체육지도자
간호지도자론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
[지도성][리더십][지도자]지도성(리더십, 지도력)의 정의, 지도성(리더십, 지도력)의 유형, ...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를 사정하고, ...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조직의 지도자 행동유형 판단 및 가장 적합...
21c 한국의 바람직한 정치 지도자상- 지도자와 리더십 선택레포트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들의 자율 참여를 위해 필요한 청소년 지도자의 전문성에 대해 논...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를 사정하고, ...
국민소득 증대와 여가시간 확대에 따른 생활체육지도자의 기능과 역할 및 자질 등에 대해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