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경기의 진행방법
(1) 단식 경기
▶경기규칙
▶경기방법
(2) 복식 경기
▶경기규칙
▶경기방법
▶반칙
(1) 단식 경기
▶경기규칙
▶경기방법
(2) 복식 경기
▶경기규칙
▶경기방법
▶반칙
본문내용
오른쪽 코트로 계속해서 서브한다. 서비스 오버되어 A는 서비스권만 찾아온다.
⑥ A는 1점 B는 2점에서 A의 득점이 홀수이기 때문에 서비스 오버 후에 왼쪽에서 B의 왼쪽 코트로 서브한다. 랠리에서 A가 이겼다.
(2) 복식 경기
▶경기 규칙
1) 복식 경기에서는 오른쪽 서비스 코트 내에서 누가 먼저 서비스할 것인지 그리고 첫 서비스를 누가 먼저 리시브할 것인가를 우선 결정해야 한다.
2) 해당 선수를 A, 파트너를 B로 가정하면, 선수 A는 단식 경기와 동일하게 서비스한다.
3) 선수 B는 단식 경기 서비스할 때와 반대 코트에서 서비스한다.
4) 이 규칙은 세팅을 했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5) 서비스는 양쪽 서비스 코트에서 교대로 넣게 된다.
6) 파트너는 어느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지만 상대방 서버나 리시버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7) 복식 경기에서는 첫 이닝에서만 두 선수 중 한 선수만이 서브권을 갖는다. 그러므로 폴트가 되면 서브권이 상대방 팀으로 넘어간다.
8) 단식 경기와 달리 복식 경기에서 리시버는 서브 리시브 코트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선수는 서비스할 때와 같은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9) 즉, 리시브하는 편의 점수가 짝수이면 선수 A는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하고, 선수 B는 왼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10) 만약, 리시브하는 편의 점수가 홀수가 되면, 선수 A는 왼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하고, 선수 B는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11) 리시버가 한 번 셔틀을 친 이후는 어느 선수가 어느 위치에서도 셔틀을 칠 수 있다.
12) 만약 리시브한 편에서 반칙을 하거나 리시브한 편의 코트 내에 셔틀이 떨어질 경우 서비스한 편의 점수가 한 점 가산되고 기존 서비스한 서수가 다시 서비스하게 된다. 만약, 서비스한 편이 랠리에서 진 경우 서브권은 서버의 같은 편 파트너에게 넘어간다.(2nd Server)
13) 세컨 서버(2nd Server)가 한 번 랠리에서 지게되면, 서브권은 상대편으로 넘어간다.
14) 한 게임에서 동일 선수가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리시브할 수 없다.
15) 만약 다음 서비스를 넣기 이전에 에러(서브 순서 오류 혹은 잘못된 리시브 위치 선정 등)가 발견되면, 반칙자가 해당 랠리에서 이겼을 경우 '레트(Let, 경기중단 및 무효)'가 선언되고 진 경우에는 반칙자가 진 것으로 인정한다.
▶경기방법
① A와 B가 한 조, C와 D가 한 조가 되어 복식 경기를 시작한다. 토스에서 AB팀이 첫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일 처음 우측 코트에서 상대의 우측으로 서브한다.
② 그러나 첫 서브를 C가 받아쳐서 CD팀이 이겼다. 따라서 최초의 서비스권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서비스권은 CD조로 넘어가야 하므로 우측에 위치해 있던 C가 서브하게 된다. CD조가 이겼다.
③ CD조가 첫 서브하여 1점을 선취하였으므로 C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옮겨 계속 서브한다. 그러나 랠리에서 CD조가 졌다. 그러나 D는 아직 서비스권을 잃지 않았으므로 우측에 위치했던 D의 서비스권이 남아 있다.
④ CD-AB가 1:0의 상황에서 D가 우측에서 A에게 서브한다. 랠리에서 CD조가 이겼다. 그러므로 D의 서비스권은 계속 살아있다.
⑤ CD조가 2:0으로 리드한 상태에서 D가 상대의 좌측에 위치한 B에게 서브한다. 랠리에서 CD조가 또 이겼다.
⑥ CD조:AB조가 3:0이 된 상태에서 D가 위치를 변경하여 계속 서브한다. 그러나 AB조가 이겼다. 따라서 AB조는 득점없이 서비스권만 찾아간다.
⑦ AB조가 0:3으로 리드 당한 상태에서 우측에 있던 A가 서브할 차례다. A가 서브한 셔틀을 D가 넘기지 못하고 C가 받아넘긴다. CD조의 반칙으로 AB조가 1점을 얻는다.
⑧ AB조가 1:3으로 리드 당한 상태에서 A의 서비스가 계속된다. 랠리에서 AB조가 이겼다. 따라서 AB조가 1점을 추가하면서 A의 서브는 계속된다.
⑨ A가 위치를 바꾸어 계속 서브한다. 그러나 랠리에서 CD조가 이김으로써 A는 서비스권을 잃고 B가 서브할 차례다.
⑩ A가 오른쪽에서 서브하였으므로 B가 왼쪽에서 상대의 왼쪽코트로 서브한다. 랠리에서 AB가 이겼다. 따라서 AB는 1점을 추가하게 되고 B의 서비스는 계속된다.
⑪ B가 위치를 변경하여 계속 서브한다. 이때 스코어가 3:3 즉, AB조의 득점이 홀수이므로 좌측에 위치했던 B의 위치가 우측임을 알 수 있다. B가 서브한 후 랠리에서 AB조가 졌다.
⑫ CD조는 득점없이 서비스권만 찾아와서 우측에 있던 D의 첫 서비스로 게임은 계속된다. 복식경기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며 세팅이 걸리지 않는 한 15점을 선취한 팀이 한 게임을 이기게 된다.
▶반칙◀
·오버핸드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라켓 헤드의 부분이 라켓을 잡고 있는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오버 웨이스트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셔틀콕의 타구 위치가 허리보다 높을 때
·라인 크로스
서비스 때 : 서버는 서비스 코트 내에서 정지한 자세로 서비스를 해야 하는데, 이 때,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리시브 때 : 리시브 준비 자세시 코트 내의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아웃 : 서비스된 셔틀콕이 바로 리시브 코트 내에 떨어지지 않은 경우, 그러나 셔틀콕이 네트에 스쳐서 리시브 코트에 들어갔을 때나, 라인 상에 떨어진 경우에는 인(in)이 된다.
·풋 폴트
서비스 동작 : 서비스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서버와 리시버의 양 발 중 일부가 서비스 코트 내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기타 반칙
- 게임 중 경기자의 신체나 옷 혹은 라켓이 네트나 포스트에 닿았을 때
- 셔틀콕을 순간적으로 튕겨 치지 않고 라켓의 면에 일시 정지시킬 때
- 1명의 선수가 계속해서 두 번 셔틀콕을 쳤을 때
- 셔틀콕이 네트 아래로 지나갔을 때
- 라켓이나 신체의 일부라도 네트 수직 위를 넘어갔을 때
- 경기자가 코트 밖에 나가 있을 때나, 셔틀콕이 마루 면에 떨어지기 전에 신체에 닿았을 때
◈ 참고사이트 ◈
http://www.miribul.org/
http://my.dreamwiz.com/poongduk/
⑥ A는 1점 B는 2점에서 A의 득점이 홀수이기 때문에 서비스 오버 후에 왼쪽에서 B의 왼쪽 코트로 서브한다. 랠리에서 A가 이겼다.
(2) 복식 경기
▶경기 규칙
1) 복식 경기에서는 오른쪽 서비스 코트 내에서 누가 먼저 서비스할 것인지 그리고 첫 서비스를 누가 먼저 리시브할 것인가를 우선 결정해야 한다.
2) 해당 선수를 A, 파트너를 B로 가정하면, 선수 A는 단식 경기와 동일하게 서비스한다.
3) 선수 B는 단식 경기 서비스할 때와 반대 코트에서 서비스한다.
4) 이 규칙은 세팅을 했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5) 서비스는 양쪽 서비스 코트에서 교대로 넣게 된다.
6) 파트너는 어느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지만 상대방 서버나 리시버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7) 복식 경기에서는 첫 이닝에서만 두 선수 중 한 선수만이 서브권을 갖는다. 그러므로 폴트가 되면 서브권이 상대방 팀으로 넘어간다.
8) 단식 경기와 달리 복식 경기에서 리시버는 서브 리시브 코트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선수는 서비스할 때와 같은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9) 즉, 리시브하는 편의 점수가 짝수이면 선수 A는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하고, 선수 B는 왼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10) 만약, 리시브하는 편의 점수가 홀수가 되면, 선수 A는 왼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하고, 선수 B는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11) 리시버가 한 번 셔틀을 친 이후는 어느 선수가 어느 위치에서도 셔틀을 칠 수 있다.
12) 만약 리시브한 편에서 반칙을 하거나 리시브한 편의 코트 내에 셔틀이 떨어질 경우 서비스한 편의 점수가 한 점 가산되고 기존 서비스한 서수가 다시 서비스하게 된다. 만약, 서비스한 편이 랠리에서 진 경우 서브권은 서버의 같은 편 파트너에게 넘어간다.(2nd Server)
13) 세컨 서버(2nd Server)가 한 번 랠리에서 지게되면, 서브권은 상대편으로 넘어간다.
14) 한 게임에서 동일 선수가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리시브할 수 없다.
15) 만약 다음 서비스를 넣기 이전에 에러(서브 순서 오류 혹은 잘못된 리시브 위치 선정 등)가 발견되면, 반칙자가 해당 랠리에서 이겼을 경우 '레트(Let, 경기중단 및 무효)'가 선언되고 진 경우에는 반칙자가 진 것으로 인정한다.
▶경기방법
① A와 B가 한 조, C와 D가 한 조가 되어 복식 경기를 시작한다. 토스에서 AB팀이 첫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일 처음 우측 코트에서 상대의 우측으로 서브한다.
② 그러나 첫 서브를 C가 받아쳐서 CD팀이 이겼다. 따라서 최초의 서비스권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서비스권은 CD조로 넘어가야 하므로 우측에 위치해 있던 C가 서브하게 된다. CD조가 이겼다.
③ CD조가 첫 서브하여 1점을 선취하였으므로 C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옮겨 계속 서브한다. 그러나 랠리에서 CD조가 졌다. 그러나 D는 아직 서비스권을 잃지 않았으므로 우측에 위치했던 D의 서비스권이 남아 있다.
④ CD-AB가 1:0의 상황에서 D가 우측에서 A에게 서브한다. 랠리에서 CD조가 이겼다. 그러므로 D의 서비스권은 계속 살아있다.
⑤ CD조가 2:0으로 리드한 상태에서 D가 상대의 좌측에 위치한 B에게 서브한다. 랠리에서 CD조가 또 이겼다.
⑥ CD조:AB조가 3:0이 된 상태에서 D가 위치를 변경하여 계속 서브한다. 그러나 AB조가 이겼다. 따라서 AB조는 득점없이 서비스권만 찾아간다.
⑦ AB조가 0:3으로 리드 당한 상태에서 우측에 있던 A가 서브할 차례다. A가 서브한 셔틀을 D가 넘기지 못하고 C가 받아넘긴다. CD조의 반칙으로 AB조가 1점을 얻는다.
⑧ AB조가 1:3으로 리드 당한 상태에서 A의 서비스가 계속된다. 랠리에서 AB조가 이겼다. 따라서 AB조가 1점을 추가하면서 A의 서브는 계속된다.
⑨ A가 위치를 바꾸어 계속 서브한다. 그러나 랠리에서 CD조가 이김으로써 A는 서비스권을 잃고 B가 서브할 차례다.
⑩ A가 오른쪽에서 서브하였으므로 B가 왼쪽에서 상대의 왼쪽코트로 서브한다. 랠리에서 AB가 이겼다. 따라서 AB는 1점을 추가하게 되고 B의 서비스는 계속된다.
⑪ B가 위치를 변경하여 계속 서브한다. 이때 스코어가 3:3 즉, AB조의 득점이 홀수이므로 좌측에 위치했던 B의 위치가 우측임을 알 수 있다. B가 서브한 후 랠리에서 AB조가 졌다.
⑫ CD조는 득점없이 서비스권만 찾아와서 우측에 있던 D의 첫 서비스로 게임은 계속된다. 복식경기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며 세팅이 걸리지 않는 한 15점을 선취한 팀이 한 게임을 이기게 된다.
▶반칙◀
·오버핸드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라켓 헤드의 부분이 라켓을 잡고 있는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오버 웨이스트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셔틀콕의 타구 위치가 허리보다 높을 때
·라인 크로스
서비스 때 : 서버는 서비스 코트 내에서 정지한 자세로 서비스를 해야 하는데, 이 때,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리시브 때 : 리시브 준비 자세시 코트 내의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아웃 : 서비스된 셔틀콕이 바로 리시브 코트 내에 떨어지지 않은 경우, 그러나 셔틀콕이 네트에 스쳐서 리시브 코트에 들어갔을 때나, 라인 상에 떨어진 경우에는 인(in)이 된다.
·풋 폴트
서비스 동작 : 서비스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서버와 리시버의 양 발 중 일부가 서비스 코트 내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기타 반칙
- 게임 중 경기자의 신체나 옷 혹은 라켓이 네트나 포스트에 닿았을 때
- 셔틀콕을 순간적으로 튕겨 치지 않고 라켓의 면에 일시 정지시킬 때
- 1명의 선수가 계속해서 두 번 셔틀콕을 쳤을 때
- 셔틀콕이 네트 아래로 지나갔을 때
- 라켓이나 신체의 일부라도 네트 수직 위를 넘어갔을 때
- 경기자가 코트 밖에 나가 있을 때나, 셔틀콕이 마루 면에 떨어지기 전에 신체에 닿았을 때
◈ 참고사이트 ◈
http://www.miribul.org/
http://my.dreamwiz.com/poongd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