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주의시와생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학의 이해] - 김남주와 그의 시

서 (들어가며) - 시대의 아픔을 온 몸으로 노래한 민족시인 김남주(1946 ∼ 1994)
- 김남주 시인 주요 저서

본 (들어가서) - 『사랑의 무기』에서 작품분석
1. 우리 시대의 모순을 비난하는 민중시인으로서의 작품
2. 감옥 안의 실상과 바깥 세상에 대한 통탄
3. 광주항쟁과 반외세의식에 대한 의식있는 시인으로서의 작품

결 (나오면서)

본문내용

적인 이야기를 통해 거꾸로 되어버린 우리 사회의 모습을 여실히 드러냄으로써. 우리가 비정상인 인식을 하도록 길들여지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우리에게 새로운 결단과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그의 시는 도식적이고 이분법적이다. '인간'은 없고,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만 있다. 애국자와 매국노만 있는 것이다. 또한 부르주아와 지식인보다는 근로대중을 더 의식한다. 그는 대중들 스스로가 현실에 대한 바른 의지와 변혁의지를 갖도록 하는 것이 자신의 시의 존재이유라 말한다.
김남주 시의 특징은 촌철 살인의 풍자에 있다. 대비와 역설, 반전을 통한 풍자가 종종 시적 표현 방식으로 사용된다. 또 시어의 선택에서 지나친 비유와 낯선 표현을 삼간다.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러 상투적 말투나 어법을 고집하지는 않는다. <세상사>에서처럼 대조된 허위와 가식의 소위 '가진 놈들'과 진실하지만 도태되어 버리고, 짓눌려 꺾이는 우리 민중들의 삶을 대조한다든지, <읽을 줄도 쓸 줄도 모르는 어느 백성의 이야기>에서처럼 가진 놈들에게 휘둘려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이끌리는 것과 견딜 수 없는 최악의 상황으로 처한 민중이 일어서려 하는 것을 대조하여 현실을 풍자하고 변화와 반전을 독자 스스로 느끼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김남주는 한국의 1970,80년대를 정확하고 날카롭게 보여 주는 시를 썼다. 그의 시가 도식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한국 현대를 대표하는 시로 꼽히는 것은 이 때문인 것이다. 그의 시는 분명 '인간이 대의를 위해서 자기를 던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몸으로 실천하여 보여주었던 그의 생과 함께 영원히 기억될 만큼 값진 것으로 독자들의 가슴에 아로새겨지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사랑의 무기』 김남주. 1989. 창작과비평사
『조국은 하나다』 김남주. 1988. 실천문학사
『민중시4. '금수강산 오랑캐꽃' (군을 주제로한 민족자주화 70人 시선집)』 김명수·이재무편 1988. 청사출판사.
『한국 현대 대표시선』 이승하. 박주택. 문혜원. 맹문제 편역. 2000. 이진출판사
『광야의 새벽』 정효구. 1991. 열음문학사
『한국 현대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적 탐색』 진창영 1998. 새미출판사
참고사이트
김남주 시인의 육성시를 들을 수 있는 사이트 ;
http://www.artnstudy.com/DigitalGallery/njKim/njKim01.asp#1
  • 가격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1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