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족주의 배경
2. 규범문법으로서의 대한문전
3. 총론
4. 언어론과 분석주의 언어관
5. 문장론
6. 대한문전의 의의
<참고문헌>
2. 규범문법으로서의 대한문전
3. 총론
4. 언어론과 분석주의 언어관
5. 문장론
6. 대한문전의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합의 차원, 곧 본원의 배합체인 '본원의 부분'에서 주부, 논리상 설명어는 설명부라는 새로운 배합의 차원으로 올라간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렇게 보면 벌써 논리학은 이때부터 말본갈의 측면적 보조 과학으로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6. 대한문전의 의의
유길준의 「대한문전」에서는 낱말 경계의 설정에서, 일원적인 관점에 서지 아니라고 다원적인 관점에 섬으로써, 그 분석 과정에 잘못을 범하고 말았지만 최광옥의 「대한문전」에 이은, 민족 사상에 입각한 규범 말본의 발전 체제임을 보인다.
그는, 사람의 사상 표출의 두 가지 수단으로 음성과 문자를 인식하고, 말의 배합에서의 조음 경제 현상을 인식하였다. 한편 의미-기능주의 언어관에 서서 품사를 분류하고, 관계 대명사나 주격의 설명에서는 의미론적 연구로 현대 언어학에 접근하려 하고 있다. 문장론에서는 구조의 동적인 변화의 인식을 하기 시작했다고 보아진다. 한편, 말본갈의 측면적 보조 과학으로 '논리학'이 개입되기 시작했음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사실이다.
「대한문전」의 우리말 연구사 상의 가치는 국어 문법서로서의 효시라는 데 있다. 우리는 처음부터 완전한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비록 그 내용에 질서가 결하고 불충분한 점이 있다 해도 이것으로써 우리말이 과학적 연구를 거치게 되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1. 우리말 연구사. 김석득 (1983. 정음문화사)
2. 우리말 연구사. 김형주 (1997. 세종문화사)
3. 국어 연구사. 박동규 (1998. 전주대학교출판부)
4. 국어학의 기본이해. 김해수 (1987. 집문당)
6. 대한문전의 의의
유길준의 「대한문전」에서는 낱말 경계의 설정에서, 일원적인 관점에 서지 아니라고 다원적인 관점에 섬으로써, 그 분석 과정에 잘못을 범하고 말았지만 최광옥의 「대한문전」에 이은, 민족 사상에 입각한 규범 말본의 발전 체제임을 보인다.
그는, 사람의 사상 표출의 두 가지 수단으로 음성과 문자를 인식하고, 말의 배합에서의 조음 경제 현상을 인식하였다. 한편 의미-기능주의 언어관에 서서 품사를 분류하고, 관계 대명사나 주격의 설명에서는 의미론적 연구로 현대 언어학에 접근하려 하고 있다. 문장론에서는 구조의 동적인 변화의 인식을 하기 시작했다고 보아진다. 한편, 말본갈의 측면적 보조 과학으로 '논리학'이 개입되기 시작했음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사실이다.
「대한문전」의 우리말 연구사 상의 가치는 국어 문법서로서의 효시라는 데 있다. 우리는 처음부터 완전한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비록 그 내용에 질서가 결하고 불충분한 점이 있다 해도 이것으로써 우리말이 과학적 연구를 거치게 되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1. 우리말 연구사. 김석득 (1983. 정음문화사)
2. 우리말 연구사. 김형주 (1997. 세종문화사)
3. 국어 연구사. 박동규 (1998. 전주대학교출판부)
4. 국어학의 기본이해. 김해수 (1987. 집문당)