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리에게 방향을 제시해주었고,이제는 우리가 무엇부터 해야 하는지를 생각해야 할 때다.포퍼가 열린 사회의 조건으로 인간의 이성과 자유 추구를 강조했다면,우리는 어떻게 각 개인이 이성적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인가부터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우리의 후손들에게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켜 나가는 방법을 가르칠 것인가,아니면 인간만이 지닌 고귀한 이성의 힘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급선무인가.포퍼가 말한 대로 `내가 틀리고 네가 옳을지도 모르며,노력을 통해 진리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사회가 이룩해 나가기 위한 주체는 누구인가.누구에게나 자유가 중요하다면,그것을 지킬 수 있는 힘은 이성(理性)에서 나오고,그것은 개개인에 귀속된 것이므로 결국 열린 사회는 바로 `나'부터 시작될 수밖에 없다.
추천자료
한국 사회학(한국 사회의 현실 조망)
[컴퓨터와 정보사회] 정보화사회
[사회복지] 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해서[`A+레포트`]
[사회복지] 다문화가족의 사회복지대책
[사회복지]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문제점 및 사회복지 대책
정보기술의 발달(사회, 인문과학, 사회과학 효과)
인간관계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사회복지조직의 인간관계 이론 적용에 대하여 설명 & 사...
[심리사회적 이론 비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비교후 공통...
우리는 왜 사회적 관계, 특히 공동체적 삶을 고민해야 하는가, 그 철학적 근거를 서술하고, ...
[사회복지행정론]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과 추진방향
[사회복지법제]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기본개념, 진행상황, 한국사례, 외국사례 등에 대하...
[중국의 사회와 문화 A형]전통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어떻...
[사회복지개론] 건강문제에 대해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체계이론적 관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