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배드민턴의 역사

2. 배드민턴 경기의 진행과 규칙

3. 치는법

4. 배드민턴 용어해설

본문내용

가 네트를 넘어서 상대편 코트 쪽으로 나가는 것. 반칙이 된다.
오버 웨이스트 Over waist
서비스를 할 때에 허리보다 위의 타점에서 치는 것을 말하며, 반칙이 된다.
오버 헤드 스트로크 Overhead stroke
상대편으로부터의 송구가 높게 올라간 경우에, 머리보다 높은 위치에서 타구하는 타법으 로서 배드민턴의 가장 기본적인 스트로크이다.
오펜스 Offense
공격을 말한다.
우드 쇼트 Wood shot
프레임쇼트'라고도 하며, 셔틀이 라켓 헤드의 틀에 닿는 것.
원맨 어택 One-man attack
더블즈의 경우에 페어의 1명에게 약점이 있을 때, 그 1명에게만 집중해서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웨스턴 그립 Western grip
라켓을 쥐는 방법의 일종. 라켓의 면을 바닥에 놓고 그립의 가장 넓은 면을 움켜쥐듯이 잡았을 때의 쥐는 방법.
이닝 Inning
한쪽 사이드를 첫 서비스로부터 서브 오버까지를 말한다.
이스턴 그립 Eastern grip
라켓을 쥐는 방법의 일종으로서, 도끼자루를 잡듯이 쥐는 방법을 말한다.
인 앤드 아웃 시스템 In-and-out system
포메이션의 하나로서, 숙련된 플레이어가 서비스를 할 때는 톱 앤드 백의 형으로 플레이 를 하고, 그대로의 형으로 방어 태세가 될 때까지 계속하는 것을 말한다.
인 플레이 In play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인사이드 Inside
서비스권을 가지고 있는 플레이어 쪽을 말한다.
인터벌 Interval
제2게임과 제3게임 사이의 휴식 시간을 말한다. 원칙적으로 5분간이다.
인터피어 Interfere
반칙의 일종으로서, 상대편 플레이어를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임팩트 Impact
라켓으로 셔틀을 치는 순간.
체인지 엔드 Change end
코트의 조건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1게임마다 코트를 바꾸는 것. 단, 3게임째는 도중에 한번 더 코트를 교체한다.
커트 Cut
셔틀을 베듯이 치는 타법. 또는 더블즈 게임에서 상대가 후위를 겨누어 깊게 쳐넣은 셔틀 을 전위가 도중에서 포착하여 리턴한 경우에도 말한다.
코너 Corner
코트의 모서리.
코트 Court
소정의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배드민턴의 경기장.
콤비네이션 Combinationn
복식의 파트너 끼리의 공동 작전(연계 플레이)을 말한다.
크로스 커브 네트 플라이 Cross curve net fly
셔틀이 네트 테이프를 따라, 또는 그것을 스치듯이 경기장 안에 떨어지는 것.
크로스 코트 쇼트 Cross-court shot
네트 가까이로 날아온 셔틀을 네트와 평행하게 되받아 치는 것을 말한다.
클리어 Clear
셔틀을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 까지 높게 날려서 상대편 뒤쪽을 공격하는 타법으로서 하이 클리어와 드리븐 클리어의 2종류가 있다.
터치 더 네트 Touch the net
경기 중 라켓이나 신체, 또는 의복의 일부가 네트에 닿는 것으로서 반칙이 된다.
터치 더 보디 Touch the body
셔틀이 플레이의 몸에 닿는 것. 반칙이 된다.
토스 Toss
경기에 앞서 먼저 서비스를 하느냐, 코트를 택하느냐를 결정하기 위하여 가위 바위 보나 라켓을 돌리던가 해서 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토스 서비스 Toss service
셔틀을 던져 올려서 치는 서비스.
톱 앤드 백 시스템 Top-end-back system
복식의 포메이션의 일종. 1명이 쇼트 서비스 라인 부근에서 네트까지의 사이를 다른 1명 이 쇼트 서비스 라인 부근에서 백 바운더리 라인까지의 구역을 방어하는 방법을 말한다.
파이널 게임 Final game
게임 올 다음에 행하는 제3게임을 말한다.
파트너 Partner
복식 경기에서 짜는 상대를 말한다.
페어 Pair
한쪽 또는 한편, 복식의 한팀.
포메이션 Formation
복식 경기에서 2명의 플레이어의 효과적인 역할에서 안출된 진형을 말하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톱 앤드 백, 다이애거널, 로테이션의 4종류의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포메션에는 일장 일단이 있고, 그 약점을 찔리면 혼란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포어 코트 Fore court
네트에 가까운 지역.
포어 핸드 스트로크 Fore hand stroke
라켓을 쥐고 있는 손과 같은 쪽에서 셔틀을 치는 방법.
폴트 Fault
반칙 행위. 서비스가 적당한 곳에 떨어지지 않은 경우나 서비스 방법이 적당치 못한
경우를 지시할 때에 사용한다.
푸시 Push
셔틀을 전방으로 밀 듯이 하며 치는 것을 말한다.
풀 게임 Full game
제3게임까지 행하는 경기.
풋 워크 Foot work
보다 좋은 스트로크를 하기 위한 발 동작을 말하며, 스트로크의 기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트로크와 풋 워크가 조화를 이루어 비로서 좋은 플레이가 전개된다.
풋 폴트 Foot fault
서비스를 할 때, 서버 또는 리시버의 양 발이 바닥에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 반칙이 된다.
프레임 Frame
라켓 헤드의 테 부분을 가리킨다.
플라이트 Flight
셔틀이 날으는 방법을 말한다.
플레이스먼트 Placement
상대가 쇼트하기 어려운 지점을 노리고 셔틀을 쳐 넣는 것.
플릭 Flick
스냅을 살려 급격히 타구를 되돌리는 동작을 말한다.
피벗 Pivot
풋 워크의 기본 스텝의 일종. 한쪽의 발끝을 장축으로 해서 상체를 우측이나 좌측으로
돌려서 몸의 방향을 바꾸는 동작을 말한다.
하이 백핸드 스트로크 High backhand stroke
라켓을 쥔 손의 반대쪽으로 온 셔틀을 백핸드로 높은 타점에서 치는 타법을 말한다. 오버 헤드의 '그립'이라고도 한다.
헤어핀 쇼트 Hairpin shot
네트를 따라 타구된 플라이트로서, 옆에서 보면 헤어핀(머리핀)의 형으로 보인다. 단순히 '헤어핀'이라고 부르는 수도 있다.
홈 포지션 Home position
자기 코트의 어느 지점으로도 가장 빨리 이동할 수 있게 차지하는 위치를 말하며 코트의 중앙부를 가리킨다. 복식의 경우는 각 플레이어의 수비 위치의 중앙부.
홉 스텝 Hop step
풋 워크의 기본 스탭의 일종. 같은 한쪽 발로 계속해서 가볍게 뛰는 발의 발동작을 말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1.2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