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에 대한 모든것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성에 대한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금성의 기본성질

2. 금성 소개

3. 금성의 표면

4. 금성의 화산활동

5. 금성의 특징
(공전 및 밝기, 크기 및 질량, 대기상태, 표면)

본문내용

던 원시가스인 아르곤 36이 지구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원시행성을 둘러싸고 있던 원시가스는 태양에 가까운 행성일수록 태양의 강력한 태양풍에 의해 많이 그리고 빠르게 날아가 버렸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와 반대되는 사실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하는 새로운 의문점이 생겼다. 대기에서 수평방향으로 부는 바람은 고도 10∼20km에서는 매초 2m 이하이고, 고도 45km에서는 매초 50m 이하이다.
4. 표면
소련 비너스 금성탐사선이 착륙한 지점의 지면은 매우 약했으며, 밀도는 물의 1.5배 정도라고 관측되었다. 금성의 지형 등이 제대로 알려지기 시작한 시기는, 1975년 소련 비너스 9호와 10호가 금성 표면의 사진 촬영에 성공하여 암석이 흩어진 상태였음이 확인되면서부터이다. 미국은 1978년 두 개의 금성탐사선을 발사하였으며 표면을 세밀히 조사하여 그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항공우주국에서 금성지도를 제작하였다. 이에 의하면, 표면에는 많은 크레이터가 있고, 바다는 없지만 지구의 지형과 많이 유사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가장 큰 대륙은 적도에 위치하는 아프로디테 대륙으로 평균고도가 약 2,000m이고, 넓이는 아프리카 대륙의 절반 정도인 동서 9,700km, 남북 3,200km이다. 아프로디테 대륙 바로 옆에는 지름 약 3,000km의 큰 크레이터가 있는데, 분화에 의해서 생긴 것인지 운석이 낙하하여 생긴 것인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또 다른 대륙은 북반구의 상당히 고위도지대에 있는 이슈타르 대륙으로 평균고도는 5,000m쯤이며,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버금가는 면적이다. 이슈타르 대륙에는 에베레스트산보다 높은 고도 1만 800m의 금성 최고봉인 맥스웰산이 있다.
이 밖에 북반구에는 베타 지역이라 부르는 고지가 있고, 몇 개의 높은 산이 발견되었으나, 아직 미측정 지역도 있으므로 미항공 우주국에서는 앞으로 더 상세한 지도의 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19세기 전반 금성에도 지구의 대기광에 상당하는 고층대기의 발광현상이 발견되었는데, 1967년 매리너 5호가 관측한 결과 중수소원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금성까지의 거리는 지구에서 발사된 전파가 금성에서 반사되어 다시 지구로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으로 측정하는데, 지구와 태양간의 평균거리인 천문단위의 길이는 이 방법에 의해 정밀하게 측정된다. 이 방법을 금성레이더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때문에 천문상수를 결정하는 체계가 크게 달라졌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0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