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게임에 나타난 대학생의 모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Α. `캠퍼스 러브스토리` 소개
Β. 연구의 목적 및 방향

Ⅱ. `캠퍼스 러브스토리` 의 내용
Α. 게임의 배경 및 등장 인물
Β. 게임 공략법

Ⅲ. `캠퍼스 러브스토리` 속의 왜곡된 대학생의 모습
Α. 과장 묘사된 여성 캐릭터
Β. 연애에만 매달리는 남성 캐릭터
C. 사치스러운 소비
D. 문란한 성생활

Ⅳ. `캠퍼스 러브스토리` 게임의 의미와 한계
Α. 대리만족
Β. 왜곡된 사랑의 의미
C. 잘못된 직업관

Ⅴ. 결론

본문내용

꿈인 캠퍼스 커플이 되어 볼 수 있다. 흔한 남녀의 만남이 아니라, 한 여성을 사로잡기 위해 오랜 시간 꾸준히 노력하여, 졸업과 동시에 그 사랑을 쟁취해 나가는 스토리이다. 대부분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이 그렇듯이, 이 게임 역시 자신이 해보지 못한 경험을 주인공이 대신 경험하는 것을 지켜보며 만족을 얻을 수 있다. 원하는 여성과의 만남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 노력하던 주인공이, 엔딩에서 그 여성과 맺어질 때, 게이머는 설명할 수 없는 성취감에 도취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리 만족을 경험하면서 게이머 자신도 대상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만족을 주는 요소들을 파악하여 노력하게 된다면, 그것은 더욱 큰 의미가 될 것이다.
Β. 왜곡된 사랑의 의미
이 게임이 갖는 가장 두드러진 한계는, 현대의 왜곡된 사랑의 의미를 더욱 퇴색시켜 놓았다는 느낌을 준 것이다. '사랑에는 돈이 든다.' 는 모 CF의 문구처럼, 이 게임 안에서는 남녀간의 만남에 있어서 재력이 유용한 도구가 된다. 여성에게 고가품을 선물하고, 고급 식당에 데려갈수록 주인공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연애를 타겟으로 내건 게임인 만큼, 사랑에 대한 깊은 고찰은 아니더라도 사랑을 성취해나가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자 그대로 게임일 뿐이지만, 즐거움이나 흥미만을 추구하기보다는 게임을 하면서 진실한 사랑에 대해 다시 한번 떠올리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으면 더욱 좋지 않았나 생각한다.
C. 잘못된 직업관
대학 생활을 어떻게 보내게 했느냐에 따라, 엔딩 부분이 달라진다. 기억에 남는 몇 가지를 예로 들어보겠다. 만일 주인공이 대기업 회장의 장녀인 최지혜와 맺어지게 된다면, 주인공은 대기업의 경영자가 된다. 이 때의 주인공의 미래 모습은 고급 주택에서 평화로운 하루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난다. 만일, 아르바이트로 스튜디오에서 일한 경험이 많다면, 모델인 문지현과 맺어지게 되고 주인공은 사진 작가가 된다. 이 때의 미래 모습은 좋은 아파트에서 화려한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 만일, 주인공이 막노동 아르바이트를 많이 했다면, 주인공은 결혼해서도 막노동 일을 계속하게 된다. 그 때의 미래 모습은 단칸방에서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며 매일 아내와 싸우며 지내는 것으로 나타난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고 외치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암묵적으로 귀한 직업과 천한 직업을 구별지어 놓고 있다. 이 게임 속에는 그런 우리의 모습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게임에서조차, 대기업의 경영자가 된 사람은 한평생을 행복하게 살았고, 막노동꾼이 된 사람은 평생을 불행하게 살았다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이 게임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씩은 이렇듯 판이한 엔딩 장면에서 쓴웃음을 지어 보았을 것이다.
Ⅴ. 결론
이 글에서는 연애 시뮬레이션 '캠퍼스 러브스토리' 속에서 나타나는 왜곡된 대학생의 모습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 게임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글을 쓰게 된 목적은 바로 이 게임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연애 방식과 잘못된 직업관에 대해 지적하기 위함이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캠퍼스 러브스토리'는 게이머가 주인공이 원하는 결혼 상대를 찾아주고 직업까지 제시해 줌으로써 주인공의 미래를 결정짓게 된다. 4년간의 노력 끝에 원하던 여성과 결혼에 골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직업까지 찾아주었을 때의 기쁨이란, 대리 만족을 떠나 자아 실현과도 같은 의미일 것이다.
'캠퍼스 러브스토리' 에는 물론 아직까지 그 고루함이나 답답한 구석이 남아있다. 위에서 지적했던 것과 같이 그다지 교훈적이지도 않고 많이 진취적이지도 않은 모습도 보인다. 하지만 나는 '캠퍼스 러브스토리' 의 가능성에 더 손을 들어주고 싶다. 비록 아직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기는 하지만, 이 게임에서 게이머와 함께 노력하여 주인공이 해낼 수 있는 일에 더욱 큰 가치를 주고 싶다.
대학생의 신분으로서 그리고 도덕과 윤리가 존재하는 현실 세계에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이 있다. 현실 세계에서는 그 선이 게임보다 훨씬 명확하고 커다란 벽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게임을 통해 우리가 현실 속에서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룰 수 있듯이, 게임 속 꿈을 현실로 이끌어 올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함께 해보았다. 또, 우리가 현실 속에서 이루지 못하는 여러 가지 일들을, 게임 속에서만은 되풀이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현실 속의 변질된 사랑의 의미를 게임 속에서조차도 그대로 풀어낼 필요는 없는 것이니까 말이다.
'캠퍼스 러브스토리' 는, 남녀간의 육체적 사랑의 성취에만 열을 쏟는 다른 연애 시뮬레이션과는 달리, 진취적이고 개성 있는 주인공의 모습을 그려낸다. 나는 '캠퍼스 러브스토리'의 이런 점을 높이 평가하고, '캠퍼스 러브스토리' 가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의 교과서와도 같은 게임이기에 더욱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대학생의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하는 기대를 하고 있다. 오는 9월부터 KTF를 통해 모바일형식으로 전환하여, 퀴즈를 통해 진행되는 새로운 스타일의 연애육성시뮬레이션게임으로 태어난다는 새로운 '캠퍼스 러브스토리' 역시 이 같은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게임 속 우리가 꿈꾸는 멋진 대학생의 모습 역시, 우리 현실 속에서 이뤄질 수 있는 꿈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참고 자료
캠퍼스 러브스토리 공략 사이트
. 캠퍼스love스토리〃 (http://cafe.daum.net/96campus)
. ★캠퍼스러브스토리★ (http://cafe.daum.net/campusloveno1)
. 추억의게임 캠퍼스러브스토리 카페 (http://cafe.daum.net/campuslovestory)
.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m/)
부 록
'캠퍼스 러브스토리' 의 게임 장면들
☆ MT가기 전 사진 찍는 장면 - 주인공은 앞줄 맨 오른쪽에 얼굴이 가려진 남자이다. 항상 이런식으로 주인공의 얼굴이 가려지기 때문에, 게이머조차 주인공의 얼굴만은 볼 수가 없다.
☆ 주인공의 방 ☆ 주인공의 공주병 후배, 이소현
☆ 나이트클럽에서 춤 추고 있는 모델 문지현
☆ 엔딩 부분 중 이지연과의 결혼식 장면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1.0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