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역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카의 견해
1. 역사담론의 결과물
2. 역사의 본질
Ⅲ. 인간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역사학
1. 카의 저서에서 나타나는 역사학의 지위
2. 역사학 인식의 객관성
3. 카의 역사학에서 나타나는 논리
Ⅳ. ‘과거와 현재의 대화’로서의 역사의 담론 형식
Ⅴ. 진보사관 종말 이후 역사의 재조명
1. 카의 역사관의 재조명
2. 카의 역사관의 재평가
3. 재평가시 염두해 두어야 할 사항
Ⅵ. 결 : 전체적인 서평
Ⅱ. 역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카의 견해
1. 역사담론의 결과물
2. 역사의 본질
Ⅲ. 인간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역사학
1. 카의 저서에서 나타나는 역사학의 지위
2. 역사학 인식의 객관성
3. 카의 역사학에서 나타나는 논리
Ⅳ. ‘과거와 현재의 대화’로서의 역사의 담론 형식
Ⅴ. 진보사관 종말 이후 역사의 재조명
1. 카의 역사관의 재조명
2. 카의 역사관의 재평가
3. 재평가시 염두해 두어야 할 사항
Ⅵ. 결 : 전체적인 서평
본문내용
아내기 위해 다각적인 방식으로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
3. 재평가시 염두해 두어야 할 사항
한편으로 우리는 카가 역설했듯이 '인간사에 대한 이성의 작용의 전진'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역사의 진보를 '자기 자신과 자신의 환경을 이해하고자 지배하는 인간 능력의 증대'라고 보는 카의 역사관의 수정이 요청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이성 능력의 확대를 통해서 생태계를 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전인자 조작을 통해서 인간의 자연적인 부분가지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Ⅵ. 결 : 전체적인 서평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우리나라에서는 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읽힌 역사학 입문서이다. 이 책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무시했던 역사에 대한 이론적 성찰의 중요성을 매우 명쾌하고 설득력 있게 제시했다는 데 있다. 그러나 카의 역사철학은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 성립하는 역사 담론의 형식적인 문제를 고찰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곧 그는 역사를 역사적 상상력을 매개로 하는 담론이 아니라 진보를 인식의 좌표로 하는 과학으로 볼 것만을 고집함으로써 이와 같은 역사 인식론의 근본 문제를 방기하였다.
3. 재평가시 염두해 두어야 할 사항
한편으로 우리는 카가 역설했듯이 '인간사에 대한 이성의 작용의 전진'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역사의 진보를 '자기 자신과 자신의 환경을 이해하고자 지배하는 인간 능력의 증대'라고 보는 카의 역사관의 수정이 요청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이성 능력의 확대를 통해서 생태계를 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전인자 조작을 통해서 인간의 자연적인 부분가지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Ⅵ. 결 : 전체적인 서평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우리나라에서는 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읽힌 역사학 입문서이다. 이 책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무시했던 역사에 대한 이론적 성찰의 중요성을 매우 명쾌하고 설득력 있게 제시했다는 데 있다. 그러나 카의 역사철학은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 성립하는 역사 담론의 형식적인 문제를 고찰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곧 그는 역사를 역사적 상상력을 매개로 하는 담론이 아니라 진보를 인식의 좌표로 하는 과학으로 볼 것만을 고집함으로써 이와 같은 역사 인식론의 근본 문제를 방기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