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O)의 구조는 β-카로틴을 한가운데서 자른 알코올이다. 3종의 카로틴의 비타민 A 활성을 비교하면, β-카로틴은 α- 카로틴의 2배이다. 이 사실로부터 프로비타민 A는 생체내에서 산화하여 비타민 A 알데히드가 되고, 다시 환원되어 비타민 A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물체내에서는 장벽에서의 흡수율이 약 30%이다. 카로틴의 생체내에서의 합성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다. 그러나 여러 연구에 의해서 합성의 원료로서는 아세트산이며, 이것이 메발론산을 거쳐 다시 여러 단계를 거친 다음, 카로틴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α-와 β-카로틴은 녹색잎 속에 반드시 존재하여, 클로로필과 함께 발견되는데, 광합성과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가을에 클로로필이 분해하면, 그때까지 녹색에 의해 감추어져 있던 카로틴의 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명한 적색 또는 황색 색소는 카로틴이 아니라 카로틴이 변화를 받아 생긴 물질이며, 그 구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4종의 카로틴의 분자식은 모두 C40H56이며, 이들은 서로 이성질체이다.
[4]피코시아닌
흔들말, 염주말 같은 남조류에 들어있는 광합성 보조 색소이다.
[5]피코에리드린
김, 해인초 같은 홍조 식물에 들어있는 색소이며, 피코시아닌과 피코에리드린을 피코 발린 색소라고 한다.
6.Reference
한국 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생물실험, 교육부
생물학, 을유 문화사, 1993년 판
킴볼 생물학(제6판), 142쪽
고급생물, 1995년 판 75-76쪽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식물 생리학, salibury n Ross, 1993
[4]피코시아닌
흔들말, 염주말 같은 남조류에 들어있는 광합성 보조 색소이다.
[5]피코에리드린
김, 해인초 같은 홍조 식물에 들어있는 색소이며, 피코시아닌과 피코에리드린을 피코 발린 색소라고 한다.
6.Reference
한국 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생물실험, 교육부
생물학, 을유 문화사, 1993년 판
킴볼 생물학(제6판), 142쪽
고급생물, 1995년 판 75-76쪽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식물 생리학, salibury n Ross,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