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경기규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경기규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스코어를 기록하며 서버, 리시 버, 서비스코트와 앤드(End)를 기록한다. 다시 시작 시에는 "Are you ready"라고 물 어 본 후 스코어를 부르고 "Play" 라고 한다.
3.12 셔틀의 속도를 조정하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 그릇된 행위 (Misconduct)
3.13.1 일어나기 쉬운 그릇된 행위가 발생했을 때는 기록과 더불어 즉시 레프리에게 보고 한다.
3.13.2 게임 사이의 그릇된 행위도 게임 도중의 사항과 같이 취급한다. 심판은 결정 사항 을 다음 경기 시작 시에 공시한다.
3.13.3 경고 카드
가. 규정 16.4, 16.5 혹은 16.7에 의해 반칙을 범한 선수에게 심판이 규정 16.8.1 에 의한 경고를 줄 경우 심판은 반칙을 범한 선수를 "Come here"하며 부르고 다음 과 같이 경고한다. " < name of player >, warning for misconduct" 심판은 동 시에 "yellow card"를 오른손에 쥐고 머리위로 올린다.
나. 규정 16.4, 16.5 혹은 16.7에 의해 반칙을 범한 선수에게 다시 경고를 주어야 할 때(규정 16.8.2) 심판은 반칙을 범한 선수를 "Come here"하며 부르고 다 음과 같이 경고한다.
" < name of player >, fault for misconduct" 심판은 동시에 "red card"를 오른 손에 쥐고 머리위로 올린다.
다. 규정 16.4, 16.5 혹은 16.7에 의해 반칙을 범한 선수가 지속적인 명백한 벌칙 을 범하여(규정 16.8.3) 심판이 선수의 자격박탈을 적용할 경우 우선 오른손 을 머 리위로 들어 레프리를 부른다. 레프리가 해당 선수의 자격박탈을 결정하여 심판 에게 "black card"를 주면 심판은 "black card"를 오른손에 쥐고 머리 위로 올리 며 다음과 같이 발표한다.
" < name of player >, disqualification for misconduct"
* 참고 : Implementation(적용) : 1 February 2001(IBF council Nov. 2000 변경됨)
* 참고 : Umpire cards 규격(플라스틱 혹은 코팅지의 직사각형 모양) :
8~10 × 10~12 cm
3.14 심판이 레프리의 도움을 원할 때에도 머리위로 오른손을 들어 레프리를 부른다.
4. 심판에 관한 일반사항 (GENERAL ADVICE OF UMPIRING) **********
다음은 일반적으로 참고해야 할 사항이다.
4.1 배드민턴 규칙을 숙지할 것.
4.2 신속히 콜 하다가 실수가 있게되면 그것을 인정하고 사과와 함께 정정한다.
4.3 모든 어나운스먼트와 스코어의 전달은 명확히 하고 선수와 관중이 들을 수 있도록 크게 한다.
4.4 규칙을 위반했든 안했든 단지 당신의 의심이 생길 경우 "폴트(Fault)"를 선언 할 수 없으며 경기는 그대로 진행되어야 한다.(확신이 섰을 때만이 폴트를 선언한다)
4.5 결코 관중에게 묻거나 그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4.6 당신은 항상 코트의 임원들을 주시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라인저지나 관련된 임원들 이 신중하고 명확히 일을 행할 수 있도록 항상 주지시켜야 한다.
5. 서비스 저지에 관한 지침
(INSTEUCTIONS TO SERVICE JUDGES) **********
5.1 서비스 저지는 주심의 맞은편 포스트 옆에 위치하며 낮은 의자에 앉아야 한다.
5.2 서비스 저지는 서버의 정확한 서비스가 행하여지는가를 심판하는 책임을 진다. (규칙 11.1) 규칙에 위반되었을 때는 "폴트(Fault)"라고 크게 콜하고 위반된 항목의 공인된 시그널을 행한다.
5.3 다음은 공인된 핸드 시그널이다.
규칙 9.1.6
셔틀을 치는 순간 라켓의 헤드가 라켓을 쥔 서버의 손 전 체보다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아랫방향을 명확히 가르키 고 있지 않을 경우
규칙 9.1.5
셔틀콕을 치는 순간 타점이 서버의 허리보다 높을 때
규칙 9.4 and 9.1.7
지나치게 지연해서 서비스를 행하여서는 안되며 서버가 위치를 잡아 서비스하고자 라켓 헤드의 움직임이 앞으로 행해졌다면 이는 끊어짐이 없이 계속 진행되어야 한다.
규칙 9.1.2, 9.1.3
서비스가 전달되는 동안 양발이 서비스 코트 안에 있어 야 하며 정지된 상태에서 행해져야 한다.
규칙 9.1.4
최초의 접촉점이 셔틀의 기저부(Base)가 아닐 때의 폴트 를 표현.
5.4 주심과 서비스 저지는 원활한 경기운영을 위하여 상호간에 협의하여 업무를 변경 조 정할 수 있다.
6. 라인 저지에 관한 지침 (INSTRUCTIONS TO LINE JUDGES) *********
6.1 라인 저지는 라인의 끝과 옆의 연장된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며 주심의 맞은편 쪽으 로 앉는다.
* 이상적인 간격은 Line으로부터 2.5m~3.5m이다.
6.2 라인 저지는 할당된 라인에 전적인 책임을 진다. 셔틀이 아웃이 되면 즉시 "아웃 (Out)"이라고 명확하게 콜하고 선수와 관중 그리고 심판이 볼수 있도록 두 팔을 펼 쳐 시그널을 행한다. 셔틀이 "인"이면 콜은 하지 않고 오른손으로 그 선을 가리킨다.
◆ SINGLES(단식경기) ◆ DOUBLES(복식경기)
6.3 만약 보지 못하였으면 양손으로 두 눈을 가리는 시그널을 심판에게 보낸다.
6.4 셔틀이 바닥에 떨어질 때까지 어떠한 시그널도 해서는 안된다.
6.5 항상 콜은 분명하고 명확하여야 하며 예상하여 사전에 결정해서는 절대 안된다. 혹 선수가 그 셔틀을 칠 수 있기 때문이다. 셔틀이 아웃되면 선수와 관중에게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아웃"이라고 크게 콜하고 즉시 두 팔을 수평으로 벌려 심판이 벌려 심 판이 볼 수 있도록 신호하여야 한다.
셔틀콕이 인(IN)인 경우의 모양 셔틀이 인(in)일 때에는 콜 할 필요 는 없지만 즉시 오른손으로 해당지점 라인을 가르킨다.
분명하게 보지 못한 경우 보지 못하였을 때 경우 심판에게 두 손으 로 눈을 가리는 신호를 보낸다(이 경우 권한은 주심에게 넘어가 며 결코 관중, 선수 또는 다른 라인 저지에게 의견을 물어봐서는 안 된다).
자료출처 : 대한배드민턴협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1.20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