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드민턴의 역사

2. 단식경기와 단식경기의 운영(경기자,토스,스코어, 코트변경,서비스,리시브,반칙,레트 등)\

3. 경기용어

4. 경기장 규격

5. 네트와 포스트

본문내용

어하 는 복식 경기의 한 포메이션
ROTATION TEAM WORK(순환 전법) : 반반법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으며, 미리부터 파 트너끼리 의논하여 경기 중의 필요에 따라 서로 수비의 위치에 돌아가면서 경기하는 법
ROUND THE HEAD STROKE(라운드 더 헤드 스트로크) : 몸의 왼쪽으로 날아오는 오버 헤드 플라이트, 라켓을 머리 뒤로 돌려서 치는 타법
RUBBER(리버) : 3전 2승 경기법
RUSHING(러싱) : 셔틀을 치기위해 네트 앞으로 달려 돌진해 들어가는 행위
SCORING(스코링) : 점수
SERVE(서브) : 셔틀을 보내는 것
SERVER(서어버) : 서비스를 넣은 사람
SERVICE(서비스) : 게임 중 셔틀을 쳐서 경기를 시작하는 것
SETTING(세팅) : 게임 점수를 연장하는 경우, 규정된 게임 포인트보다 1점이나 2점이 적은 경우 양쪽의 득점이 동점이 되었을 경우 게임포인트를 연장하는 것이다.
SHAFT(샤프트) : 라켓면과 그립과의 중간에 연결된 쇠
SHAKE HAND GRIP(세이크 핸드 그립) : 악수를 하듯이 그립을 잡는 법
SHORT LOW SERVICE(쇼트 로브 서비스) : 짧고 낮은 서비스
SHORT SERVICE(쇼트 서비스) : 쇼트 로우 서비스와 같은 말
SHORT SERVICE LINE(쇼트 서비스 라인) : 서비스 코트의 앞쪽에 있는 구획선으로 네 트에 평행해서 198cm 전방에 그어진 선이다.
SHOT(샷) : 샷이란 스트로크의 결과를 말한다. 스윙은 백 스윙, 포어워드 스윙, 임팩트, 폴 로우 드로우로 나누어 지고, 이 전체가 스트로크이며, 스윙은 스트로크의 일부 이다. 끝난 타구 자체를 말한다.
SHOULDER HIGH DRIVE(쇼울더 하이 드라이브) : 어깨 높이로 날아오는 셔틀을 그 자리 에서 움직이지 않고서도 충분히 리치 될 수 있을 때 급히 사용하는 포어핸드, 또는 백 한드의 스트로크이다.
SIDE ARM STROKE(사이드 아암 스트로크) : 몸 옆에서 셔틀을 타격하는 구역
SIDE HAND STROKE(사이드 핸드 스트로크) : 몸 옆에서 셔틀을 치는 방법
SIDE ROOM(사이드 룸) : 바른 게임이 되도록 마련된 양측의 공간
SINGLES SERVICE COURT(싱글즈 서비스 코트) : 센터 라인에 의해서 레프트와 라이트 의 양 하프코트로 분할된다. 센터 라인과 내측의 사이드 라인 사이 및 쇼트 서비스 라인과 외측의 백 바운더리 라인에 포위된 구역으로 복식의 서비스 코트에 비해서 가늘고 길다.
SITTER(시터) : 네트 가까이에 멎어 있는 듯한 완만한 쇼트로서, 상대방에게 스매쉬하기 좋은 대상이다.
SlING (슬링) : 라켓으로 셔틀을 운반하는 것과 같은 상태의 반칙
SMASH(스매쉬) : 머리 위로 오는 셔틀을 상대방 코트에 강타하는 것
SOFT SERVICE(소프트 서비스) : 쇼트 서비스와 같은 말이다.
STANCE(스탠스) : 자세 즉, 발을 벌린 상태
STEP(스탭) : 보통 걸을 때와 같이 좌우 발을 교대로 내어 딛는 것
STRAIGHT(스트레이트) : 셔틀의 비행 방향으로 사이드 라인과 평형으로 가는 타구
STRIP(스트립) : 사이드 라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흰 포대
STROKE(스트로크) : 셔틀을 치는 동작
SWING(스윙) : 라켓을 휘두르는 것
THROW(드로우) : 슬링과 같은 뜻이며 셔틀이 정확하게 쳐지지 않았을 때나 또는 라켓에 올려 놓고 집어던지는 듯이 치는 타법
TOP AND BACK SYSTEM(탑 엔 백 시스템): 복식 때 수비 구역을 전후로 나누어 하는 포메이션으로, 전위는 네트 가까이에서 공격과 방어를 하고 후위는 나머 지 뒤쪽 지역을 맡는 대형
TOSS(토스) : 최초의 서비스 결정
TOSS SERVICE(토스 서비스) : 몸의 전방이나 옆에서 셔틀을 가볍게 위로 던졌다가 쳐서 넘기는 서브의 방법
UNDER HAND STROKE(언더 핸드 스트로크) : 무릎보다 낮은 지점에서 치는 타격법
UP AND BACK(업 엔드 백) : 전위, 후위가 앞뒤로 서서 공격하는 형태
VOLLEY(발리) : 서브인에 이어 셔틀을 서로 쳐서 넘기는 상태이다.
WESTERN GRIP(웨스턴 그립) : 라켓을 잡는 방법의 일종으로, 연식 정구의 라켓을 잡듯이 잡는 방법이다.
WRIST SNAP(리스트 스냅) : 손목을 사용하여 라켓에 순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키는 동작
◁ 경기장 규격 ▷
※ 코 트
배드민턴 경기장(court)은 단식경기장과 복식경기장으로 나누어 친다. 라인 의 폭은 약 4cm이며, 센터라인은 중앙에서 1.9cm의 폭으로 긋는다.
코트의 가장 뒤쪽에 있는 백 바운더리 라인(backboundary line)이라고 부르며 그 바로 안쪽에 있는 선은 복식경기의 홍 서비스 라인(long service line),네트에 앞쪽에 있는 선이 숏서비스 라인(short service line)이다.
그런데 롱 서비스 라인은 복식경기의 서비스에만 필요하고 일단 서브 리시브가 끝나면 백 바운더리 라인까지 복식경기장이 된다.
코트를 설치 할 때에 는 다음의 3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인접한 코트와의 거리는 최소한 1.5cm를 유지해야 한다.
경기장의 천장높이는 9m이상이어야 한다.
야외에 설치 할 경우에는 네트가 동쪽과 서쪽으로 설치되어야 태양광선의 피해를 줄 일 수 있다.
※ 네트와 포스트
배드민턴의 네트(net)는 두 개의 지주, 즉 포스트(post)의 양측 끝은 155cm 의 높이로 되어 있으며, 폭은 76cm로 되어 있다.
중앙의 높이는 1.524cm로 양쪽 끝의 높이보다 약간 낮으며 네트의 최상단은 5cm가량의 흰 테이프를 양쪽으로 접어서 달아 주어야 한다. 지주(post)는 일반적으로 양 사이드 라인 위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러한 조건이 되지 못할 경우에는 선수들이 사이드 라인을 판별하기 쉽도록 흰 붕대를 걸어주면 좋을 것이다.
- 참고문헌-
배드민턴(삼호미디어) 박주봉 지음
배드민턴 핸드북(대한미디어) 곽찬호,오성기 정은화외 1명 저
파워배드민턴 교본(삼호미디어) 최일현 저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12.27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