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개요
Ⅱ. 역사
◈고대왕국(BC 690∼BC 111)
◈중국복속(BC 111∼AD 972)
◈전통왕조
◈프랑스 식민지
◈제2차세계대전
◈통일베트남
Ⅲ. 사회문화
1. 자연조건
◈지리적특성
◈기후
2. 국가구성
◈국기
◈민족
◈인구
◈언어
3. 국민생활
◈종교
◈민족성
◈교육 제도
◈베트남 여성
Ⅱ. 역사
◈고대왕국(BC 690∼BC 111)
◈중국복속(BC 111∼AD 972)
◈전통왕조
◈프랑스 식민지
◈제2차세계대전
◈통일베트남
Ⅲ. 사회문화
1. 자연조건
◈지리적특성
◈기후
2. 국가구성
◈국기
◈민족
◈인구
◈언어
3. 국민생활
◈종교
◈민족성
◈교육 제도
◈베트남 여성
본문내용
78.4.6 프랑스 식민정부는 현재의 베트남어를 국어로 공인, 1882.1.1부터 각급 학교, 공문서에 적용하는 법령을 공포했으며, 1915년과 1919년에 북부와 남중부 지역에서 한학 유학시험을 폐지하면서 한문과 쯔놈은 쇠퇴하고 현재의 베트남어가 국어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3. 국민생활
◈종교
베트남의 주 종교는 불교와 천주교이다. 소수 기독교인과 베트남 자생 종교인 까오다이교인도 있다. 국민들의 일상생활에는 일반적으로 미신적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불교
베트남 전 국민의 60∼70%정도 불교를 믿는다. 베트남 불교의 최대 명절은 부처님 오신 날(Ngay le phat dang)이다. 음력 7월 보름 부란(Vu lan)도 중요한 명절이다.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들 가운데 베트남만이 중국의 영향 아래 지금까지 대승불교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10세기부터 14세기말에 걸쳐 선불교(禪佛敎)가 성행했다.. 베트남 불교는 교리적으로 선(禪)과 정토신앙이 융합된 형태를 띠고 있다. 가장 중요한 불교 행사는 1주일간에 걸쳐 행해지는 불탄일(phat-dan) 축제이다. 승려들의 사회적 활동도 크다.
-천주교
베트남은 프랑스 영향으로 17세기부터 많은 성당들이 세워졌다. 천주교는 다오티엔주어(Dao Thien Chua) 혹은 다오꽁야오(Dao Cong Giao)라 불린다. 전 국민의 15%정도가 천주교이며 도시마다 규모가 상당히 큰 성당들이 다수 있다. 천주교는 성모 마리아(Duc Me)를 믿으며 각 집안마다 조상을 섬기는 단(Ban to tien)대신 마리아 상을 섬기고 있다.
-기독교
띤란(Tin Lanh)이라 불리는 기독교는 신자가 1% 미만으로 아주 적으며 당국의 규제와 감시가 많다. 목사 수를 제한하며 그나마 있는 교회도 폐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인적인 가정 예배를 금지하고 반드시 당국이 허락하는 교회에 가서 모임을 가져야만 한다. 베트남에서는 기독교 선교 활동이 금지되며 만약 선교 활동을 하다가 적발될 때는 추방을 당하게 된다.
-까오다이교(cao dai)
고대교(高臺敎)라고도 한다. 정식 이름은 Cao-Dai Tien-Ong('존경하는 불멸의 할아버지'라는 뜻)이다. 민족주의적 정치성이 강하며 유교의 윤리, 도교의 초자연적인 의식, 불교의 업(業)과 윤회설, 로마 가톨릭의 위계조직(교황 포함)을 혼합했다.
일본과 협력해 프랑스에 대항하는 항불운동을 벌였으며, 남부 떠이 닌(Tay Ninh)성에 교단 본부가 있고, 베트남 국민의 약 0.6%가 믿고 있으며, 교당 건물에 커다란 눈을 그려 놓아 '외눈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호아하오교(和好敎, Hoa Hao)
정식 명칭은 Phat Giao Hoa Hao이다. 1939년 베트남에서 불교 개혁자인 후인 푸소[黃富數]가 만든 종교로 사원과 승려라는 중재자를 없애고 종교 의식과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불교 교리를 단순화시켜 만들었다. 이 종교는 민족주의적이며 이타적인 신(新)불교적 비밀결사이다. 프랑스 세력을 물리치는데 공헌했으며, 남부지방에 신도가 몰려 있고 인구의 약 2.7%를 점하고 있다. 1975년 공산주의가 최종적으로 승리할 때까지 베트남 정치권에서 계속 강력한 세력으로 남아 있었다.
◈민족성
베트남인들은 스스로 근면·성실·인내·친절·용감성 등의 국민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오랜 세월 동안의 끊임없는 외침을 성공적으로 물리친 국민"으로 자신들을 표현하고자 하며, 무엇보다 외세에 굴복하지 않은 역사를 지닌 나라라는 자부심이 매우 강하다.
북부지역 출신 사람들은 근면형으로 인내심이 강하고 호치민 주석 등 베트남 혁명가의 대부분이 북부 출신인 반면, 남부지역의 사람들은 풍부한 농산물 등 자연조건의 영향을 받아 개방적이고 낙천적이며 자유분망한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많다.
◈ 교육 제도
-유아원(Nha tre) : 1-2살
-유치원(Mau giao) : 3-6살, 말하기, 노래부르기, 놀기, 예의범절을 배움
-초등학교(TR tieu hoc = TR cap mot) : 7살 입학, 5년 과정
-중학교(TR PT co so cap hai) : 4년 과정, 외국어 배우기 시작(영어)
-고등학교(TR PT trung hoc cap ba) : 3년 과정
-전문대학교(Trung hoc day nghe = Cao Dang) : 2-3년 과정
-일반대학교(TR Dai hoc) : 4년∼5년 과정, 의과대(Dai hoc Y)는 7년 과정
-석사과정(Cao hoc) : 2년 과정
-박사과정(Tien si) : 3년 과정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은 직장 여성이 많기 때문에 유아원, 유치원 제도가 잘 되어 있다. 학교의 학기 시작은 9월초이며, 다음해 1월 중순에 끝난다. 그리고 한 달을 쉬고 음력설 1주 후(2월 중순)에 2학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6월말까지 수업을 하면 1년 과정이 끝난다. 베트남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학 입시가 있다. 대학 입시는 대학별로 실시되며 대개 같은 계열의 대학이 같은 날짜에 시험을 치른다. 학생들은 무제한 원서 제출이 가능하며 내신과 본고사의 비율은 50:50 정도이다. 베트남의 명문대로는 하노이 종합대(DH Tong hop), 호치민 종합대, 자연과학, 공학 분야로는 하노이 백과대(DH Bach khoa), 하노이 건축대학(DH Kien truc), 사이공 의과대(DH Y)가 유명하다.
◈베트남 여성
베트남은 여성의 활약이 눈에 띈다. 관공서와 상점은 물론 논밭에서의 농사일, 건설현장의 힘든 일까지 앞장을 서고 있다. 본래 베트남은 모계사회로서 또한 러시아 여성의 강한 영향을 받아 베트남 여성은 강하고 경제력이 있다. 현재 호치민에서 성공한 기업의 사장도 여성이 전체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중요한 결정권을 가진 책임자로서 여성이 기용되고 있고 국회의원 중에도 여성이 많으며 요직에 있는 여성도 있다. 현 10대 국회의원의 26.22%(총 450명 중 117명)가 여성이다. 베트남 정부는 여성 근로자의 고용을 장려하여, 일정 비율 이상의 여성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에 대해 소득세 감면 등의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3. 국민생활
◈종교
베트남의 주 종교는 불교와 천주교이다. 소수 기독교인과 베트남 자생 종교인 까오다이교인도 있다. 국민들의 일상생활에는 일반적으로 미신적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불교
베트남 전 국민의 60∼70%정도 불교를 믿는다. 베트남 불교의 최대 명절은 부처님 오신 날(Ngay le phat dang)이다. 음력 7월 보름 부란(Vu lan)도 중요한 명절이다.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들 가운데 베트남만이 중국의 영향 아래 지금까지 대승불교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10세기부터 14세기말에 걸쳐 선불교(禪佛敎)가 성행했다.. 베트남 불교는 교리적으로 선(禪)과 정토신앙이 융합된 형태를 띠고 있다. 가장 중요한 불교 행사는 1주일간에 걸쳐 행해지는 불탄일(phat-dan) 축제이다. 승려들의 사회적 활동도 크다.
-천주교
베트남은 프랑스 영향으로 17세기부터 많은 성당들이 세워졌다. 천주교는 다오티엔주어(Dao Thien Chua) 혹은 다오꽁야오(Dao Cong Giao)라 불린다. 전 국민의 15%정도가 천주교이며 도시마다 규모가 상당히 큰 성당들이 다수 있다. 천주교는 성모 마리아(Duc Me)를 믿으며 각 집안마다 조상을 섬기는 단(Ban to tien)대신 마리아 상을 섬기고 있다.
-기독교
띤란(Tin Lanh)이라 불리는 기독교는 신자가 1% 미만으로 아주 적으며 당국의 규제와 감시가 많다. 목사 수를 제한하며 그나마 있는 교회도 폐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인적인 가정 예배를 금지하고 반드시 당국이 허락하는 교회에 가서 모임을 가져야만 한다. 베트남에서는 기독교 선교 활동이 금지되며 만약 선교 활동을 하다가 적발될 때는 추방을 당하게 된다.
-까오다이교(cao dai)
고대교(高臺敎)라고도 한다. 정식 이름은 Cao-Dai Tien-Ong('존경하는 불멸의 할아버지'라는 뜻)이다. 민족주의적 정치성이 강하며 유교의 윤리, 도교의 초자연적인 의식, 불교의 업(業)과 윤회설, 로마 가톨릭의 위계조직(교황 포함)을 혼합했다.
일본과 협력해 프랑스에 대항하는 항불운동을 벌였으며, 남부 떠이 닌(Tay Ninh)성에 교단 본부가 있고, 베트남 국민의 약 0.6%가 믿고 있으며, 교당 건물에 커다란 눈을 그려 놓아 '외눈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호아하오교(和好敎, Hoa Hao)
정식 명칭은 Phat Giao Hoa Hao이다. 1939년 베트남에서 불교 개혁자인 후인 푸소[黃富數]가 만든 종교로 사원과 승려라는 중재자를 없애고 종교 의식과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불교 교리를 단순화시켜 만들었다. 이 종교는 민족주의적이며 이타적인 신(新)불교적 비밀결사이다. 프랑스 세력을 물리치는데 공헌했으며, 남부지방에 신도가 몰려 있고 인구의 약 2.7%를 점하고 있다. 1975년 공산주의가 최종적으로 승리할 때까지 베트남 정치권에서 계속 강력한 세력으로 남아 있었다.
◈민족성
베트남인들은 스스로 근면·성실·인내·친절·용감성 등의 국민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오랜 세월 동안의 끊임없는 외침을 성공적으로 물리친 국민"으로 자신들을 표현하고자 하며, 무엇보다 외세에 굴복하지 않은 역사를 지닌 나라라는 자부심이 매우 강하다.
북부지역 출신 사람들은 근면형으로 인내심이 강하고 호치민 주석 등 베트남 혁명가의 대부분이 북부 출신인 반면, 남부지역의 사람들은 풍부한 농산물 등 자연조건의 영향을 받아 개방적이고 낙천적이며 자유분망한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많다.
◈ 교육 제도
-유아원(Nha tre) : 1-2살
-유치원(Mau giao) : 3-6살, 말하기, 노래부르기, 놀기, 예의범절을 배움
-초등학교(TR tieu hoc = TR cap mot) : 7살 입학, 5년 과정
-중학교(TR PT co so cap hai) : 4년 과정, 외국어 배우기 시작(영어)
-고등학교(TR PT trung hoc cap ba) : 3년 과정
-전문대학교(Trung hoc day nghe = Cao Dang) : 2-3년 과정
-일반대학교(TR Dai hoc) : 4년∼5년 과정, 의과대(Dai hoc Y)는 7년 과정
-석사과정(Cao hoc) : 2년 과정
-박사과정(Tien si) : 3년 과정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은 직장 여성이 많기 때문에 유아원, 유치원 제도가 잘 되어 있다. 학교의 학기 시작은 9월초이며, 다음해 1월 중순에 끝난다. 그리고 한 달을 쉬고 음력설 1주 후(2월 중순)에 2학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6월말까지 수업을 하면 1년 과정이 끝난다. 베트남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학 입시가 있다. 대학 입시는 대학별로 실시되며 대개 같은 계열의 대학이 같은 날짜에 시험을 치른다. 학생들은 무제한 원서 제출이 가능하며 내신과 본고사의 비율은 50:50 정도이다. 베트남의 명문대로는 하노이 종합대(DH Tong hop), 호치민 종합대, 자연과학, 공학 분야로는 하노이 백과대(DH Bach khoa), 하노이 건축대학(DH Kien truc), 사이공 의과대(DH Y)가 유명하다.
◈베트남 여성
베트남은 여성의 활약이 눈에 띈다. 관공서와 상점은 물론 논밭에서의 농사일, 건설현장의 힘든 일까지 앞장을 서고 있다. 본래 베트남은 모계사회로서 또한 러시아 여성의 강한 영향을 받아 베트남 여성은 강하고 경제력이 있다. 현재 호치민에서 성공한 기업의 사장도 여성이 전체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중요한 결정권을 가진 책임자로서 여성이 기용되고 있고 국회의원 중에도 여성이 많으며 요직에 있는 여성도 있다. 현 10대 국회의원의 26.22%(총 450명 중 117명)가 여성이다. 베트남 정부는 여성 근로자의 고용을 장려하여, 일정 비율 이상의 여성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에 대해 소득세 감면 등의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추천자료
제국주의(Imperialism)와 제 1차 세계대전
세력균형과 1차세계대전
[과외]중학 사회 2-08 제1차 세계대전과 전후 세계 03
1차세계대전의 원인
제1차 세계대전 분석
제_1차_세계_대전
1차세계대전_원인_관련_논쟁
세계대전과 여성 -러시아여성-
[학습지도안] Ⅵ. 현대 세계의 전개 1. 제 1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세계
[수업지도안] 4-1. 제1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세계 베르사유 체제와 러시아 혁명
세계 전쟁사 -제 1차세계대전의 발발한 이유
영화로 읽는 서양 문명 - 제국주의 ( 제국주의, 제국주의 배경&내용, 제1차 세계대전, 제...
1차세계대전 이후 보호무역과 세계경제흐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