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온조절기전
2. 고체온과 저체온
3. 발열단계에 따른 증상과 간호
4. 열의 종류와 양상
5. 체온유지문제에 대한 간호중재
6. 열요법의효과 및 금기증
7. 열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8. 냉요법의 효과 및 금기증
9. 냉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2. 고체온과 저체온
3. 발열단계에 따른 증상과 간호
4. 열의 종류와 양상
5. 체온유지문제에 대한 간호중재
6. 열요법의효과 및 금기증
7. 열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8. 냉요법의 효과 및 금기증
9. 냉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본문내용
주의 해야 하는데 이는 전기
담요 속의 열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 안전핀을 담요에 찌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안전핀
을 찌르면 합선 되거나 누전 되므로 주의해야함. 또한 빨리 체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처음부터 전기담
요의 온도를 정상체온 이상의 높은 온도로 맞추어 놓는 것은 화상의 위험이 높음.
② 순환 물담요 (circulatory water blanket)
수술 후 열손실을 가장 적게 내리는 방법으로 적용.
2) 국소요법
① 더운 물주머니
더운 물주머니 순환을 증진시키고, 체온을 상승. 또한 화농을 촉진 시키고 부종을 경감시키며 상처치유
의 촉진, 통증 및 근육경련을 완화시키고자 할때 적용.
8. 냉법의 효과 및 금기증
1) 냉요법 효과
①혈관수축의 결과로 연조직의 출혈과 부종을 감소시킨다.
②신경전도를 느리게 하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③부작용 :허혈과 가려움을 동반한 동상
2)냉요법의 금기증
①부위의 마비증세가 있거나 동상을 입은 경우
②평소혈액순환장애로 고생한 경우
③얼음찜질을 너무 자주하여 효과를 보지 못한 상태에서 부기가 빠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
④개방성 피부 상처에는 반드시 멸균된 것을 적용해야만함
9. 냉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습냉요법>
1. 냉습포
1) 적용방법은 열습포적용법과 동일.
(15 온도의 물에 적신 거즈를 사용)
2) 간호사는 더워지지 않았는지 자주 찜질 습초를 검사함.
3) 냉습포는 염증이나 부종부위에 효과적
4) 개방성상처에는 무균적으로 적용
5) 작열감, 무감각, 얼룩점, 발적, 심한 창백, 푸른색 등의 해로운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
6) 냉습포의 적용은 20분간 지속.
2. 냉수욕
1) 방법은 온수욕과 동일.
(15 의 물에 신체를 담그는 것.)
2) 오한을 느끼지 않도록 주의.
3) 20분간 적용하는 동안 더워진 용액은 떠내고 찬물을 더 첨가함.
<건냉요법>
1. 얼음주머니 또는 얼음칼라
1) 근육의 염좌, 국소적인 출혈, 혈종, 치과 수술을 받은 대상자에게 부종형성을 경감시키고 출혈을 멎게 하고, 마취효과를 내게하는데 효과적
2) 크기가 다양하므로 각 신체부위에 잘 맞는 것을 사용.
3) 주머니는 고무로 만들어져 있고 마개가 있으며 융 씌우개가 덮여있다.
4) 사용법
* 물을 채워 뚜껑을 잠근 후 새는지 거꾸로 들어 확인한 후 따라 버린다.
* 얼음조각을 2/3정도 주머니에 채워 신체부위에 잘 붙게 해줌.
* 양 옆을 비틀어서 주머니속의 공기를 뺌(공기가 차있으면 냉의 전도를 행해함)
* 주머니의 물기를 닦아냄
* 융 씌우개, 수건 또는 베갯잇으로 주머니를 잘쌈.
* 주머니를 약 30분간 환부에 대줌. 주머니는 한시간후에 다시 적용
2. Cold packs, ice packs
1)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상품화 되어있음.
2) 팩을 쥐어짜거나 주므르면 알코올 용액이 찬온도를 내기 위해 안쪽으로 나옴.
3) 한번 사용한 주머니는 다시 사용하기 위해 얼릴 수 없음.
4) 바깥 씌우개는 부드러운 천으로 되어있어서 피부표면에 직접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음.
1) 냉요법 적용
- 체온이 38 이상일 때
- 복사, 전도, 대류, 증발의 열소실 원리를 이용하여 체표면에서 주변환경으로 열을 이동.
2) 냉요법의 종류
(1) 전신적 냉요법 - 냉수 미온수, 알코올을 이용한 스펀지 목욕
■ 찬물 스펀지 목욕(13~18 )
전도와 증발을 통해 체온하강을 더 많이 할 수 있음.
피부의 냉각수용체를 자극하여 체온조절중추를 통해 과도한 혈관수축 반응이나 전율 등을 일으켜 열소실을 저하시키고 열생산이 더욱 증가하게 되며 불편감이 심하기 때문에 잘 시행하지 않음.
■ 알코올 스펀지 목욕
알코올이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므로 열소실률을 높일 수 있음.
알코올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거나 자극이 있으며 폐내로 흡입되어 오심을 유발할 뿐 아니라 어린이나 노인에게는 중추신경계를 억제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자주 시행하지 않음.
■ 열수용기는 온도변화에 순응함.
■ 냉각수용기는 온도의 갑작스런 하락이 있을 때, 온도의 갑작스런 상승이 있을 때 처음에 강하게 자극됨. 이 강한 자극은 처음 몇 초 동안에는 빠르게 떨어지고 다음 30분 동안 더 천천히 또는 수용기가 새로운 온도에 순응함으로써 더욱 느리게 떨어짐.
■ 간호사 : 온냉요법을 사용할 때 대상자의 열 적응반응을 알아야 함.
(2) 미온수 스펀지 목욕 - 가장 흔히 사용되는 물리적 냉요법
<정의>
인체가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영역인 27~34 의 미온수로 약 10~60분 동안 시행하는 것.
간단하고 믿을만한 간호법으로 체온을 빨리 내릴 때 사용.
<원리>
더 차가운 물질(이 경우 미온수)로의 전도, 체표면에서의 수분증발 그리고 목욕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체표면에서의 열대류를 통해 신체는 열을 잃게 됨.
<주의>
목욕 전에 활력징후를 측정, 목욕후 다시 측정하여 냉요법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함.
찬물(13 이하)을 사용하면 저도와 증발의 이중효과가 극대화되어 체온하강 측면에서는 미온수보다 더 높으나 피부의 냉각수용기를 자극하게 되어 혈관수축이나 전율, 오한 등을 유발.
마사지를 강하게 해서 피부의 표재성 혈관이 충분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이마에는 얼음주머니를 대주어 열의 전도를 증가시켜 해열을 시킴과 동시에 두통을 감소시키고, 발에는 더운 물주머니를 대주어 오한과 한기가 나타나는 것을 막아주어야함.
- 충분히 마찰하지 않으면 찬 것이 닿았을 때 피부의 표재성 혈관이 수축되어 말초현관의 반사작용에 의하여 오한이나 한기가 나타나 오히려 심부의 체온이 올라갈 수 있고, 또 불쾌한 두통이 동반 될 수 있음.
선풍기를 대상자의 반대편을 향해 켜두면 대상자 주변의 공기 이동을 증가시켜 대류로 인한 열소실을 촉진시킬수 있음.
(3) 국소적 냉요법
■ 얼음 주머니
- 체온을 감소, 통증을 경감, 지혈작용, 염증이나 화농을 지연시키고 울혈을 제거.
■ 냉습포
- 체온을 내리고 울혈작용을 경감시키며 화농을 지연시키기 위해.
■ 관장법
- 대변을 보지 못한 고열환자에게 체열을 내리게 하는 방법(소아에게 적용.)
담요 속의 열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 안전핀을 담요에 찌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안전핀
을 찌르면 합선 되거나 누전 되므로 주의해야함. 또한 빨리 체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처음부터 전기담
요의 온도를 정상체온 이상의 높은 온도로 맞추어 놓는 것은 화상의 위험이 높음.
② 순환 물담요 (circulatory water blanket)
수술 후 열손실을 가장 적게 내리는 방법으로 적용.
2) 국소요법
① 더운 물주머니
더운 물주머니 순환을 증진시키고, 체온을 상승. 또한 화농을 촉진 시키고 부종을 경감시키며 상처치유
의 촉진, 통증 및 근육경련을 완화시키고자 할때 적용.
8. 냉법의 효과 및 금기증
1) 냉요법 효과
①혈관수축의 결과로 연조직의 출혈과 부종을 감소시킨다.
②신경전도를 느리게 하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③부작용 :허혈과 가려움을 동반한 동상
2)냉요법의 금기증
①부위의 마비증세가 있거나 동상을 입은 경우
②평소혈액순환장애로 고생한 경우
③얼음찜질을 너무 자주하여 효과를 보지 못한 상태에서 부기가 빠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
④개방성 피부 상처에는 반드시 멸균된 것을 적용해야만함
9. 냉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습냉요법>
1. 냉습포
1) 적용방법은 열습포적용법과 동일.
(15 온도의 물에 적신 거즈를 사용)
2) 간호사는 더워지지 않았는지 자주 찜질 습초를 검사함.
3) 냉습포는 염증이나 부종부위에 효과적
4) 개방성상처에는 무균적으로 적용
5) 작열감, 무감각, 얼룩점, 발적, 심한 창백, 푸른색 등의 해로운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
6) 냉습포의 적용은 20분간 지속.
2. 냉수욕
1) 방법은 온수욕과 동일.
(15 의 물에 신체를 담그는 것.)
2) 오한을 느끼지 않도록 주의.
3) 20분간 적용하는 동안 더워진 용액은 떠내고 찬물을 더 첨가함.
<건냉요법>
1. 얼음주머니 또는 얼음칼라
1) 근육의 염좌, 국소적인 출혈, 혈종, 치과 수술을 받은 대상자에게 부종형성을 경감시키고 출혈을 멎게 하고, 마취효과를 내게하는데 효과적
2) 크기가 다양하므로 각 신체부위에 잘 맞는 것을 사용.
3) 주머니는 고무로 만들어져 있고 마개가 있으며 융 씌우개가 덮여있다.
4) 사용법
* 물을 채워 뚜껑을 잠근 후 새는지 거꾸로 들어 확인한 후 따라 버린다.
* 얼음조각을 2/3정도 주머니에 채워 신체부위에 잘 붙게 해줌.
* 양 옆을 비틀어서 주머니속의 공기를 뺌(공기가 차있으면 냉의 전도를 행해함)
* 주머니의 물기를 닦아냄
* 융 씌우개, 수건 또는 베갯잇으로 주머니를 잘쌈.
* 주머니를 약 30분간 환부에 대줌. 주머니는 한시간후에 다시 적용
2. Cold packs, ice packs
1)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상품화 되어있음.
2) 팩을 쥐어짜거나 주므르면 알코올 용액이 찬온도를 내기 위해 안쪽으로 나옴.
3) 한번 사용한 주머니는 다시 사용하기 위해 얼릴 수 없음.
4) 바깥 씌우개는 부드러운 천으로 되어있어서 피부표면에 직접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음.
1) 냉요법 적용
- 체온이 38 이상일 때
- 복사, 전도, 대류, 증발의 열소실 원리를 이용하여 체표면에서 주변환경으로 열을 이동.
2) 냉요법의 종류
(1) 전신적 냉요법 - 냉수 미온수, 알코올을 이용한 스펀지 목욕
■ 찬물 스펀지 목욕(13~18 )
전도와 증발을 통해 체온하강을 더 많이 할 수 있음.
피부의 냉각수용체를 자극하여 체온조절중추를 통해 과도한 혈관수축 반응이나 전율 등을 일으켜 열소실을 저하시키고 열생산이 더욱 증가하게 되며 불편감이 심하기 때문에 잘 시행하지 않음.
■ 알코올 스펀지 목욕
알코올이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므로 열소실률을 높일 수 있음.
알코올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거나 자극이 있으며 폐내로 흡입되어 오심을 유발할 뿐 아니라 어린이나 노인에게는 중추신경계를 억제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자주 시행하지 않음.
■ 열수용기는 온도변화에 순응함.
■ 냉각수용기는 온도의 갑작스런 하락이 있을 때, 온도의 갑작스런 상승이 있을 때 처음에 강하게 자극됨. 이 강한 자극은 처음 몇 초 동안에는 빠르게 떨어지고 다음 30분 동안 더 천천히 또는 수용기가 새로운 온도에 순응함으로써 더욱 느리게 떨어짐.
■ 간호사 : 온냉요법을 사용할 때 대상자의 열 적응반응을 알아야 함.
(2) 미온수 스펀지 목욕 - 가장 흔히 사용되는 물리적 냉요법
<정의>
인체가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영역인 27~34 의 미온수로 약 10~60분 동안 시행하는 것.
간단하고 믿을만한 간호법으로 체온을 빨리 내릴 때 사용.
<원리>
더 차가운 물질(이 경우 미온수)로의 전도, 체표면에서의 수분증발 그리고 목욕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체표면에서의 열대류를 통해 신체는 열을 잃게 됨.
<주의>
목욕 전에 활력징후를 측정, 목욕후 다시 측정하여 냉요법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함.
찬물(13 이하)을 사용하면 저도와 증발의 이중효과가 극대화되어 체온하강 측면에서는 미온수보다 더 높으나 피부의 냉각수용기를 자극하게 되어 혈관수축이나 전율, 오한 등을 유발.
마사지를 강하게 해서 피부의 표재성 혈관이 충분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이마에는 얼음주머니를 대주어 열의 전도를 증가시켜 해열을 시킴과 동시에 두통을 감소시키고, 발에는 더운 물주머니를 대주어 오한과 한기가 나타나는 것을 막아주어야함.
- 충분히 마찰하지 않으면 찬 것이 닿았을 때 피부의 표재성 혈관이 수축되어 말초현관의 반사작용에 의하여 오한이나 한기가 나타나 오히려 심부의 체온이 올라갈 수 있고, 또 불쾌한 두통이 동반 될 수 있음.
선풍기를 대상자의 반대편을 향해 켜두면 대상자 주변의 공기 이동을 증가시켜 대류로 인한 열소실을 촉진시킬수 있음.
(3) 국소적 냉요법
■ 얼음 주머니
- 체온을 감소, 통증을 경감, 지혈작용, 염증이나 화농을 지연시키고 울혈을 제거.
■ 냉습포
- 체온을 내리고 울혈작용을 경감시키며 화농을 지연시키기 위해.
■ 관장법
- 대변을 보지 못한 고열환자에게 체열을 내리게 하는 방법(소아에게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