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에 대하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배드민턴의 유래
1)세계 배드민턴의 역사
2)한국 배드민턴의 역사
3)배드민턴의 특성

2.경기규칙
1)서브할 때의 반칙사항
2)경기중의 반칙사항
3)렛이 되는 경우

3.경기진행 방법
1)경기의 종류
2)승부 결정 방법
3)체인지 엔드
4)세팅

4.코트와 네트
1)코트의 정식 규격과 명칭
2)네트의 규격

5.서브
1)단식경기
2)복식경기

6.배드민턴 용어

7.기본기술 소개
1)서브
2)그립 파지법

8.스매시와 리시브
1)스매시의 기본
2)스매시 리시브

9.장비 선택
1)라켓
2)그립
3)거트
4)셔특콕
5)신발
6)옷

10.경기시 에티켓

본문내용

방의 코트 중앙부근에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스매시 리시브 기술 -2
만약 스매시 리시브를 할 경우 자세가 충분하다면 네트 근처에서만 플레이를 하는 것보다 로빙을 이용해 반구하는 것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속된말로 어리버리하게 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되도록이면 크게 엔드라인에 떨어뜨린다는 기분으로 (특히 상대방이 네트플레이를 할 경우) 상대방의 머리 위를 넘어가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스매시 리시브 기술 -3
한 가지 더 기술을 가르쳐 드리면, 스매시의 보디 어택은 리비서의 라켓을 쥔 쪽의 어깨를 향해서 날아옵니다. 이에 대응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유일한 방법은 재빠른 보디 스웨이(Body Sway)입니다. 상반신을 뒤쪽으로 재빨리 젖혀 라켓을 휘두를 수 있는 공간을 만듭니다.
9.장비선택
1)라켓(Racket)
■■라켓은 과거에는 나무로 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스틸, 알루미늄, 카본 등 소재가 다양해졌다. 초보자라도 요즈음에는 카본 라켓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카본 라켓은 가볍고 셔틀 속도가 빠르다. 라켓의 무게는 셔틀의 속도와 매우 관련이 깊은데 라켓이 무거우면 셔틀의 속도를 빨리 할 수 있고 라켓이 가벼우면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다. 그러나 팔의 근력이나 손목의 힘이 강한 경우에는 무거운 라켓이 적합하겠지만 근력이 부족한 일반인의 경우는 가벼운 라켓이 적합하다. 점점 실력이 증가하고 체력이 강해질수록 좀더 무겁고 탄력이 강한 라켓을 사용하도록 하자. 보통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라켓의 무게는 90 100g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라켓을 선택할 때에는 한 번 스윙을 해보는 것이 좋다. 같은 무게라도 헤드 부분이 무거운 것이 있고 그립 부분이 무거운 것이 있으므로 스윙을 해보면 스스로 느낄 수 있게 된다.
2)그립(Grip)
■그립은 손가락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 손가락의 길이가 짧은 사람은 그립이 작은 것이 좋으며 손가락의 길이가 긴 사람은 그립이 조금 커도 무방하다. 그립은 배드민턴을 하다보면 스스로 적합한 그립을 알게 되는데 그립이 약간 작다고 느껴지면 새로운 라켓을 구입하지 말고 타월 그립을 마는 것도 생각해 볼 일 이다. 타월 그립은 무더울 날이나 손에 땀이 많이 나는 사람에게 특히 필요한데, 이것은 타월 그립이 땀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3)거트(Gut)
■ 거트는 배드민턴 라켓 줄을 말하는데, 거트의 강도가 배드민턴의 경기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거트의 강도가 높으면 셔틀이 강하게 날아가지 않고 거트의 강도가 낮으면 셔틀이 강하게 날아간다. 그러나 항상 거트의 강도가 높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너무 셔틀이 잘 나가면 사이드 라인이나 엔드라인을 벗어나 아웃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컨트롤 위주의 선수는 거트의 강도를 강하게 매고 일반인은 조금 약하게 매는 것이 컨트롤과 속도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초보자나 일반인은 16 18파운드가 적당하다. 특히 겨울에는 날씨가 추워 거트의 강도를 높이면 끊어지기 십상이므로 겨울철에는 평상시보다 약하게 매는 것이 좋다.
4)셔틀콕(Shuttlecock)
■ 셔틀은 나일론 셔틀, 닭깃털 셔틀, 오리깃털 셔틀의 3가지 유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오리깃털이 많이 사용된다. 셔틀은 한 번의 시합에서도 몇 개씩을 사용하게 되므로 충분한 양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기술이 낮거나 셔틀을 끝까지 보지 않고 타구할 경우 깃털이 금방 부러질 수 있으므로 기술의 발전이 결국 셔틀의 절약이라고 생각하고 노력하는 것이 좋다. 특히 겨울철에는 셔틀의 털 부분이 라켓헤드에 맞을 경우 부러질 확률이 따듯할 때보다 훨씬 높다. 그러므로 겨울철에는 좀더 많은 양의 셔틀을 준비하여야 한다.
5)신발(Shoes)
■신발은 가볍고 미끄러지지 않으며 발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에서 좌우, 전후로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데 신발이 무겁고 미끄러우면 체중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신발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배드민턴에서는 상당히 두꺼운 양말을 신는 경우가 많으므로 꽉 끼는 신발보다는 한 치수 큰 것으로 선택한다는 기분으로 구입하도록 한다.
6)옷(Suits) ■
복장은 흰색을 입는 것이 원칙이지만 초보자나 아마추어는 이러한 규정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각자 운동하기 편한 복장을 착용하되 땀의 흡수가 잘되는 옷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배드민턴은 타구 방향으로 이동시 마지막 발을 크게 내딛는 동작이 있는데, 바지가 신축성이 없으면 찢어질 수 있으므로 꽉 끼이는 바지보다는 약간 헐렁하고 신축성이 있는 바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긴 바지는 신체의 이동시 불편한 점이 많으므로 반바지를 준비해두는 것도 좋다.
10.경기시 에티켓
배드민턴은 상당히 체력의 소모가 심한 스포츠이기 때문에 피곤해지거나 자신의 팀이 불리해지면 자칫 비신사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좋은 매너로 승부를 매듭짓는
것이 관중이나 상대방 선수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는 사항일 것이다.
①시합에 임할 때나 시합 후에는 항상 상대방과 건투과 수고를 위해 악수한다.
②셔틀콕을 상대방으로 넘겨줄 때에는 항상 네트 위로 넘겨준다.
③자신이 실수한 경우에는 스스로 셔틀콕을 줍는다.
④심판의 판정에는 순순히 따른다.
⑤공격시 셔틀콕이 라켓의 프레임에 맞아 득점을 했을 경우에는 미안하다는 손짓을 한다.
⑥경기가 끝났을 경우에는 코트 주변을 깨끗히 정리한다.
*목 차*
1.배드민턴의 유래
1)세계 배드민턴의 역사
2)한국 배드민턴의 역사
3)배드민턴의 특성
2.경기규칙
1)서브할 때의 반칙사항
2)경기중의 반칙사항
3)렛이 되는 경우
3.경기진행 방법
1)경기의 종류
2)승부 결정 방법
3)체인지 엔드
4)세팅
4.코트와 네트
1)코트의 정식 규격과 명칭
2)네트의 규격
5.서브
1)단식경기
2)복식경기
6.배드민턴 용어
7.기본기술 소개
1)서브
2)그립 파지법
8.스매시와 리시브
1)스매시의 기본
2)스매시 리시브
9.장비 선택
1)라켓
2)그립
3)거트
4)셔특콕
5)신발
6)옷
10.경기시 에티켓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5.2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