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의 역사와 경기방법,용구,경기기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의 역사와 경기방법,용구,경기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배드민턴의 역사와 발달

2. 배드민턴 경기의 특징

3. 배드민턴 경기장 규격과 명칭

4. 경기방법

5. 배드민턴 용구

6. 경기 규칙

7. 경기 기술

본문내용

핸들을 조금 왼쪽에 붙여 잡는다.
b. 엄지 손가락을 핸들 왼쪽 가장 넓은 면에 대고 약지는 핸들을 따라 가볍게 핸들을 잡는다.
2. 셰이크 핸드 그립
- 같은 그립이라도 라켓의 양 면을 사용할 수 있으면 이상적이다. 숙달된 플레이어는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1. 포핸드 그립
이스턴 그립에서의 포핸드와 같은 요령이다.
2. 백핸드 그립
이스턴 그립의 백핸드와 같이 라켓을 잡지 않고 같은 그립으로 반대쪽을 사용하여 공을 친다.
3. 그 외의 그립(웨스턴 그립)
라켓의 타면을 바닥과 평행하게 하여 바로 위에서 핸들을 잡고 몸의 포핸드쪽과 백핸드 양쪽 타구를 같은 면으로 실시하는 그립이다. 이 그립은 몸의 바로 정면, 툭히 네트 가까이에서 머리 높이 정도의 셔틀을 타구하려는 특별한 경우에는 이스턴 그립보다 유효한 경우도 있으나, 스냅을 충분히 살리기 어렵고, 특히 백핸드 타구가 불리하며, 따라서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이다.
2. 플라이트
플라이트란 셔틀 비행법이다. 셔틀은 그 구조상 독특한 비행성을 가지고 있고 , 치는 법에 따라 매우 변화가 다양한 비행법을 보이는 것이다.
1. 플라이트의 코스
1. 클리어
셔틀이 상대의 백 바운드 라인 가까이까지 높고 멀리 포물선을 그리는 듯한 플라이트로, 다음 종류로 나눌 수 있다.
a. 하이 클리어 - 셔틀이 높이 올라 상대방의 백 바운드 라인에 거의 수직으로 낙하하는 듯한 풀라이트이다.
b. 드리븐 클리어 - 셔틀이 상대의 라켓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상당한 스피드를 가지고 코트 깊숙히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이다.
2. 스매시
셔틀이 네트 위를 스칠 둣 한 높이로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스피드를 감속하여 네트를 따라 상대 코트에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를 말한다.
3. 드라이브
셔틀이 네트 위를 스칠 듯한 높이로 가능한 바닥면에 평행하게 상당한 스피드로 날으는 플라이트이다.
4. 네트 숏
네트 가까이에 떨어뜨린 셔틀이 천천히 스피드를 감속하여 다시 네트 가까이 스칠 듯한 높이로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네트를 따라 상대 코트에 낙하되는 플라이트로 다음 두가지 종류로 나뉜다.
a. 헤어핀 숏 - 셔틀이 네트와 직교하는 듯한 각도로 넘는 플라이트이다.
b. 크로스코트 네트숏 - 셔틀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 상대의 반대쪽 사이드 라인 가까이에 낙하되는 플라이트이다.
3. 스트록
스트록이란 라켓에 의한 타법이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셔틀은 매우 변화가 풍부한 비행법을 보이는데 그와 같은 플라이트를 발생시키는 스트록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실제 플레이 때에는 상대로부터 날라오는 셔틀의 높이 , 방향, 스피드 등이 항상 일정하지 않으므로 명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기본적 스트록으로써 다음과 같이 크게 분류할 수 있다.
1. 셔틀을 치는 위치의 좌우에 의해
a. 포핸드스트록
라켓을 가진 손과 같은 쪽에서 타구하는 방법
b. 백핸드스트록
라켓을 가지고 있는 손과 반대쪽에서 공을 치는 스트록
2. 셔틀을 든 위치의 높이에 따른 스트록
a. 오버 헤드 스트록
머리 위 높은 위치에서 공을 치는 스트록
b. 사이드 암 스트록
셔틀을 신체의 옆에서 치는 스트록
c. 언더 핸드 스트록
낮은 위치에서 셔틀을 위로 향해 치는 스트록
4. 풋워크
풋워크란 좋은 스트록을 위한 발놀림이며, 스트록의 기반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트록과 풋워트가 조화되어 비로서 좋은 플레이를 전개할 수 있다.
1. 풋워크의 요점
1. 풋워크의 요점
a. 상대로부터 날아온 셔틀의 낙하 지점을 빨리 예측하여
b. 낭비없는 경쾌한 발놀림으로 가능한 빨리 정확한 스트록을 실시하는 데 가장 좋은 위치에 도달한다.
c. 밸런스 잡힌 안정된 자세로 셔틀을 잡는다.
d. 셔틀을 친 후에 낭비없는 동작으로 가능한 빨리 홈포지션(코트 중앙부의 수비 위치) 으로 돌아간다.
2. 풋워크의 유의점
a. 재빠르게 스타트할 수 있도록 항상 양 뒤꿈치를 가볍게 떼어 둔다.
b. 플레이할 때는 거의 정지하는 일 없이 코트 안을 이동하므로 스트록할 때 이외는 전신을 릴렉스 시켜 재빠르게 다음 동닺이 가능하도록 한다.
c. 항상 셔틀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d. 보폭의 크기는 각자의 신장의 대소나 연습 버릇 등에 의해 다르지만 가장 적절한 것은 항상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다.
3. 풋워크의 효용
좋은 풋워크를 하는 것에 의해
a. 보다 빨리 보다 높이 보다 앞으로 셔틀을 잡을 수 있다.
b. 낭비없는 동작에 의해 체력의 소모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c. 항상 정확한 스트록이 가능하다.
2. 풋워크의 기본적 요령
1. 기본 스텝(발 움직이는 법)
1. 런닝스텝 - 보통 뛰는 경우와 같이 좌우의 발을 번갈아 내딛는 발 움직임법
2. 슬라이드 스켑 - 두 발을 좌우 또는 앞뒤로 벌린 상태에서 오른발에 왼발을 붙인 뒤, 오른발을 내디디는(또는 그 반대로 왼발에 오른발을 붙인 다음 왼발을 내디딘다) 발 움직임법
3. 홈스텝 - 같은 한발로 계속해서 가볍게 뛰는 발의 움직임법
4. 피봇 - 한쪽 발 끝을 축으로 하여 상체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돌리는(신체 방향을 바꾼다) 동작.
5. 서브
배드민턴의 서브는 허리보다 아래의 낮은 위치에서 셔틀을 위로 타구하는, 소위 방어적인 것이며, 서브로 직접 득점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어중간한 서브를 보내면 상대로부터 스매시 등의 강렬한 공격을 받아 모처럼의 득점 찬스를 잃으므로, 신중하고 유효한 서브를 실시해야 한다.
1. 셔틀의 잡는 법
서브 때 셔틀 잡는 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셔틀의 대를 앞으로 향해 다소 기울어지게 하고, 엄지와 다은 4개의 손가락으로 셔틀을 감싸듯이 하여 가볍게 든다.
2. 셔틀의 대를 엄지와 인지로 잡듯이 가볍게 든다.
3. 셔틀 깃털의 선단을 약지와 인지로 잡듯이 가볍게 든다.
이상의 셔틀 잡는 법 중 1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서브의 종류
서비스는 보통 포핸드 스트록으로 실시하고 , 플라이트의 성질에 의해 롱서브, 숏서브, 드리븐써브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또 서브를 백핸드 스트록으로 실시하는 경우 이것을 백핸드 서브라고 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11.0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