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고취관련 계통의 음악활동
2.『해행총재』에 나타난 고취계통 음악 연주기사
3.국서 봉안, 사신행진
4.통신사의 출항, 항해, 입항
5.<그림 1> 예인 선단도
6.<그림 2> 조선통신사의 에도(강호)입성도
7.<그림 3> 경도 춘추경의 입성도
8.<사신의 영접과 전송>
2.『해행총재』에 나타난 고취계통 음악 연주기사
3.국서 봉안, 사신행진
4.통신사의 출항, 항해, 입항
5.<그림 1> 예인 선단도
6.<그림 2> 조선통신사의 에도(강호)입성도
7.<그림 3> 경도 춘추경의 입성도
8.<사신의 영접과 전송>
본문내용
6, 178쪽.
(1718)신유한,『海游錄』 - 7월 19일 이른 아침에 도주의 배에서 북을 치므로 삼사신이 국서를 받들고 의장을 갖추어 항구로 나가...운집한 돛대는 바다를 덮고 고취는 하늘에 진동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 423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군악'으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島主船擊鼓三使臣奉國書備儀出灣口...雲帆蔽海鼓吹震天...
(1718)신유한,『海游錄』 - 12월 29일, ...세 사신이 고취를 울리며 배를 출발시키니...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2, 19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군악'으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三使臣鼓吹發船...
(1763)조엄, 『해사일기』,...11월 13일... 도주 또한 배를 띄울 것을 청하므로 저들은 삼고로, 우리는 삼취로 신호하고 나갔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7, 82쪽.
...島主亦請行船.彼以三鼓.我以三吹相應而出...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윤7월 12일, ... 취타를 연주하며 항구안으로 들어서는데...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245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며'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취타를 연주하며'라 고쳤다)
...吹打始入港...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2월 16일 ...북 나발이 일제히 울리어....악포 항구에 들어가 돛을 내리고 고취하면서 가는데....재판이 역관에게 청하여 옮겨서 고하기를 "이 곳 마을 사람이 사행의 광림을 뵐 수 있음을 더 없는 영행으로 여깁니다. 풍악소리를 들려 주시기 바랍니다." 하기에 공인에게 명하여 각각 선미에서 삼현을 연주하게 하니 모여 와서 구경하는 왜인이 매우 많았는데 다들 몹시 놀라고 기뻐하는 모양이었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19-21쪽.
...鼓角齊鳴...船入鰐浦港口於帆鼓吹而行蒼...譯官而轉告曰是處村人得제使行之光臨榮音幸莫大願以樂聲聞之云云卽命工人各於船尾奏三絃倭人之來集觀光者甚多而皆有姿喜歡到之狀矣...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3월 11일, ...신등이 절월, 기치와 고각, 삼현을 갖추고 일행의 상하관이 각각 위의를 갖추어서 가니, 상중하관을 모두 합쳐서 삼백여인이다....군물, 고취 및 전배는 이미 먼저 들어갔다...정사 앞에 나와서 삼취의 절차를 고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54-58쪽.
...臣等具節鉞旗幟鼓角三絃一行上下官各備盛儀而行上中下官都合爲三百餘人...軍物鼓吹及前陪已先入...正使之前告三吹...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4월 5일 사시에 태수의 배에서 북을 치므로 세 사신의 배에서도 각각 삼취를 하고서 차례로 떠났다...북과 나발의 요란한 소리가 바다 어귀를 진동하는데...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79쪽.
...太守先打鼓三使船亦各三吹次芽而發...如陳鼓角爭喧聲動海門...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윤7월 7일, ...고취를 연주하며 노를 저어서 가니....(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며'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鼓吹櫓舟而行...
위의 기사에서 사신의 배가 출발할 때 왜인들의 예인선에서 먼저 신호를 하면 고취로서 그 신호를 받아 출발시키고 배로 행진할 때 고취를 연주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취와 함께 삼현을 갖추고 행진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국서를 가지고 항구에 입항할 때도 고취를 성대하게 연주하고 입항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도 연주된 음악은 「鼓吹」·「簫鼓」·「吹打」·「軍樂」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림1> 예인 선단도
<그림 2> 조선통신사의 에도(江戶)입성도
<그림 3> 경도 춘추경의 입성도
<사신의 영접과 전송>
다음으로, 사신의 영접과 전송에 관한 기사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1643)저자미상, 『癸未東 日記』 -7월 17일, ...사신이 장차 명을 전하려 하여, 나팔이 두 번 분 뒤에 깃대와 북을 문밖에 내다가 세웠다. 바야흐로 세 번 불려고 할 적에 관백이 와서 말하기를...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5, 281쪽.
...使臣將傳命.二吹後旗鼓出排於門外.方欲三吹之際.館伴來言曰...
(1655)남용익, 『扶桑錄』- 6월22일, ...오후에 사신들이 관대와 위의를 갖추고 가마를 타고 고취를 울리며 의성의 집에 이르러 대문을 세 번 지나 가마에서 내려 당에 올랐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5, 364-365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군악'으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午後使臣等具冠帶及威儀.乘轎鼓吹.到義成家.三入門而下轎上堂...
(1682)홍우재, 『東 錄』, 8월 22일...양당이 계단 아래까지 내려가 전송하고 나는 끝까지 인례하고 들어왔다.(예의를 베풀고 군악을 울려서 맞고 보내고 했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6, 196-197쪽.
...兩堂下階而送.余則引禮而立(設儀仗作軍樂以爲迎送)...
(1718)신유한,『海游錄』 - ...6월 20일 높은 북걸이를 설치하고 큰 북을 장치하여 군사에게 신호도 하고 집무와 휴무시간을 알리게 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 383쪽.
...軒前設高 置一大鼓以令軍報衙...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3월 4일, ...봉행이 태수의 말을 전하러 오면 이를 공간이라 하여 으레 태평소를 불어서 맞이하고 배웅한다 하므로 관례대로 시행하게 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44-45쪽.
...凡奉行之以太守言來則謂之公幹而例叭太平簫送迎之云故使之依例行之奉行之行...
위의 기사에서 사신이 명을 전하려 할 때 나팔을 불어 신호를 하여 알림을 알 수 있으며, 태평소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휴식시간과 신호를 위해 북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군악」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취대는 군인으로 구성되었음을 여기서도 확인할 수 있다
(1718)신유한,『海游錄』 - 7월 19일 이른 아침에 도주의 배에서 북을 치므로 삼사신이 국서를 받들고 의장을 갖추어 항구로 나가...운집한 돛대는 바다를 덮고 고취는 하늘에 진동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 423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군악'으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島主船擊鼓三使臣奉國書備儀出灣口...雲帆蔽海鼓吹震天...
(1718)신유한,『海游錄』 - 12월 29일, ...세 사신이 고취를 울리며 배를 출발시키니...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2, 19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군악'으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三使臣鼓吹發船...
(1763)조엄, 『해사일기』,...11월 13일... 도주 또한 배를 띄울 것을 청하므로 저들은 삼고로, 우리는 삼취로 신호하고 나갔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7, 82쪽.
...島主亦請行船.彼以三鼓.我以三吹相應而出...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윤7월 12일, ... 취타를 연주하며 항구안으로 들어서는데...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245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며'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취타를 연주하며'라 고쳤다)
...吹打始入港...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2월 16일 ...북 나발이 일제히 울리어....악포 항구에 들어가 돛을 내리고 고취하면서 가는데....재판이 역관에게 청하여 옮겨서 고하기를 "이 곳 마을 사람이 사행의 광림을 뵐 수 있음을 더 없는 영행으로 여깁니다. 풍악소리를 들려 주시기 바랍니다." 하기에 공인에게 명하여 각각 선미에서 삼현을 연주하게 하니 모여 와서 구경하는 왜인이 매우 많았는데 다들 몹시 놀라고 기뻐하는 모양이었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19-21쪽.
...鼓角齊鳴...船入鰐浦港口於帆鼓吹而行蒼...譯官而轉告曰是處村人得제使行之光臨榮音幸莫大願以樂聲聞之云云卽命工人各於船尾奏三絃倭人之來集觀光者甚多而皆有姿喜歡到之狀矣...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3월 11일, ...신등이 절월, 기치와 고각, 삼현을 갖추고 일행의 상하관이 각각 위의를 갖추어서 가니, 상중하관을 모두 합쳐서 삼백여인이다....군물, 고취 및 전배는 이미 먼저 들어갔다...정사 앞에 나와서 삼취의 절차를 고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54-58쪽.
...臣等具節鉞旗幟鼓角三絃一行上下官各備盛儀而行上中下官都合爲三百餘人...軍物鼓吹及前陪已先入...正使之前告三吹...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4월 5일 사시에 태수의 배에서 북을 치므로 세 사신의 배에서도 각각 삼취를 하고서 차례로 떠났다...북과 나발의 요란한 소리가 바다 어귀를 진동하는데...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79쪽.
...太守先打鼓三使船亦各三吹次芽而發...如陳鼓角爭喧聲動海門...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윤7월 7일, ...고취를 연주하며 노를 저어서 가니....(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며'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鼓吹櫓舟而行...
위의 기사에서 사신의 배가 출발할 때 왜인들의 예인선에서 먼저 신호를 하면 고취로서 그 신호를 받아 출발시키고 배로 행진할 때 고취를 연주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취와 함께 삼현을 갖추고 행진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국서를 가지고 항구에 입항할 때도 고취를 성대하게 연주하고 입항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도 연주된 음악은 「鼓吹」·「簫鼓」·「吹打」·「軍樂」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림1> 예인 선단도
<그림 2> 조선통신사의 에도(江戶)입성도
<그림 3> 경도 춘추경의 입성도
<사신의 영접과 전송>
다음으로, 사신의 영접과 전송에 관한 기사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1643)저자미상, 『癸未東 日記』 -7월 17일, ...사신이 장차 명을 전하려 하여, 나팔이 두 번 분 뒤에 깃대와 북을 문밖에 내다가 세웠다. 바야흐로 세 번 불려고 할 적에 관백이 와서 말하기를...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5, 281쪽.
...使臣將傳命.二吹後旗鼓出排於門外.方欲三吹之際.館伴來言曰...
(1655)남용익, 『扶桑錄』- 6월22일, ...오후에 사신들이 관대와 위의를 갖추고 가마를 타고 고취를 울리며 의성의 집에 이르러 대문을 세 번 지나 가마에서 내려 당에 올랐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5, 364-365쪽.
(밑줄은 필자, 『국역해행총재』에는 '군악'으로 번역되어 있었으나 필자가 원문을 확인하여 '고취'라 고쳤다)
...午後使臣等具冠帶及威儀.乘轎鼓吹.到義成家.三入門而下轎上堂...
(1682)홍우재, 『東 錄』, 8월 22일...양당이 계단 아래까지 내려가 전송하고 나는 끝까지 인례하고 들어왔다.(예의를 베풀고 군악을 울려서 맞고 보내고 했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6, 196-197쪽.
...兩堂下階而送.余則引禮而立(設儀仗作軍樂以爲迎送)...
(1718)신유한,『海游錄』 - ...6월 20일 높은 북걸이를 설치하고 큰 북을 장치하여 군사에게 신호도 하고 집무와 휴무시간을 알리게 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 383쪽.
...軒前設高 置一大鼓以令軍報衙...
(1784)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 3월 4일, ...봉행이 태수의 말을 전하러 오면 이를 공간이라 하여 으레 태평소를 불어서 맞이하고 배웅한다 하므로 관례대로 시행하게 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위의 책, 권10, 44-45쪽.
...凡奉行之以太守言來則謂之公幹而例叭太平簫送迎之云故使之依例行之奉行之行...
위의 기사에서 사신이 명을 전하려 할 때 나팔을 불어 신호를 하여 알림을 알 수 있으며, 태평소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휴식시간과 신호를 위해 북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군악」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취대는 군인으로 구성되었음을 여기서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