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법(書法)
2. 회화
3. 경극
4. 곡예(曲藝)
5. 잡기(雜技)
6. 종교
2. 회화
3. 경극
4. 곡예(曲藝)
5. 잡기(雜技)
6. 종교
본문내용
그 형태뿐 아니라 문학적 修辭.환경등 어느것도 불교 문학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없다. 그리고 宋.明 理學시대에 유행했던 語錄體 역시 불교 禪宗語錄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西遊記.封神傳등에서도 불교가 중국소설에 미친 영향을 쉽게 알 수있다.
(3)이슬람교
이슬람교는 알라신을 유일한 신으로 믿는 一神敎로서 서기 7세기에 마호메트가 아라비아 반도에 창조한 종교이며, ≪코오란≫을 기본 經典으로 삼는다. 종파는 크게 遜尼(sunni)파와 什葉(shiah)파가 있고, 중국의 무슬림들은 대다수 遜尼派에 속한다. 이슬람교는 중국에서 '回敎'.'淸眞敎'.'天方敎'등으로도 불리우며, 알라는 '眞主'.'胡大'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슬람교는 외교.상업적 활동 및 군사적 침입등으로 해안과 육지를 통해서 중국에 전래되었다. 唐高宗때인 서기 651년에 아라비아제국에서 파견한 관리들이 중국에 오면서 이슬람교가 최초로 전래되기 시작했고, 그후 빈번한 무역활동을 통해서 많은 아라비아 상인들이 귀국하지 않고 중국 沿岸지역 도시의 거주지에서 집단으로 생활했고 적지않은 아랍인들은 當地 주민들과 결혼도 했다. 唐朝 中葉에 '安史의 亂'을 평정하기 위해 肅宗은 아랍국에 원병을 요청했고 그후 아랍인들은 합법적으로 중국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됐으며, 그들은 대대로 생활하면서 중국 무슬림의 원조가 됐다.
元代는 무슬림들이 대량으로 중국에 들어온 시기로서, 징기스칸은 西域을 정벌할 때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다수의 아랍인들을 징집해서 페르시아인 및 중앙아시아인들과 합쳐 '西域軍團'을 형성해서 중국으로 進入했다. 이들 병사들은 전쟁후 중국 西北지역의 각 省 및 雲南.江南.華北등 지역에서 거주하면서 육지의 '실크로드'와 해상의 '香料의 길'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온 무슬림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한 지역에 集居하기보다는 전중국의 각 지역에 散居하는 독특한 居住文化를 형성했다. 元朝는 그들 西域人들에대해 비교적 관용의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그들의 사회적 지위는 蒙古人보다는 낮았지만, 漢族과 南方人들보다는 優位에 있었다. 그리고 明代는 回族에 대한 同化정책하에서 西域人들간의 通婚을 금지한 결과, 漢族과 자연스럽게 민족적 융화가 이루어 졌으며 점차적으로 回族을 형성하였다.
이슬람교가 新疆지역에 거주하기는 10세기 중엽부터 이었다. 그전까지 新疆지역 주민들의 主信仰은 불교.샤머니즘.拜火敎( Zoroaster교 ).기독교등이 었으며, 16.7세기에 이르러 新疆지역의 각민족들은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했다.
淸朝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각 민족에 대해 속으로는 輕視하면서 겉으로는 懷柔정책을 취했지만, 민족간의 모순과 충돌은 계속적으로 발생했다. 그같은 무슬림들이 받는 바의 압박과 차별대우는 民國초에 이르러서도 기본적으로 변화되지 않았다.
상당한 기간동안 이슬람교는 중국내에서 명확한 敎派를 갖지 못했지만, 明.淸교체시기부터 새로운 변화가 있었다. 그것은 西北지역에 생긴 중국특색을 지닌 門宦制度로서, 敎主와 地主를 겸하는 政敎合一 제도였으며, 바로 종교적 神秘主義와 중국의 봉건제도가 상호 결합한 형태였다.
明末期에 중국특색을 지닌 이스람 寺院과 漢語譯著등이 발간되는 등 중국에서의 이슬람교의 학술적 발전이 있었다. 胡登洲는 중세기 이슬람국가들이 淸眞寺에서 하는 종교교육과 중국의 전통적 私塾교육을 결합한 經堂敎育을 최초로 실시했다. 그 후 經堂교육은 장기적으로 중국의 이슬람교의 기본교육 제도로 실시되다가, 辛亥革命을 전후해서 나타난 이스람교 新式학교와 함께 병존해왔다.
현재 중국에서 이슬람교의 종교적 활동장소인 淸眞寺는 모두 23000여개소가 있고, 信徒는 1400만명이지만 대다수 分散되있고, 新疆.寧夏回族自治區.甘肅.靑海.陝西.雲南.山東.河北省등지에서 적은 규모로 집단적 생활을 하고 있다.
(4)천주교
기독교의 3대 종파중의 하나인 天主敎는 唐代인 635년에 중국에 전래되었고, 當時는 景敎라고 불렀으며, 唐武宗이 불교를 배척할 때 景敎도 거의 소멸되었었다. 元代의 景敎가 蒙古人들을 따라서 다시 중국의 中原지방에서 발전하자, 天主敎도 잇달아 중국으로 들어왔다. 당시에 이 양대교파는 '也里可溫'(蒙古語로 福音을 믿는 자) 또는 십자가를 존경하기 때문에 '十字敎'라고도 통칭됐다. 천주교는 초기에 景敎의 공격과 배척을 받았지만 元帝의 관용으로 교세가 점차 발전되었다. 1307년 이탈리아 프란체스코 수도회 신부가 교황청의 임명으로 북경에 主敎로 부임할 때 信徒수는 수만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元朝가 멸망하자 天主敎의 敎勢도 점차 소멸되었다.
明代末葉 천주교는 다시 중국으로 진입했고, 1582년에는 예수회소속 이탈리아 선교사인 맛테오 릿치(Matteo Ricci)가 중국으로 전교를 위해 입국했으며, 처음에 그는 '西天竺僧'즉, 인도의 승려 신분으로 廣東省 肇慶에다 최초의 傳敎를 위한 敎會所를 건립했다. 맛테오 릿치는 중국문화와 풍속에 자신을 적응시켜가면서 西歐의 발달한 과학기술을 소개하는 방법으로써 明朝의 지배계층과 다수 士大夫들의 好感을 얻었으며, 그결과 천주교의 입지와 발전을 꾀했다. 그에 따라 프란체스코 수도회.도미니크회.파리 외방선교회등도 전교를 위해 중국으로 진입했다. 그 결과 淸朝 康熙後期때에 이르러서는 전국적으로 信徒는 30만명에 달했다. 그러나 예수회와 도미니크회간에 '중국禮節에 대한 論爭'이 발생하자 로마 교황청은 중국 신도들에게 祖上과 孔子에대한 祭祀를 금지시키는 지침을 하달했고, 이에 국가의 主權을 지키기위해 淸朝의 康熙황제도 '맛테오 릿치의 미사規範'을 따르지 않는 傳敎士들을 중국에 居住하지 못하도록 명령했다. 그 후 雍正帝 이후 각 황제들도 천주교 금지정책을 계승하였고, 乾隆시기에 철저한 금지정책을 실시하자 예수회는 자진해서 해산을 함으로써 천주교는 또다시 중국에서의 종교활동이 중지됐다. 그러나 阿片戰爭 직전까지 전국적으로 여전히 20만명의 신도가 있었다.
아편전쟁결과 중국의 門戶가 개방되었고, 1884년 중국과 프랑스간의 [黃浦條約]을 체결하자 천주교를 중국내에서 傳敎할 수 있는 特權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그후 각국의 전교사들은 중국 내륙으로 깊숙히 들어와서 敎會를 건립하고 傳敎활동을 활발히 재개하였다.
(3)이슬람교
이슬람교는 알라신을 유일한 신으로 믿는 一神敎로서 서기 7세기에 마호메트가 아라비아 반도에 창조한 종교이며, ≪코오란≫을 기본 經典으로 삼는다. 종파는 크게 遜尼(sunni)파와 什葉(shiah)파가 있고, 중국의 무슬림들은 대다수 遜尼派에 속한다. 이슬람교는 중국에서 '回敎'.'淸眞敎'.'天方敎'등으로도 불리우며, 알라는 '眞主'.'胡大'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슬람교는 외교.상업적 활동 및 군사적 침입등으로 해안과 육지를 통해서 중국에 전래되었다. 唐高宗때인 서기 651년에 아라비아제국에서 파견한 관리들이 중국에 오면서 이슬람교가 최초로 전래되기 시작했고, 그후 빈번한 무역활동을 통해서 많은 아라비아 상인들이 귀국하지 않고 중국 沿岸지역 도시의 거주지에서 집단으로 생활했고 적지않은 아랍인들은 當地 주민들과 결혼도 했다. 唐朝 中葉에 '安史의 亂'을 평정하기 위해 肅宗은 아랍국에 원병을 요청했고 그후 아랍인들은 합법적으로 중국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됐으며, 그들은 대대로 생활하면서 중국 무슬림의 원조가 됐다.
元代는 무슬림들이 대량으로 중국에 들어온 시기로서, 징기스칸은 西域을 정벌할 때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다수의 아랍인들을 징집해서 페르시아인 및 중앙아시아인들과 합쳐 '西域軍團'을 형성해서 중국으로 進入했다. 이들 병사들은 전쟁후 중국 西北지역의 각 省 및 雲南.江南.華北등 지역에서 거주하면서 육지의 '실크로드'와 해상의 '香料의 길'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온 무슬림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한 지역에 集居하기보다는 전중국의 각 지역에 散居하는 독특한 居住文化를 형성했다. 元朝는 그들 西域人들에대해 비교적 관용의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그들의 사회적 지위는 蒙古人보다는 낮았지만, 漢族과 南方人들보다는 優位에 있었다. 그리고 明代는 回族에 대한 同化정책하에서 西域人들간의 通婚을 금지한 결과, 漢族과 자연스럽게 민족적 융화가 이루어 졌으며 점차적으로 回族을 형성하였다.
이슬람교가 新疆지역에 거주하기는 10세기 중엽부터 이었다. 그전까지 新疆지역 주민들의 主信仰은 불교.샤머니즘.拜火敎( Zoroaster교 ).기독교등이 었으며, 16.7세기에 이르러 新疆지역의 각민족들은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했다.
淸朝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각 민족에 대해 속으로는 輕視하면서 겉으로는 懷柔정책을 취했지만, 민족간의 모순과 충돌은 계속적으로 발생했다. 그같은 무슬림들이 받는 바의 압박과 차별대우는 民國초에 이르러서도 기본적으로 변화되지 않았다.
상당한 기간동안 이슬람교는 중국내에서 명확한 敎派를 갖지 못했지만, 明.淸교체시기부터 새로운 변화가 있었다. 그것은 西北지역에 생긴 중국특색을 지닌 門宦制度로서, 敎主와 地主를 겸하는 政敎合一 제도였으며, 바로 종교적 神秘主義와 중국의 봉건제도가 상호 결합한 형태였다.
明末期에 중국특색을 지닌 이스람 寺院과 漢語譯著등이 발간되는 등 중국에서의 이슬람교의 학술적 발전이 있었다. 胡登洲는 중세기 이슬람국가들이 淸眞寺에서 하는 종교교육과 중국의 전통적 私塾교육을 결합한 經堂敎育을 최초로 실시했다. 그 후 經堂교육은 장기적으로 중국의 이슬람교의 기본교육 제도로 실시되다가, 辛亥革命을 전후해서 나타난 이스람교 新式학교와 함께 병존해왔다.
현재 중국에서 이슬람교의 종교적 활동장소인 淸眞寺는 모두 23000여개소가 있고, 信徒는 1400만명이지만 대다수 分散되있고, 新疆.寧夏回族自治區.甘肅.靑海.陝西.雲南.山東.河北省등지에서 적은 규모로 집단적 생활을 하고 있다.
(4)천주교
기독교의 3대 종파중의 하나인 天主敎는 唐代인 635년에 중국에 전래되었고, 當時는 景敎라고 불렀으며, 唐武宗이 불교를 배척할 때 景敎도 거의 소멸되었었다. 元代의 景敎가 蒙古人들을 따라서 다시 중국의 中原지방에서 발전하자, 天主敎도 잇달아 중국으로 들어왔다. 당시에 이 양대교파는 '也里可溫'(蒙古語로 福音을 믿는 자) 또는 십자가를 존경하기 때문에 '十字敎'라고도 통칭됐다. 천주교는 초기에 景敎의 공격과 배척을 받았지만 元帝의 관용으로 교세가 점차 발전되었다. 1307년 이탈리아 프란체스코 수도회 신부가 교황청의 임명으로 북경에 主敎로 부임할 때 信徒수는 수만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元朝가 멸망하자 天主敎의 敎勢도 점차 소멸되었다.
明代末葉 천주교는 다시 중국으로 진입했고, 1582년에는 예수회소속 이탈리아 선교사인 맛테오 릿치(Matteo Ricci)가 중국으로 전교를 위해 입국했으며, 처음에 그는 '西天竺僧'즉, 인도의 승려 신분으로 廣東省 肇慶에다 최초의 傳敎를 위한 敎會所를 건립했다. 맛테오 릿치는 중국문화와 풍속에 자신을 적응시켜가면서 西歐의 발달한 과학기술을 소개하는 방법으로써 明朝의 지배계층과 다수 士大夫들의 好感을 얻었으며, 그결과 천주교의 입지와 발전을 꾀했다. 그에 따라 프란체스코 수도회.도미니크회.파리 외방선교회등도 전교를 위해 중국으로 진입했다. 그 결과 淸朝 康熙後期때에 이르러서는 전국적으로 信徒는 30만명에 달했다. 그러나 예수회와 도미니크회간에 '중국禮節에 대한 論爭'이 발생하자 로마 교황청은 중국 신도들에게 祖上과 孔子에대한 祭祀를 금지시키는 지침을 하달했고, 이에 국가의 主權을 지키기위해 淸朝의 康熙황제도 '맛테오 릿치의 미사規範'을 따르지 않는 傳敎士들을 중국에 居住하지 못하도록 명령했다. 그 후 雍正帝 이후 각 황제들도 천주교 금지정책을 계승하였고, 乾隆시기에 철저한 금지정책을 실시하자 예수회는 자진해서 해산을 함으로써 천주교는 또다시 중국에서의 종교활동이 중지됐다. 그러나 阿片戰爭 직전까지 전국적으로 여전히 20만명의 신도가 있었다.
아편전쟁결과 중국의 門戶가 개방되었고, 1884년 중국과 프랑스간의 [黃浦條約]을 체결하자 천주교를 중국내에서 傳敎할 수 있는 特權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그후 각국의 전교사들은 중국 내륙으로 깊숙히 들어와서 敎會를 건립하고 傳敎활동을 활발히 재개하였다.
추천자료
중국의 WTO가입이 중국 및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 가정학에 대한 이해와 분석 및 중국 가정학의 문제점과 우리의 견해
무협소설과 신중국50년의 문화예술
중국인의 예술세계
[중국경제, 한국경제, 경제협력, 한중경제협력 전개과정, 현황, 중국경제성장이 한국에 미치...
[자동차보험][보험][한국][중국][일본][한국의 자동차보험][중국의 자동차보험][일본의 자동...
[군사력][한국의 군사력][북한의 군사력][중국의 군사력][일본의 군사력][한국][북한][중국][...
중국 공연예술 관련 기사 ․ 자료 수집 스크랩
[중국 공산당]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구조, 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특성, 중국공산...
국내 중국어 예배현황 (국내 중국어 예배 현황 및 국내 중국인 행정 구역별 순위)
[해외진출 실패사례] 일본 NEC의 중국 휴대폰 시장 진출 실패 및 NEC 소개와 중국진출 실패 ...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중국시장진출 마케팅레포트_ 바나나맛우유 중국 마케팅 SWOT,STP,4P전략...
국제무역 - 정부구매와 관련한 중국의 사례를 조사 및 분석 {정부구매(Government procure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