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흑백플름의 현상처리공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컬러/흑백플름의 현상처리공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흑백

2.컬러

본문내용

공급하기 때문에 한 층씩 발색되도록 되어 있다. 제1현상 후 R노출을 필름 전면에 하면 제1현상으로 흑화되어진 R감층 부분에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액에 C발색 커플러를 함유시켜 발색 현상을 하면 이 층은 C발색된다. 동일한 형태로 이하 G노출과 M발색 현상, B색 노출과 Y색 발색 현상을 하면 각 층이 전부 외식 커플러에 의해 각각 발색한다. 이 경우도 반전 방식이므로 직접 포지티브 화상이 얻어진다.
▲ 발색 현상 주약
발색 현상 주약으로 사용하고 있는 화합물은 주로 p-페닐렌디아민 유도체이다. 이것은 일종의 유기 환원제로서, 발색 현상액 중에 반드시 포함되는 약품이다. 이것은 색소의 순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밴젠핵 중의 수소를 다른 기와 치환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 커 플 러
커플러는 발색제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발색 현상 주약의 산화 생성물과 결합하여 색소로서 발색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것을 커플러라 한다. 이 커플러에는 C커플러, M커플러, Y커플러가 있다. 외식 발색 현상용 커플러는 수용성이지만, 내식 발색 현상용 커플러는 유용성의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 표 백
● 탈 은 : 컬러 현상 처리를 할 때에는 발색 현상을 할 때에 색소와 더불어 형성된 은 화상을 제거해야 한다. 또, 흑백 반전 처리를 할 때에는 네거티브 은 화상을 역시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은 화상을 제거하는 것을 탈은이라 하는데, 탈은을 할 때에는 표백액인 산화제 용액으로 처리한다. 컬러 현상 처리를 할 때에는 색소 화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탈은해야 하는데, 보통 표백액으로 은을 불용성 화합물로 변화시킨 뒤에 이것을 용해, 제거한다. 그러나 흑백 현상 처리를 할 때에는 표백액으로 은 화상을 직접 용해시킨다.
● 표백 화학 : 표백제는 일종의 산화제인데, 이것은 전자를 받아들여 환원제로 되다. 은 원자(Ag)는 화원제가 전자를 방출하여 은 이온(Ag+)으로 산화된다. 이것은 현상 반응의 역반응이다. 컬러 사진 처리는 일반적으로 페리시안화칼륨(적혈염)이 표백제로 사용되고 있다. 은 원자는 페리시안산 이온에 의하여 은 이온으로 산화되고, 다음에 가용성 브롬화물의 존재 아래서 브롬화은이 된다. 이 브롬화은은 정착액으로 용해, 제거되어 탈은이 완료된다. 흑백 사진 처리를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과망간산염을 산과 같이 사용한다.
▲ 표백과 정착
컬러 사진 처리 공정을 줄이기 위하여 표백과 정착을 단일 공정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과망간상염과 중크롬산염에 의한 은의 용해는 발색 현상으로 생긴 색소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 보존성을 나쁘게 한다.
파머 감력액은 적혈염과 티오황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표백, 정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용액이 불안정하여 접합하지 않다. 표백, 정착액의 표백제는 에틸렌디아민사초산(EDTA)과 킬레이트한철염(Na,NH4K)을 사용한다. 이 때, 은의 산화와 티오황산 나트륨에 의한 용해는 동시에 진행한다.
♣ 참고 문헌 ♣
1. 사진공학-오제웅(청문각)
2. 사진기술개론-유만영 외1인(학창사)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1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