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숙을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아저씨를 비판하지만 오히려 자신이 비판당하는 것을 제목에서도 똑같이 사용했다고 보여진다.
이 글의 결말부에 '나'와 아저씨와의 대화는 합의점이 없이 끝난다. 그들 서로는 다른 가치관으로 서로를 설득하지도 못하고 각자의 세계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일제에 순응하려는 '나'와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아저씨와의 갈등은 이렇게 해결될 수 없는 문제로 드러난다. 내 생각에 작가는 일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풍자를 통해 드러냄은 물론 아저씨도 긍정적으로 보지 않으면서 그 시대의 사회상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여러각도로 비판한 것 같다. 이 글을 다시 읽으며 채만식이라는 작가의 풍자적 기법에 놀랐다. 이렇게 잘 역으로 비판할 수 있었다는 점, 그리고 '나'라는 인물이 자연스럽게 이야기 하듯 써 내려갈 수 있었다는 점에 감탄할 수밖에 없었다. 이 글을 읽으면서 일제 시대의 우리 민족의 생활상을 짐작하고 그 당시의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이 글의 아주머니를 보고 한 여성으로서, 아내로서의 자세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전환기의 근대문학. 나병철. 1995. 두레시대.
단편소설전집. 김동인 외. 1991. 도서출판 판.

키워드

채만식,   치숙,   일제,   채만식,   감상문,   독후감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1.0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