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용편익분석의 개념과 목적
⑴ 개념
⑵ 목적
2. 필요성 및 의의
3. 일반적 절차
⑴ 실현가능하고 상호 배타적인 비교대안의 식별
⑵ 사업 수명의 결정
⑶ 각 대안들의 편익과 비용의 추정
⑷ 사용될 할인율의 구체화
⑸ 사업 효과성 측정방법의 구체화
⑹ 선정된 효과성 측정방법에 의한 대안의 비교
⑺ 민감도분석
⑻ 적정대안의 선택
4. 특징
5. 대안비교의 접근 방법(비용편익 분석 시 대안의 선택 기준)
⑴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 NPV)
⑵ 편익비용비 (Benefit Cost Ratio : BCR)
⑶ 내부수익율 (Internal Rate of Return : IRR)
6. 장·단점
⑴ 장점
⑵ 단점
7. 비용편익분석의 사례(청주시 테크노빌 개발 사업)
⑴ 비용 측면
⑵ 편익 측면
⑶ 의사결정
Ⅲ. 결론
참고 문헌
Ⅱ. 본론
1. 비용편익분석의 개념과 목적
⑴ 개념
⑵ 목적
2. 필요성 및 의의
3. 일반적 절차
⑴ 실현가능하고 상호 배타적인 비교대안의 식별
⑵ 사업 수명의 결정
⑶ 각 대안들의 편익과 비용의 추정
⑷ 사용될 할인율의 구체화
⑸ 사업 효과성 측정방법의 구체화
⑹ 선정된 효과성 측정방법에 의한 대안의 비교
⑺ 민감도분석
⑻ 적정대안의 선택
4. 특징
5. 대안비교의 접근 방법(비용편익 분석 시 대안의 선택 기준)
⑴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 NPV)
⑵ 편익비용비 (Benefit Cost Ratio : BCR)
⑶ 내부수익율 (Internal Rate of Return : IRR)
6. 장·단점
⑴ 장점
⑵ 단점
7. 비용편익분석의 사례(청주시 테크노빌 개발 사업)
⑴ 비용 측면
⑵ 편익 측면
⑶ 의사결정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과 중 청주시, 청원군의 지역개발효과만 반영하기로 한다. 지역개발효과는 단지 내 연구개발기능과 제조업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때, 인접지역에 파급되는 부가가치의 증가분 중, 이자비용을 제외한 신규기업의 영업잉여부문과 신규취업자의 피용자보수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표2-2] 지역개발효과의 전망
구 분
1996
2001
2006
2011
생 산 액
274.4
1,570.5
1,932.6
2,040.0
부가가치액
99.6
572.5
704.6
723.6
지역유발효과
3.4
8.6
10.5
11.1
국토개발연구원, 「청주 테크노빌 개발기본구상」
⑶ 의사결정
분석기간을 1991-2011년(20년)으로 할 때 내부수익률은 18.0%로 사회적 기준이자율 12.0%보다 높게 나타나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편익/비용 비율도 1.18로 내부적 판단기준 1.0보다 높게 나타난다.
〔표 2-3〕경제적 타당성 분석
분 석 방 법
할 인 율
분 석 결 과
순 현 재 가 격
(NPV 분석)
10%인 경우
12%인 경우
15%인 경우
1,414억 원
872억 원
311억 원
B / C 비 율
10%인 경우
12%인 경우
15%인 경우
1.27
1.18
1.07
내 부 수 익 률
18.0
토개발연구원, 「청주 테크노빌 개발기본구상」
Ⅲ. 결론
지금까지 올바른 정책결정을 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분석 방법 중 비용편익분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슈를 안고 있다.
첫째, 화폐단위로 모든 비용과 편익을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무리하게 계량화할 경우 비용이나 편익이 부당하게 과대 또는 과소평가 될 수 있다.
둘째, 미래의 제각기 다른 시점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어떻게 비교해야 하는지 할인율의 문제가 있다.
셋째, 미래에 발생할 비용과 편익을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을까라는 불확실성의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사업의 분배적 측면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지 형평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정부 규제와 관련한 정책 결정에서 가치간의 상충 관계가 있을 때 정부는 상호 대체적인 사회적 가치를 상호 비교하고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 때 우선 순위의 결정은 도덕성 기준만을 가지고 판단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좀더 중요한 것은 희소한 자원을 어떤 사회적 목적의 달성에 우선적으로 배분해야 하느냐의 선택에 있다.
오늘날의 정책결정환경은 과거에 비해서 아주 복잡하고 그 복잡함 속에 상호 상충되는 이익을 분배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자원이 희소하고 한 분야의 정책결정은 그 분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정 정책 결정전에 비용편익분석과 같은 철저한 정책분석이 요구되는 것으로 본다.
즉, 비용편익분석과 같은 정책 분석을 통해서 국민의 혹은 다수의 후생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용편익분석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정책분석 시 용이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정책분석론, 노화준, 박영사, 1999
비용편익분석론, 김홍배, 서울 : 弘文社, 2000
[표2-2] 지역개발효과의 전망
구 분
1996
2001
2006
2011
생 산 액
274.4
1,570.5
1,932.6
2,040.0
부가가치액
99.6
572.5
704.6
723.6
지역유발효과
3.4
8.6
10.5
11.1
국토개발연구원, 「청주 테크노빌 개발기본구상」
⑶ 의사결정
분석기간을 1991-2011년(20년)으로 할 때 내부수익률은 18.0%로 사회적 기준이자율 12.0%보다 높게 나타나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편익/비용 비율도 1.18로 내부적 판단기준 1.0보다 높게 나타난다.
〔표 2-3〕경제적 타당성 분석
분 석 방 법
할 인 율
분 석 결 과
순 현 재 가 격
(NPV 분석)
10%인 경우
12%인 경우
15%인 경우
1,414억 원
872억 원
311억 원
B / C 비 율
10%인 경우
12%인 경우
15%인 경우
1.27
1.18
1.07
내 부 수 익 률
18.0
토개발연구원, 「청주 테크노빌 개발기본구상」
Ⅲ. 결론
지금까지 올바른 정책결정을 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분석 방법 중 비용편익분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슈를 안고 있다.
첫째, 화폐단위로 모든 비용과 편익을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무리하게 계량화할 경우 비용이나 편익이 부당하게 과대 또는 과소평가 될 수 있다.
둘째, 미래의 제각기 다른 시점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어떻게 비교해야 하는지 할인율의 문제가 있다.
셋째, 미래에 발생할 비용과 편익을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을까라는 불확실성의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사업의 분배적 측면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지 형평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정부 규제와 관련한 정책 결정에서 가치간의 상충 관계가 있을 때 정부는 상호 대체적인 사회적 가치를 상호 비교하고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 때 우선 순위의 결정은 도덕성 기준만을 가지고 판단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좀더 중요한 것은 희소한 자원을 어떤 사회적 목적의 달성에 우선적으로 배분해야 하느냐의 선택에 있다.
오늘날의 정책결정환경은 과거에 비해서 아주 복잡하고 그 복잡함 속에 상호 상충되는 이익을 분배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자원이 희소하고 한 분야의 정책결정은 그 분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정 정책 결정전에 비용편익분석과 같은 철저한 정책분석이 요구되는 것으로 본다.
즉, 비용편익분석과 같은 정책 분석을 통해서 국민의 혹은 다수의 후생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용편익분석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정책분석 시 용이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정책분석론, 노화준, 박영사, 1999
비용편익분석론, 김홍배, 서울 : 弘文社, 2000
추천자료
[통일] 통일비용(분단비용 위기관리비용 체제전환비용 투자비용)
무역이론, 고전파이론 -중상주의,절대우위,비교우위,비교비용,기회비용
일반적으로 품질에 관련된 비용은 총비용이 최저인 경우를 적정 품질수준이라고 한다. 이때 ...
거래비용에 관한 학자별 내용
비교우위와 기회비용 그리고 자유무역주의 (비교우위와 기회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기...
[시사경제이슈] 통일비용과 분단비용
기회비용과 매몰비용에 대해 설명하고 예를 들어 보시오
합리적 선택의 고려사항 (기회비용, 매몰 비용)
[생산가능성곡선(opportunity cost curve)] 기회비용설, 비용불변하에서의 생산가능곡선, 비...
자본비용 개념요약 및 계산공식정리 (자본비용의 의의, 주요 원천별 자본비용 (부채, 우선주,...
[기초미시경제론 공통] 1. 유가하락이 여러분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2. 단기비용곡선과 ...
[비용효과분석 (費用效果分析)] 비용효과분석의 의의와 중요성 및 기원, 비용효과비교의 접근...
[비용費用의 추정] 비용의 개념과 비용분석의 틀, 구성요소방법에 의한 직접비용추정, 비용의...
[공공선택론 公共選擇論] 거래비용 -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시장실패, 거래비용, 외부성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